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eep fading 채널을 고려한 블록단위 SNR-scalable coding : Block based SNR-scalable coding for deep fading channel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채수익-
dc.contributor.author홍성진-
dc.date.accessioned2017-10-31T07:38:18Z-
dc.date.available2017-10-31T07:38:18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00000014623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740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2017. 8. 채수익.-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새로운 multiple-layer SNR-scalable coding을 제안하고, 무선통신망에서 fading 때문에 채널 용량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에도 비디오 영상을 끊김 없이 전송하기 위하여 제안한 video encoding을 최적화하는 문제를 다룬다. 그리고 제안한 multi-layer SNR-scalable coding 알고리즘은 블록단위로 동작하도록 HEVC 표준을 수정 확장하여 H/W구현에 적합하다.
실험에 이용한 시나리오에서는 fading 채널 용량의 변화를 구현하기 위해 이를 결정하는 3가지 파라미터(평균 SNR과 line-of-sight(K) 비중, maximum Doppler shift)를 조절하였다. 각 시나리오에서는 level cross rate(LCR), average fade duration(AFD), average inter-fade duration(AIFD)를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시가변 채널의 SNR 정보를 일정한 지연시간 후에 매 packet마다 feedback 받지만, 구현은 picture 단위로 MCS 적용하였다. 채널 용량은 slice, picture, 2-GOP 단위마다 추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coding layer 수를 결정하고, decoding distortion 기반 cost을 최소화하도록 각 layer별 평균 target bitrate을 정하였다.
Coding layer 수는 2-GOP 단위로 fading이 일어나는 횟수와 fading depth를 이용하여 채널 상태를 추정한 후, 이전 2-GOP 단위에서의 전송 layer 수 (K)의 평균 값에 이 추정 결과를 활용하여 결정하였다. Picture 단위 bit allocation에서는 decoding distortion 기반 cost를 최소화하도록 모든 경우의 bit allocation을 비교해 layer별 target rate를 할당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송 layer 수 K는 인코딩 결과 실제 사용된 layer별 bitrate을 예측한 채널 용량으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이 때 각 layer별로 계산된 값을 본 논문에서 이용한 MCS code rate의 최대값인 13/16과 비교하여, 이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layer까지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실험에는 2초 분량의 Ricean 채널을 이용하였다. 실험 시나리오는 송신단과 수신단이 2m 떨어진 상황에서 수신단이 송신단으로부터 1m/s로 멀어지며, 1초에서 1.5초 사이에 Ricean factor 값이 0.1인 장애물이 출현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실험은 coding layer 수를 4개로 고정하고, bit을 layer별로 동일하게 할당한 것을 anchor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수신단에서 측정한 Y-PSNR은 본 논문 실험 환경에서 평균 0.768dB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1
1.2 관련 연구 3
1.3 논문의 구성 4
제 2 장 Rate control 알고리즘과 IEEE 802.11ad 프로토콜 설명 5
2.1 Rate control 알고리즘 5
2.1.1 기존 HM의 rate control 알고리즘 6
2.1.1.1 Picture / CTU bit allocation 7
2.1.1.2 λ estimation 9
2.1.1.3 QP refinement 11
2.1.2 제안하는 rate control 알고리즘 12
2.1.2.1 제안하는 picture bit allocation 12
2.1.2.2 제안하는 누적 rate model 12
2.2 IEEE 802.11ad 프로토콜 설명 19
2.2.1 Preamble 20
2.2.2 Header / Data 20
2.2.3 Low Density Parity Check(LDPC) 23
제 3 장 SNR-scalable coding 알고리즘 설명 24
3.1 블록(CTU) 단위 동작 25
3.2 Prediction 단계에 적용된 fast 알고리즘 25
3.3 Layer selector를 위한 bitstream에서의 layer 구분 27
3.4 Decoding 성능을 높이기 위한 error concealment 알고리즘 28
제 4 장 Wireless 채널 용량 모델 30
4.1 Fading 채널 모델을 이용한 feedback 채널 정보의 추정 31
4.2 Slice/picture 정보를 이용한 picture/2-GOP 단위 채널 용량 추정 36
4.3 SNR과 packet error rate의 관계 37
제 5 장 Layer 수 결정과 layer별 bit allocation 38
5.1 k-GOP 단위 평균 layer bit 할당과 코딩 layer 수 결정 38
5.2 Picture 단위 layer별 bit 할당 40
5.3 Picture 단위 전송 layer 수 결정 43
5.4 Slice 단위 layer별 bit 할당 45
5.5 MCS index 결정 47
제 6 장 Fading channel 환경의 실험 결과 48
6.1 채널 용량 추정 관련 실험 48
6.1.1 Fading channel 시나리오 구성 48
6.1.2 채널 특성 파라미터 측정 54
6.1.3 Regression을 이용한 채널 용량 추정 56
6.2 Layer 수 결정 및 layer별 bit allocation 관련 실험 60
6.2.1 Coding layer 수와 전송 layer 수의 비교 60
6.2.2 Allocation에 따른 성능 평가 63
제 7 장 결 론 6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3260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dc.subjectSNR-scalable coding-
dc.subjectrate control-
dc.subjectchannel capacity-
dc.subjectfading channel-
dc.subject.ddc621.3-
dc.titleDeep fading 채널을 고려한 블록단위 SNR-scalable coding-
dc.title.alternativeBlock based SNR-scalable coding for deep fading channels-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dc.date.awarded2017-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