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말의 여백, 몸의 노래": 한의원에서의 언어 사용과 '아픔'의 언어화 : Inexpressibility of Words, Expressiveness of Bodies: Verbalization of 'Pain' and Language Use in Korean Medicine Clinic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혜민

Advisor
강윤희
Major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아픔의 언어화한의원언어 사용의료 담화의료적 상호작용/의료대면환자-의사 관계감각언어 이데올로기번역재편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류학과, 2016. 2. 강윤희.
Abstract
사람들은 자신의 아픔에 대하여 어떻게 말하고, 그러한 아픔은 어떻게 언어화되는가? 본 논문은 한의원에서의 언어 사용에 대한 언어인류학적 분석으로 바탕으로, 개인의 신체적인 경험 중 하나인 아픔의 언어적 구성, 즉 아픔의 언어화를 탐구한다.
아픔은 한의원의 일상 속에서 끊임없이 표현되며 의료적 대화의 주요한 주제로 등장하지만, 한편으로 환자와 한의사들에게 아픔이라는 감각을 언어화화여 소통하는 일은 어렵고 힘든 과제이다. 한의원에서의 아픔이 개인에 의해서 지각되는 하나의 신체적 감각이라고 볼 때, 언어는 개인의 감각 경험을 소통 가능한 형태로 옮겨내고 표현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아픔의 양면적 특성, 즉 아픔이 한의원에서의 중요한 문화적 주제이나 동시에 언어적으로 번역하고 표현하기 힘들다는 특성에 주목하여, 한의원에서의 아픔이 어떻게 언어로 옮겨지고 소통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특히 본 논문은 이미 언어로 옮겨진 아픔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문제, 즉 아픔이 소통 가능한 언어로 발현되기까지의 과정을 분석한다. 기존의 임상의학적 ․ 심리학적 연구들이 아픔과 이에 대한 개인의 감각력을 동질화하여 일정한 구획으로 분절하고 수량화함으로써 아픔의 언어화를 시도하였던 반면, 본 논문은 아픔을 지각하고 언어화하는 주체로서의 개인과 언어화 과정에 개입하는 상위 언어적 요소들을 논의에 포함시키고 있는 경험적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총 세 가지 연구 질문이 탐구되었는데, 이는 각각 아픔의 언어화와 관련한 통사-의미론적 측면, 상호작용적 측면, 그리고 상위 언어적인 측면에 관한 것이다. 첫째, 한의원의 다양한 참여자들이 아픔에 대하여 어떠한 어휘와 표현을 사용하며, 그 특징에는 무엇이 있는가? 연구자는 한의원에서 아픔을 나타내는 어휘로 총 193개를 수집하였고, 이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통증 명사, 통증 행동, 통증 표현, 상태의 변화). 나아가 한의원에서의 화자들이 아픔을 발화할 때 사용하는 표현들의 통사-의미적 구성을 분석하여, 환자의 경우 다어성을 특성으로 하는 세 가지 표현형과 한의사의 경우 전문성과 권위를 특성으로 하는 네 가지 표현형을 정리 ․ 분석하였다.
둘째, 환자-한의사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아픔은 어떻게 말하여지고, 소통되며, 이해되는가? 이를 위하여 우선 환자-한의사간의 의사소통 모델을 도해하고, 이를 통하여 상호 이해의 문제가 의사소통의 한 중요 특성임을 논하였다. 나아가 의사소통에 병 프레임과 질병 프레임의 두 가지 프레임(frame)(Goffman 1981)이 작동하며, 이는 각각 환자와 한의사의 아픔을 보이게 하는(관(觀)) 문제와 연결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의사소통의 또다른 주요 요소로는 환자-한의사 관계(관(關))가 있는데, 한의원에서는 크게 비대칭적 관계와 공감 ․ 지지적 관계가 주요한 관계의 유형으로 관찰되었다. 각각의 관계에는 치료 프레임과 보살핌 프레임이 작동하고 있으며, 화자들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간 언어(proxemics)(Hall 1963)와 동작 언어(kinesics)(Birdwhistell 1970)가 이러한 관계들을 지표하고 있음을 논하였다.
셋째, 한의원에서의 아픔은 어떠한 언어적 형태로, 어떠한 과정을 거쳐 언어화되는가? 우선, 언어화 과정을 매개하는 상위 언어적 요소로서 한의원에서의 화자들이 언어와 언어의 기능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관념인 언어 이데올로기와, 감각 경험과 지각에 대한 한의학적 관념을 논하였다. 한의원에서의 언어 이데올로기는 말의 여백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이는 감각으로서의 아픔을 표현하는 데에 말이 갖는 한계성과 지난함을 가리킨다. 이는 아픔을 선명하게 표현하기보다 인상과 양상을 그려내고자 하는 감각 경험의 한의학적 방식과도 연결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두 종류의 언어화가 분석되었는데, 첫째 일차적인 언어화는 위의 상위 언어적 요소를 매개로 하여 감각으로서 아픔이 언어적 형태로 옮겨지는 과정을 말한다. 특히 일차적인 언어화의 주요한 작업 원리로서 비유적인 표현의 사용, 비언어적 ․ 준언어적 자질의 사용, 인용하기, 목소리 내기가 기술 ․ 분석되었다. 둘째로, 이차적인 언어화는 상호작용을 통하여 아픔의 표현, 의미, 해석의 틀이 재편되는 과정을 말한다. 진료가 전개됨에 따라 아픔은 환자 중심적으로 언어화되었다가 점차적으로 한의사 중심적인 언어로 조정되고 재편된다. 이는 진료에 지배적인 관(觀)이 환자의 것에서 한의사의 것으로 전환되는 것과 궤를 같이 한다.
