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게임의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Games -focused on the Game Industry Promotion Act of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상조-
dc.contributor.author김종일-
dc.date.accessioned2017-10-27T16:53:05Z-
dc.date.available2017-10-27T16:53:05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587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6924-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과대학 법학과, 2017. 8. 정상조.-
dc.description.abstract게임은 대중의 다양한 문화적 기호를 충족시키는 창작의 분야임에도 게임산업법의 논의는 부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규제 강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청소년 문제, 사행행위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임기응변식 규제가 도입됨으로써 한국의 게임 규제는 게임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미진한 채로 오직 사회문제 해결형 정책의 목표만을 추구하여 온 성격을 띤다. 따라서 세계 각지에서 동시에 출시된 모바일게임을 전 세계인이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하는 글로벌 모바일 게이밍 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처럼 한국의 게임 이용·제공에만 적용되는 규제의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다.
게임특성영역모델은 게임의 이용방식과 제공방식의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특유의 영역이 존재함을 전제로, 있어야 할 규제와 현실의 규제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유용한 틀을 제공해 준다. 게임특성영역모델을 통해 게임물 등급분류 제도, 게임 이용시간 제한, 온라인게임 이용자의 소비제한, 게임물 이용자 본인인증 제도, 사행성게임물 개념에 근거한 등급분류 제한 등을 살펴볼 때, 한국의 게임 규제는 연혁적으로 사행성에 대한 규제 체계가 등급분류제도에 맥락 없이 혼입되었고 이 등급분류제도가 형사처벌 조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도 게임의 이용에 있어서 국가로부터 강한 후견적 보호를 받는 체계를 갖추게 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반면에 해외의 게임 제도는 사행성에 대한 규제와는 완전히 절연된 형태로, 이용에 적정한 연령에 대한 정보를 청소년과 그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자율규제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세계인이 동일하게 즐기는 게임에 대해 한국인의 이용과 제공만이 법적 규제의 대상이 되어 제약 받고 처벌 받는 구조는, 특히 이것이 문화에 대한 규제라는 점에서 추후 지속적으로 정당성을 얻기는 어렵다고 할 것이다. 사회문제의 발생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은 그 접근 방향성을 게임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법률상 허용되지 않는 게임 아닌 어떠한 것이 게임의 탈을 쓴 상태로 사회적 해악으로 나타나고 있는 영역, 법률상 허용되는 게임을 불법의 목적으로 오용 내지 남용하는 행위 영역 등을 게임 그 자체와 분리해 내고 여기에 착목하여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6
제2장 게임 규제의 의미와 특성별 규제원리 9
제1절 규제의 의의 9
1. 규제의 개념과 형태 9
(1) 규제의 개념 10
(2) 사전규제와 사후규제 14
① 사전규제 15
② 사후규제 15
2. (행정적) 규제의 기본적 원리 17
3. 자율규제의 의의 18
제2절 게임의 의의 20
1. 게임의 개념적 요소와 본질 20
