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건문에 관한 멜러의 성향 이론과 조건문의 진리 조건 : Mellor`s Disposition Theory of Conditionals and Truth Conditions of Conditional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호진-
dc.date.accessioned2009-11-23T04:37:34Z-
dc.date.available2009-11-23T04:37:34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citation철학사상, Vol.23, pp. 167-197-
dc.identifier.issn1226-700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735-
dc.description.abstract아담스 논제는 직설법적 조건문 만약 A이면 C의 수용 정도가
A라는 가정 하에서 C에 대한 조건부 믿음의 정도와 같다는 논제이다. 이
논제는 많은 증거에 의해 지지되지만, 루이스의 사소성 결과로 인해 우리는
이 논제가 성립하는 조건문이 진리 조건을 가지지 않는다는 결론을 수용해
야 할 것 같다. 그러나 멜러는 만약 A이면 C의 주장이 어떤 믿음을 표현
하는 것이 아니라 A를 완전히 믿는다면 C를 믿을 추론적 성향을 표현하기
때문에, 루이스의 사소성 결과가 이 결론을 함축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
다. 멜러는 특히 만약 오스왈드가 케네디를 죽이지 않았다면 어떤 다른 사
람이 죽였다와 같은 과거에 관한 직설법적 조건문이 대응하는 실질 조건
문의 진리 조건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멜러의 이 주장에 반대하여
이 조건문이 실질 조건문의 진리 조건을 가지지 않는다고 논증할 것이다.
더 나아가 직설법적 조건문은 어떤 진리 조건도 가지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직설법적 조건문을 수용하기 위해 실질 조건문의 믿음 이외에 무엇
이 더 필요한지의 물음을 통해, 직설법적 조건문이 진리 조건을 가지지 않
는다고 생각해야 할 어떤 이유를 제시할 것이다.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dc.subject직설법적 조건문-
dc.subject아담스 논제-
dc.subject사소성 결과-
dc.subject조건문의 성향-
dc.title조건문에 관한 멜러의 성향 이론과 조건문의 진리 조건-
dc.title.alternativeMellor`s Disposition Theory of Conditionals and Truth Conditions of Conditionals-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Roh, Ho Jin-
dc.citation.journaltitle철학사상-
dc.citation.endpage197-
dc.citation.pages167-197-
dc.citation.startpage167-
dc.citation.volume2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