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직장 복식규범과 20 · 30대 여성의 패션스타일 표현 : A Study on Clothing Norms & Fashion Style Expressions of 20 · 30s women in Workpla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태은

Advisor
하지수
Major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복식규범20 · 30대 직장여성직장 패션문화규범갈등개성추구패션스타일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4. 2. 하지수.
Abstract
2000년대 이후 20·30대의 젊은 여성은 창조적이며 자유로운 개성미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며, 최근 취업을 시작하여 새로운 사회구성원이자 증가된 구매력을 바탕으로 소비의 주체가 되고 있다. 현대 사회의 많은 기업들은 구성원의 다양성과 개성을 존중하여 출근 복장에 대한 규제를 유연하게 하였지만, 기존 직장 인력에 의해 경직된 패션 문화가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30대 직장 여성의 패션 문화를 직장 내 복식규범과의 관계를 통해 고찰하였다. 패션을 통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것에 익숙하고 경제력을 갖춰 중요한 소비주체로 부상한 20·30대 직장 여성의 특성을 연구하고, 일상에서 갖는 패션과 규범과의 갈등을 이해하고 조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변화하는 직장의 패션 문화와 젊은 직장 여성의 특성에 주목하여 직장 내 복식규범과 패션스타일 표현의 의미 있는 관계를 고찰하고 밝힐 수 있었다.
국내의 직장 환경과 패션 문화 특히, 20·30대 직장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의 특성과 소비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동시에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접을 통해서는 직장 내 복식규범과 개성추구 행동, 패션 준거집단과 소비성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학교, 국가기관, 공기업, 대기업 3곳에 근무하고 직장 내 복식규범과 갈등을 겪고 있으며, 3년 이내의 경력을 가진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인 직장 여성 12명을 면접 대상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종합적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직장은 여성의 경제활동의 증가와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이행으로 직장 내에 다양한 성향의 구성원들을 증가시켜 여러 하위문화들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직원들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비즈니스 캐주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30대 직장 여성은 경제력과 외모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활발한 패션 소비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패션에 있어 개성을 통한 자기표현을 중시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직장 내에는 법령, 사규, 공문에 의한 명문화된 복식규범과 구성원의 제재의 경험에 의해 확인된 암시된 복식규범이 함께 존재하고 있었다. 직장 내 복식규범은 노출에 대한 규범, 시선을 끄는 옷차림에 대한 규범, 캐주얼한 옷차림에 대한 규범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복식규범을 압박하는 요인은 크게 타인으로부터의 압박과 스스로의 검열에 의한 자발적 압박 등의 두 가지로 분류되어 나타났으며, 압박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직장 여성들의 패션에 갈등과 혼란을 일으키고 있었다. 특히, 타인으로부터의 압박은 직장 내 부서별 특성과 구성원 특성의 두 가지 종류의 압박이 관찰되었다.
넷째, 직장 여성은 복식규범 속에서 개성을 추구하기 위한 다양한 갈등해소 행동을 하고 있었다. 행동의 유형은 개의치 않음, 충돌 상황의 회피, 규범과 개성의 절충, 두 개의 옷장과 이중생활, 합리화를 통한 순응으로 분류되었다. 개성을 추구하는 행동의 유형은 각각의 면접 대상자들 안에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직장 내 패션스타일과 선호 스타일과의 차이를 통해 갈등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복식규범과 개성을 추구하는 행동은 패션 소비성향 · 준거집단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직장 여성은 목적의식을 가진 패션 소비행동을 하지만 연차가 쌓이면서 목적의식이 약화되고 동시에 패션에 대한 지출도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구매 장소는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영 캐주얼군과 SPA의 브랜드를 선호하였다. 직장 여성의 패션 준거집단은 드라마 속 직장 여성의 캐릭터와 직장 내 구성원, 그리고 미래를 위한 직장 내 롤 모델이 나타났다. 직장 여성들이 패션 정보를 얻는 통로는 직장 동료, 인터넷, 뷰티 프로그램 등이 있었으며, 패션 정보를 공유하는 대상은 주로 직장 밖의 친구나 가족으로 나타났다.
20·30대의 직장 여성들은 패션을 표현하는데 있어 개성추구에 대한 욕구가 크지만 개인은 소속된 사회 · 문화적인 맥락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직장 내 복식규범의 영향을 무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또한 직장 패션은 복식규범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성향, 직장 환경의 차이에 의해 복잡하고 다양한 맥락과 연결되어 있었다. 직장 여성들은 소속된 직장과 부서, 그리고 개인의 성향이 복식규범을 압박하는 정도에 따라 복식규범과 개성추구 사이에서 갈등을 일으키거나 일으키지 않고 있었다.