2. 게임과 게임물의 개념 21
3. 게임물의 유형 및 연혁 24
(1) 게임물의 유형 및 이용 요소 24
(2) 온라인 게임의 연혁 26
4. 게임산업 관련 현황 28
5. 게임의 다양한 사회적 가치 30
(1) 문화상품으로서의 게임 30
① 문화국가 원리의 의의 – 국가와 문화의 관계 33
② 문화국가 원리 실현의 전제조건 36
③ 문화정책의 특성과 방향성 36
(2) 보편적 사회문화의 하나로서의 게임 37
(3) 헌법상 기본권적 측면에서의 가치 38
(4) 산업적‧경제적 측면에서의 게임산업 43
제3절 게임의 규제 43
1. 게임 규제를 바라보는 시각 43
2. 게임 규제의 형성 원인 46
3. 게임 규제의 영향 51
(1) 게임 창작과 혁신의 저해 51
(2) 게임 관련 산업의 위기 초래 55
4. 소결 : 특성별 게임 규제 고찰의 필요성 57
제4절 게임 특성별 규제원리 58
1. 게임 특성을 고려한 영역별 구분의 유효성 58
2. 게임특성영역모델의 도출 59
3. 게임특성영역모델1의 해설 61
(1) A영역과 B영역 61
(2) C영역과 D영역 63
4. 소결:게임특성영역모델의 의미 64
제3장 게임 규제의 입법과 규제 정당성 고찰 67
제1절 게임 규제의 입법연혁과 현행 주요 법률 67
1. 게임 규제의 입법연혁 67
① 유기장업 관리체제 시기 68
② 게임물 관리체제 시기 69
③ 게임산업 진흥체제 시기 70
2. 현행 게임 규제 주요 법률 71
(1)「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71
① 제정 및 배경 71
② 개정 연혁 73
③ 게임산업법 제‧개정 연혁에 대한 평가 76
(2) 「청소년보호법」 77
제2절 규제 정책의 특징과 정당성 검토 79
1. 게임 가치에 비추어 본 규제 정당성 81
2. 한국 게임산업 규제의 정책적 특징 82
(1) 산업적 진흥 대상으로서의 파악 82
(2) 부정적 프레임에 기초한 강력한 규제의 형성 84
(3) 규제적 정책의 한계 85
3. 주요 외국의 게임 관련 정책과 시사점 86
(1) 규제 기초체계로서의 자율규제 87
(2) 문화산업으로서의 특성 제고 88
제3절 게임특성영역모델의 재구성과 비례의 원칙 90
1. 게임특성영역모델의 재구성 90
(1) 사행성게임물 및 도박 영역의 구분 90
(2) 사행적 게임 이용 영역의 구분 92
(3) 게임특성영역모델2의 해설 94
2. 게임특성을 고려한 비례의 원칙 95
(1) 매체적 특수성 측면 95
(2) 창작된 놀이에 대한 규제라는 측면 96
(3) 문화기술에 대한 규제라는 측면 97
(4) 소결 : 게임특성영역모델에 입각한 규제의 원칙 98
제4장 게임 관련 규제의 내용과 한계 101
제1절 규제 개요 및 문제점 101
1. 상반된 규제 입법의 태도 101
2. 게임규제의 구분 103
3. 게임특성영역모델4의 해설 106
제2절 게임물 등급분류제도 108
1. 제도의 성격 108
(1) 등급분류제도의 의의 108
(2) 사전검열 해당 여부 111
(3) 비례의 원칙 위반 여부 113
2. 등급분류기관 115
3. 등급분류 대상 및 게임물의 등급 117
4. 등급분류 운용 현황 및 등급분류 거부‧취소 120
(1) 사전적 등급분류 120
① 게임물관리위원회의 등급분류 120
② 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의 등급분류 121
③ 자체등급분류사업자의 등급분류 122
(2) 등급의 재분류 123
① 이의신청을 통한 등급의 재분류 123
② 직권등급재분류 124
③ 등급조정조치 124
④ 내용 수정에 따른 등급의 재분류 125
(3) 등급분류 거부 127
(4) 등급분류 취소 129
5. 등급분류 원칙 및 기준 131
6. 등급분류 위반 게임물 제공의 효과 137
7. 주요 외국의 게임물 등급분류 139
(1) 미국 139
① 등급분류기구 및 설립 근거 140
② 등급분류 대상 및 내용정보 141
(2) EU 143
① 등급분류기구 및 설립 근거 143
② 등급분류 대상 및 내용정보 145
(3) 일본 147
① 등급분류기구 및 설립 근거 147
② 등급분류 대상 및 내용정보 148
(4) 호주 149
① 등급분류기구 및 설립 근거 149
② 등급분류 대상 및 내용정보 150
(5) 국제등급분류연합(IARC) 151
① 설립 배경 151
② 등급분류 대상 153
(6) 주요 외국 제도의 시사점 154
8. 현행 등급분류제도의 문제점 155
(1) 사행성 기준의 자의적 적용 가능성 155
(2) 등급분류 거부·취소 제도의 남용 가능성 157
(3) 내용수정에 따른 등급재분류 관련 문제점 159
(4) 소결 : 등급분류 제도 정당성의 근거 161
9. 등급분류제도 개선 필요성 및 방향성 제언 164
(1) 등급규제 패러다임의 전환 164
(2) 등급분류제도 변화·발전의 의미 165
(3) 사행성 차단 도구로서의 사전 등급분류 제도의 한계 166