이러한 논의들을 토대로, 본 논문은 아픔의 언어화의 과정적인 측면을 주목할 것을 주장한다. 이는 아픔의 언어화가 기의-기표의 발현이라는 간단명료한 전환이나 기계적이며 자동적인 현상이 아니라, 그 과정에 기의로서의 아픔 감각과 기표로서의 언어 간의 연결을 구성하고 있는 언어 이데올로기, 한의학적 시선과 감각 경험의 방식, 환자-한의사의 관계, 상호작용의 상황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있는, 복잡하고도 역동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How do people talk about their pain, and how is their pain being verbalized? This study attempts a linguistic anthropological analysis on language use in local Korean Medicine clinics in South Korea in order to examine linguistic construction of pain, otherly put, the verbalization of pain.
Apeum, literally meaning sickness yet in this study referring to pain, is the most frequent topic expressed and talked in everyday medical encounters in Korean Medicine clinics. However, it is a burden for patients and doctors when it comes to verbalizing what they sense as pain. Considering that language plays a critical role in translating and articulating the sensory experiences, it is called into the question how the pain as a sense gets to be translated and thus be communicated. By focusing on pain being a tough sense to express elaborately as well as a significant theme of doctor-patient communic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pain verbalization.
Clinical or psychological studies on language and sickness/pain have attempted numeralization and measurement of pain, by standardizing individuals sensory experiences and their sensibility thereby truncating them into certain categories. On the contrary, this study embraces individual as a subject who perceives and verbalizes sense of pain. Furthermore, this study encompasses metalinguistic components engaged in verbalization processes significantly into the discussion. Specifically by focusing on physical-sensory aspects of pain, this thesis highlights both already-verbalized pain and its verbalization processes. Thus, it not only focuses solely on the translative process of pain which is being rendered into communicative forms, but also illustrates the interactive process of pain being communicated in medical encounters.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examined, each exploring pain verbalization in lexical and syntactic-semantic level, interactive level, and metalinguistic level. Firstly, what are the types and features of lexicons and expressions of pain being used in medical encounters in Korean Medicine clinics? This is to examine a lexicon of pain that indicates pain and how doctors and patients syntactically apply them to express pain experiences. 193 lexicons that refer or express pain are collected, which are then classified into four types: pain nouns, pain actions, pain expressions, and conditional expressions. Here, sentence/utterance syntactic-semantic compositive types are analyzed: for patients, three types that can be aligned with levels of verbosity, whereas for doctors, four types that can be aligned with levels of authority and professionalism.
Secondly, during the medical encounters, how do doctors and patients express, communicate, and understand pain? Focusing on actual doctor-patient interactions, it is discussed how doctors and patients reveal (kwan 觀) their pain and how they build specific types of relationships (kwan 關) during their communication processes. Here, a general structure of doctor-patient communication in Korean Medicine clinics is sketched, where matters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doctor and the patient become a salient feature of doctor-patient communication. This reveals two salient frames (Goffman 1981), of illness and of disease, constructing and mediating gaps of understanding the pain in medical interactions. These frames are also echoed in revealing ones pain, or kwan (觀)
the illness frame reflected in illness narratives (patients kwan) and the disease frame reflected in doctors folk models of diagnosis (doctors kwan).
Two other frames, frames of cure and of care, comprise doctor-patient relationships, or kwan (關).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wo major types of doctor-patient relationships, asymmetrical and empathetic relationship. Moreover, this study demonstrates these types of relationship are indexed by phatic or medical talks as well as by nonverbal acts such as proxemics (Hall 1963) and kinesics (Birdwhistell 1970).
Thirdly, in what forms are patients pain translated, and how are their verbalization processes carried out? Here, language ideology of blank space of words (malui-yeobaek 말의 여백) and ways of sense experience used in Korean Medicine (momui-norae 몸의 노래) are illustrated. In Korean Medicine encounters, pain becomes verbally visible through two verbalization processes. The primary process is translating the sense of pain into communicative forms. Here, metalinguistic components such as language ideology provide clues for understanding why and how certain verbalized forms become salient. Doctors and patients report toughness in expressing their pain or sickness, in other words, the inexpressibility of words in describing their pain. It is reported that words have a blank space, which emphasizes the limitation of words in expressing and communicating the sense of pain thoroughly, clearly, and easily. Ways of sense experience in Korean Medicine echo this language ideology. In Korean Medicine, clear and absolute language is not mandatory in articulating ones pain. Rather, it is encouraged for doctors to see the pain as a whole and something in a state of flux, with an emphasis on doctors impressions and intuitions on the patient. By the language ideology and Korean Medicine ways of sense-experience, verbose, descriptive, synesthetic, and symbolic expressions become possible and furthermore, are encouraged. For instance, figurative speeches, or expressions with similes and metaphors, are prominently applied by both doctors and patients. Especially for doctors, citing classical Korean Medicine texts such as Donguibogam or applying nonverbal acts are customarily employed.
The secondary verbalization process is the regimentation of verbalized expressions in medical interactions.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e reconstruction of expressions, meanings, and interpretations of pain through doctor-patient interactions. Patient-orientedly verbalized at first, the pain gets rearranged into the doctor-oriented language as the medical communication is unfolded. In early stages of medical encounters, patients expressions and kwan (觀), which reflect the patient-oriented illness frame, are dominant. Then, as the medical examination is carried on, patients kwan (觀) and their expressions are gradually regimented into expressions and kwan (觀) of doctors, which echoes the disease frame.
This ethnography argues to highlight on processual aspects of pain verbaliz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pain verbalization is not an automatic transformation of signifiant being changed into signifié. That is, this thesis emphasizes that the process of pain verbalization is a complex, dynamic, social process where language ideology, gaze (Foucault 2006[1963]) of Korean Medicine, doctor-patient relationships, and situatedness of interactions are actively interwove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2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