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피동문의 역사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현희-
dc.contributor.author백채원-
dc.date.accessioned2017-10-27T17:09:09Z-
dc.date.available2017-10-27T17:09:09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653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7112-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17. 8. 이현희.-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세한국어와 근대한국어의 피동문을 대상으로, 피동사의 형태적 특성과 피동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피동문을 고찰하였다.
첫째, 피동에 대한 유형론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피동의 원형적 특성을 정립하였다. 둘째, 피동의 원형적 특성을 근거로 중세 및 근대한국어 시기 피동문의 유형을 나누고,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셋째, 피동문의 전면적인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 피동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밝혔다.
각 장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대상 및 방법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제2장은 본격적으로 피동을 다루기 위한 예비적 논의에 해당한다. 피동을 원형적 접근 방법으로 파악해야 하는 필요성을 논하였으며, 피동의 원형적 특성으로 여겨지는 것들 간의 위계를 설정하여 논의의 기본적인 틀로 삼았다. 그리고 이 원형성을 근거로 피동문을 원형적 피동문, 준원형적 피동문, 비원형적 피동문으로 분류하였고, 준원형적 피동문과 비원형적 피동문을 이루는 동사들을 재검토하였다. 또한 피동문을 기본적 의미와 부수적 의미로 나누어 피동문의 의미 유형을 논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서 정립한 피동의 원형성을 적용하여, 중세 및 근대한국어 시기의 피동사의 형태적 특성을 기술하였다. 원형적 피동문은 타동사로부터 파생된 피동사가 이루는 구문이며, 준원형적 피동문은 자‧타 양용동사가 이루는 자동 구문이다. 비원형적 피동문은 자동사 어기에 피동 표지가 결합한 구문이다. 그리고 접사의 이형태 목록을 제시하고 시기별로 각 이형태가 파생시킬 수 있었던 동사 목록을 제시하였다. 특히 접사가 중첩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피동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논하였다. 피동문의 통사적 특성을 논하기 위해, 행위자와 피행위자의 격 표지를 고려하여 특징적인 현상들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살폈다. 또한 흔히 목적어 있는 피동으로 논의되어 온 을/를 피동문도 검토하였다. 그리고 제2장에서 정립한 피동문의 의미 유형을 근거로, 중세 및 근대한국어 시기 피동문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고 각각의 의미에 해당하는 예를 검토하였다. 해당 의미들의 상관관계도 고찰하였다.
제5장은 지금까지 밝힌 주요점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앞으로 본고의 연구 성과를 보다 확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더 깊이 연구해야 할 점을 검토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본고는 중세 및 근대한국어 피동문의 특성을 역사적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선행 연구에서 주목 받지 못했던 논의점을 발굴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해석을 모색하였다. 또한 한국어 피동문이 가지는 특성을 범언어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한국어 피동문이 가진 보편성과 특수성을 논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선행 연구 검토 2
1.3. 연구 대상 및 방법 4
1.4. 논의의 구성 16
1.5. 인용 자료 17
2. 기본적 논의 23
2.1. 피동의 특성 24
2.2. 원형성에 따른 중세·근대한국어 피동문의 유형 34
2.2.1. 원형적 피동문 34
2.2.1.1. 원형적 피동문을 이루는 동사: 타동사 어기 34
2.2.1.2. 피동 접사 중첩문 35
2.2.1.3. 을/를 피동문 39
2.2.2. 준원형적 피동문 40
2.2.2.1. 준원형적 피동문을 이루는 동사: 자·타 양용동사의 자동 구문 40
2.2.2.2. 준원형적 피동문을 이루는 동사의 재검토 43
2.2.3. 비원형적 피동문 61
2.2.3.1. 비원형적 피동문을 이루는 동사: 자동사 어기 61
2.2.3.2. 비원형적 피동문을 이루는 동사의 재검토 62
2.3. 피동문의 의미 80
3. 피동사의 형태적 특성 92
3.1. 어기의 특성 92
3.1.1. 타동사 93
3.1.1.1. 타동사로부터 파생된 피동사 목록 93
3.1.1.2. 피동화 제약의 재검토 94
3.1.2. 자·타 양용동사 100
3.1.2.1. 자·타 양용동사로부터 파생된 피동사 목록 100
3.1.2.2. 자·타 양용동사의 소멸과 피동사의 발달 간의 영향 관계 102
3.1.3. 자동사 113
3.1.3.1. 자동사로부터 파생된 피동사 목록 113
3.1.3.2. 동사의 검토 114
3.2. 접사의 특성 137
3.2.1. 접사의 이형태 138
3.2.2. 접사 중첩 현상 167
3.2.2.1. 중첩형 출현의 통사·의미적 조건 171
3.2.2.2. 중첩형의 표현적 효과 174
3.2.2.3. 중첩형 출현의 배경 179
4. 피동문의 통사·의미적 특성 187
4.1. 피동문의 통사적 특성 187
4.1.1. 행위자의 격 표지 188
4.1.1.1. 일반적 격 표지 189
4.1.1.2. 특이한 격 표지 194
4.1.2. 피행위자의 격 표지 199
4.1.2.1. 현대한국어의 을/를 피동문과 중세·근대한국어의 을/를 피동문 200
4.1.2.2. 을/를의 의미 기능 211
4.2. 피동문의 의미적 특성 215
4.2.1. 기본적 의미 216
4.2.1.1. 피동 216
4.2.1.2. 반사동 218
4.2.2. 부수적 의미 225
4.2.2.1. 재귀 225
4.2.2.2. 가능 230
4.2.3. 의미의 상관관계 237
5. 결론 241
참고문헌 246
[부록 1] 260
[부록 2] 289
[부록 3] 297
30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5336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피동-
dc.subject한국어 피동문-
dc.subject피동사-
dc.subject자‧타 양용동사-
dc.subject자동사-
dc.subject피동 접사-
dc.subject피동 표지-
dc.subject반사동-
dc.subject가능-
dc.subject재귀-
dc.subject‘을/를’ 피동문-
dc.subject목적어 있는 피동문-
dc.subject중세한국어-
dc.subject근대한국어-
dc.subject.ddc810-
dc.title한국어 피동문의 역사적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Baek Chaewon-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