(4) 자율·자체 등급분류의 확장 168
제3절 게임 이용시간 제한 170
1. 규제 개요 170
(1) 심야시간대의 인터넷게임 제공시간 제한 171
① 내용 171
② 특징 173
(2) 예방조치적 청소년의 게임물 이용시간 제한 174
① 내용 174
② 특징 175
2. 청소년 게임과몰입 억지 관련 해외 사례 177
3. 제도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 179
(1) 「청소년보호법 제23조의3 등 위헌확인」 179
① 청소년의 인권주체로서의 지위에 대한 판단 180
② 가족의 자율성 및 부모의 교육권에 대한 판단 182
③ 헌법상 문화국가 원리에 대한 판단 183
④ 규제의 필요성과 적정성에 대한 판단 184
⑤ 대체 규제 존재 여부 및 인터넷 기술에 대한 판단 185
(2) 게임 이용시간 제한 규제의 검토 186
① 입법체계 및 규제 실효성 측면의 검토 186
②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와 관련한 검토 188
③ 정책 불균형 측면의 검토 189
④ 제도 대안 측면의 검토 190
(3) 소결 191
① 게임특성영역모델6의 해설 191
② 임의적 셧다운 제도의 개선 필요성 192
제4절 온라인게임 이용자의 소비제한 194
1. 결제한도 제한의 의의 및 연혁 196
2. 결제한도 제한의 법적 취급 198
3. 결제한도 규제가 작동하는 방식 199
(1) 한도를 게임물 내용에 강제 편입 199
(2) 결제한도 초과시 불법게임물로 취급 199
4. 결제한도 제한의 문제점 201
(1) 법률유보원칙 위반 여부 201
(2) 게임이용자(소비자)의 자기결정권 침해 여부 202
(3) 계약자유의 원칙 위반 여부 203
(4) 게임사업자의 직업수행의 자유 침해 여부 203
5. 검토 205
(1) 과소비 억제 기능을 못하고 주객이 전도된 규제 205
(2) 게임특성영역모델 D영역에 대한 게임규제화를 지양 205
(3) 자율규제를 통한 접근이 효과적 207
제5절 게임물 이용자 본인인증 제도 208
1. 규제 개요 208
(1) 본인인증 및 법정대리인 동의확보 208
① 성인 이용자의 본인인증 208
② 청소년 이용자의 법정대리인 동의 확보 209
(2) 반복적 본인확인제 210
2. 제도 적정성에 관한 검토 211
(1)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12조의3제1항제1호 등 위헌확인」 211
① 게임중독 예방이라는 입법 목적이 정당한가에 대한 판단 213
② 연령 차별적 통제의 실효성 확보 가능성에 대한 판단 214
③ 부모의 교육권 및 동의 확보 조항의 적정성에 대한 판단 215
④ 규제로 인한 위축효과 및 규제 이행의 난이도에 대한 판단 216
⑤ 본인인증제가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인가에 대한 판단 216
⑥ 문화콘텐츠 및 청소년유해매체물과의 차이점에 대한 판단 217
(2) 본인인증 및 동의 확보 제도의 검토 219
① 개인정보 과다수집과 감시·통제의 우려 219
② 청소년 보호에서의 국가 후견의 한계 220
③ 사적자치의 원칙 침해 가능성 221
④ 탄력적 운용의 모색 223
제6절 사행성게임물 개념에 근거한 등급분류 제한 224
1. 내용 224
2. 유사 해외 사례 검토 227
3. 검토 228
(1) 제도 도입에서의 문제점 228
(2) 제도 운영에서의 문제점 229
(3) 제도 자체의 개념 모순 231
(4) 게임특성영역모델7의 해설 233
(5) 소결 : 사행성게임물 개념의 삭제 234
제5장 게임 규제의 영향과 체계적 개선방안 237
제1절 게임 관련 규제의 검토 237
제2절 게임 관련 규제 체계의 개선방안 238
1. 규제 접근방식의 변화 및 패러다임 전환 239
2. 특성을 고려한 합리적 규제모델의 형성 240
제6장 결론 24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2321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게임 규제-
dc.subject게임특성영역모델-
dc.subject등급분류-
dc.subject셧다운제-
dc.subject결제한도-
dc.subject사행성게임물-
dc.subject.ddc340-
dc.title게임의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Regulation of Games -focused on the Game Industry Promotion Act of Korea--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ONG IL-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