직장 내 복식규범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패션스타일을 관리하고 규제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20·30대 직장 여성들은 직장 내 복식규범의 암시와 경계를 축적된 경험에 의해 인지하고, 기존의 복식규범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개성추구 행동을 통해 타협하고 저항하며 자신들만의 패션스타일을 표현하고 있었다. 직장 여성의 개성추구 행동은 직장 내 복식규범의 영역을 새롭게 구분지어, 20·30대 직장 여성만의 패션 문화를 재생산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이 다양한 자아를 가지고 상황에 따라 패션스타일을 표현하는데 있어 복합적인 행동양상을 하고 있으며, 집단 내의 패션스타일은 다양한 사회 · 문화적 맥락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었다. 더불어 표현하기 어려운 암시적인 이해와 미적인 느낌을 포함하는 복식규범을 식별하고 확인하여 그 의미를 맥락에 따라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20·30대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복식규범 하에 재생산된 그들의 패션문화를 실증적으로 문서화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려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직장 여성의 개성추구 행동과 소비문화를 통해, 직장 여성을 위한 패션스타일을 기획하고 디자인 하는데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그러나 특정 직장의 여성 12명만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기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Since 2000s, young women in their 20·30s have shown a strong tendency to pursue creative and free individual character, becoming a subject of consumption based on increased purchasing power as a new society member who were employed recently. Many modern enterprises respect members' diversity and character and have a flexible restriction on work clothes, however, it's the situation that there is a still rigid fashion culture by the existing workers.
This study examined a fashion culture of 20·30s working women through relationship with clothing norms in workplace. For working women in their 20·30s who are accustomed to expressing their character through fashion as the important consumption subject with economic power, it showed that researching their characteristics, understanding and illuminating daily conflict between fashion and norms are a part of the very significant tasks. In addition, taking notice of a changing fashion culture of workplace and young working women's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spected a meaningful relation between clothing norms in workplace and fashion style expressions.
In order to understand domestic working environment and fashion culture, particularly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and consumer culture of 20·30s working women,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at the same time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 depth interview.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clothing norms in workplace, personality-pursuit behaviors, fashion reference group and propensity to consume were analyzed. Also in-depth interview was done for 12 working women in their mid 20s~early 30s who are working at the school, national organization, public enterprise, 3 large corporations and having conflict with clothing norms in the workplace with career within 3 years.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 increased number of members having various inclinations caused many subcultures through increas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and transition to th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in the domestic work places, changing into the business casual recognizing employees' autonomy and diversity. 20·30s working women are participating in active fashion consumption activities based on economic power and appearance interest, showing the characteristic making much of self-expression through the fashion character.
Secondly, at the workplace, clothing norms coexist, one stipulated by statutes, company rules, official documents and the other implied by experiences of sanction against members. clothing norms in the workplace are classified into the norms of exposure, clothes drawing attention and casual clothes,
Thirdly, it showed that factors pressuring on clothing norms are classified into two things, pressures by others and by spontaneous self-censorship, causing conflict and confusion with working women's fash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ure. Especially, 2 kinds of pressures by others, or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s and members were observed.
Fourthly, it showed that working women are conducting diverse kinds of behaviors removing conflict to pursue their character within clothing norms. Such behavior types may be divided into indifference, avoidance of a conflicting situation, compromise of norm and character, dual closets and double life and adaptation by rationalization. Character-pursuit behavior types varied from each interviewee with different conflict degrees in terms of difference between workplace fashion style and preferred style.
Fifthly, clothing norms and character-pursuit behaviors have a close relation with a propensity to consume fashion and a reference group. Working women showed a characteristic participating in fashion consumption behaviors with a sense of purpose but reducing fashion expenses with the weakened consciousness as time passed. The most frequent purchasing places were department stores and Internet shopping malls. Working women preferred young casual groups and SPA brands and had a fashion reference group of a career woman character in dramas or a member of the workplace in addition to a role model of the future job. As for paths for working women to get fashion information, there were coworkers, Internet, beauty programs and so forth. Also they shared fashion information mainly with friends outside the job or family members.
This study showed that 20·30s working women have strong needs for pursuing their personality in expressing fashion, however, unable to be freed from social · cultural contexts, can't ignore effects of clothing norms in the workplace. Furthermore, workplace fashion has a connection with complex and various contexts caused by difference in the personal tendency and job environment in addition to clothing norms. According to the pressure degree of their workplace and department, individual inclination on clothing norms, working women are sometimes suffering conflict between clothing norms and character-pursuit.
This study also showed that clothing norms in the workplace have a difficulty in managing and controlling various fashion styles of the modern society. 20·30s working women recognize a suggestion and a boundary of clothing norms in the workplace by their accumulated experiences, and express their own fashion style while compromising or resisting to the existing norms through character-pursuit behaviors rather than accepting them unconditionally. It revealed that their character-pursuit behaviors are dividing areas of clothing norms in workplace newly and reproducing the fashion culture of 20·30s working women own.
This study confirmed that a variety of individuals show multiple behavioral aspects in expressing the fashion styl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fashion styles within a group are connected to the various social · cultural contexts. Also it identified clothing norms containing implied understanding and micro feeling uneasy to be expressed, and interpreted their meaning in terms of the contex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documented empirically and attempted at in-depth understanding of 20·30s working women's fashion culture reproduced under clothing norms. Also, it's expected to be helpful for planning and designing working women's fashion style through their character-pursuit behavior and consumer culture. However, 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only 12 females at certain work places, so it has a limitation to generalize research finding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80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