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생선수 운동부 정체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A Narrative inquiry on athletic team-identity of the Student-Athlet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용-
dc.contributor.authorHanbeom Kim-
dc.date.accessioned2017-10-27T16:57:27Z-
dc.date.available2017-10-27T16:57:27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646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6972-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17. 8. 권순용.-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운동부에 속해 있는 학생선수의 운동부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를 통해 그들의 생생한 체험이 담긴 이야기들을 도출하여 학생선수가 가지고 있는 운동부정체성의 내용과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 학생선수들은 운동부 구성원이 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학생선수 운동부 정체성의 의미는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요 용어인 운동부 정체성은 운동선수로서의 역할과 학생으로서의 역할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운동부 구성원으로서 형성되는 정체성을 의미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했으며, 내러티브 탐구가 주체가 가지고 있는 경험의 의미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으로 판단했다. 구체적으로,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현장(이야기) 속으로 들어가기, 이야기 공간에 존재하기, 현장텍스트 구성하기, 현장텍스트에서 연구텍스트로, 연구텍스트 작성하기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형적 사례선택 방법(typical case selection)을 통해 학생선수 경험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 중 풍부한 현장 텍스트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연구참여자 6명을 선정하였다. 주로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참여자에 의해 작성된 운동부 경험에 대한 에세이도 연구 보조자료로 활용되었다.
운동부 구성원이 되는 과정 속에서 얻는 유의미한 경험을 정리해봄으로써 학생선수들이 운동부 정체성을 획득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각 연구참여자의 운동부 정체성 경험을 통해 구성된 내러티브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선수로서 본격적으로 운동부에 참여하기에 앞서 운동부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진로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경험을 한다. 둘째, 학생선수들은 운동부원으로서 자부심과 소속감을 경험하면서 운동부 정체성을 가진다. 셋째, 기존의 운동부 문화에 대해 저항하고 자신의 의사를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 위해 도망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과도하게 통제된 운동부 생활 속에서 운동부 정체성을 경험하고 있었다.
학생선수 운동부 정체성의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에서 고려해야 할 3차원적 탐구 공간인 시간성, 장소, 사회성의 맥락을 중심으로 시간적 내러티브(시간성), 공간적 내러티브(장소), 관계적 내러티브(사회성)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첫째, 시간적 내러티브를 통해 정체성 탐색, 타자에 의한 정체성 주입, 정체성 확인, 정체성 위기, 정체성 재구성 순으로 이루어지는 운동부 정체성의 형성과정을 도출하였다.
둘째, 공간적 내러티브는 정체성 경험이 발생하는 공간에 따라 운동장에서의 운동부 정체성 경험, 공동 생활 공간(합숙소 등)에서의 운동부 정체성 경험, 학교 교실에서의 운동부 정체성 경험 등으로 구성된다. 운동장에서의 운동부 정체성 경험은 주로 훈련상황이나 경기 중에 발생하며 동료의식의 생성, 두려움의 대상으로서 지도자를 경험하고 있었다. 공동생활 공간에서의 운동부 정체성 형성은 주로 합숙소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참여자들은 합숙소를 중심으로 학년에 따른 계급화 경험과 통제된 생활을 경험하고 있었다. 학교 교실에서의 운동부 정체성 형성은 주로 학생으로의 역할이 요구될 때 나타나며, 학생선수는 교실에서 예외적인 존재로 인식되면서 소외의 대상 그리고 동시에 동경의 대상이 되는 공간적 경험을 하고 있었다.
셋째, 관계적 내러티브는 운동부원으로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얻는 경험을 중심으로 수동적 정체성의 습득: 역능성의 상실, 운동선수의 정체성 내세우기: 정체성 몰입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관계적 측면에서 학생선수가 운동부 정체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역능성을 잃어가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운동부 정체성 획득하는 과정에서 학생선수는 다른 주체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면서 운동선수의 역할에 과도하게 매몰되는 경험을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선수들이 운동부 구성원으로 경험하는 정체성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학생선수가 가지고 있는 운동부 정체성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학생선수들의 다양한 운동부 정체성 경험은 운동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현상들을 보다 면밀히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이야기를 열기 : 학생선수로서의 경험 1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3. 연구문제 12
4. 용어의 정의 14
5. 연구의 제한점 17
Ⅱ. 문헌 고찰 18
1. 학생선수 18
2. 정체성 27
3. 정체성 형성 과정 39
Ⅲ. 연구방법 44
1.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 44
2.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48
3. 자료분석의 진실성 확보 65
4. 연구의 윤리성 68
Ⅳ. 이야기하기 : 학생선수의 운동부 정체성 경험 70
1. 윤남농의 이야기 : 폭력의 피해자에서 폭력의 가해자로 72
2. 이여농의 이야기 : 운동부의 닫혀진 일상 속에서 살아가기 88
3. 김남축의 이야기 : 관례적 운동부 문화에 대한 적응과 도전 103
4. 이여축의 이야기 : 여학생과 축구선수 사이 113
5. 김여테의 이야기 : 자유로운 운동부 생활에 대한 갈망 128
6. 김남테의 이야기 : 운동선수에서 공부하는 학생으로 138
Ⅴ. 다시 이야기하기 : 학생선수 운동부 정체성의 의미 147
1. 시간적 내러티브 : 운동부 정체성 형성과정 148
2. 공간적 내러티브 : 운동부 정체성의 공간적 경험 168
3. 관계적 내러티브 : 운동부 정체성의 사회적 의미 181
Ⅵ. 내러티브를 마치며 192
1. 논의 192
2. 요약 및 결론 203
3. 제언 209
참고문헌 212
Abstract 22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1781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학생선수-
dc.subject운동부 정체성-
dc.subject정체성 형성 과정-
dc.subject운동부 문화-
dc.subject내러티브-
dc.subject.ddc796-
dc.title학생선수 운동부 정체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dc.title.alternativeA Narrative inquiry on athletic team-identity of the Student-Athlete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anbeom Kim-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체육교육과-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