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20-30대 미혼 여성의 정체성 표현을 위한 디자인 치료 프로그램 연구-캐릭터 리틀아이와 DAP와의 비교를 통한 표현의 풍부성 효과를 중심으로- : Character Little i Design Therapy Program for Single Women in their 20s and 30s: Focusing on the Ample Expressions Detected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DAP Tes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노현지; 윤주현

Issue Date
2016-11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Citation
디자인학연구, Vol.29 No.4, pp.123-137
Abstract
연구배경 2·30대 미혼 여성들은 정체성의 혼란에 대한 해법으로 미술치료를 선호한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기법은 감각적인 대상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진화중이다. 심상치료에 디자인 개념을 접목했을 경우, 치료라는 목적과 순수한 자기표현인 미술과의 교섭은 의미적 한계를 넘어, 디자인의 시대적 감수성에 부합하는 문제 해결 능력을 통해 내면 표현을 더 효과적으로 이끌 수 있다고 기대했다. 연구방법 캐릭터 디자인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DAP(Draw a Person) 검사와 비교하는 복합적 연구 방법론을 설계하였다. 먼저 2·30대 미혼 여성 30명에게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고, DAP의 질적분석방법을 통해 비교 분석했다. 이를 기준으로 차별화 요인을 도출해 다시 내용적인 면과 형식적인 면에서의 자아 표현의 요인으로 정리, 이를 토대로 설계된 리커트식 5점 척도 설문으로 2차 면접을 통해 두 가지 프로그램의 표현 요소별 비교 연구를 통해 양적 검증한다. 연구결과 디자인 치료 프로그램인 캐릭터 리틀 아이 프로그램은 질적 분석에서 자아의 표현에 내용에서 신체상을 표현 외에는 모두 더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형식적인 부분에서도 흥미도와 난이도에서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리커트 5점 척도 설문에서도 동일하게 증명되었다. 결론 디자인을 미술치료에 접목한 프로그램이 자아의 내면 표현의 표현하는데 발견한 효과는 표현의 풍부성과 참여의 몰입성의 면에서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시작으로 디자인적 개념, 방법론을 적용한 심상 치료로서 디자인 치료의 연구와 개발을 기대한다.

Background Despite the fact that diverse art therapy techniques exist for single women in their 20-30s who struggle with identity/issues with self, because art itself stems from and is oriented towards pure creation, it is difficult to ignore the reality of limitations in developing goal-oriented methodologies. Nevertheless, we expected that combining the problem-solving and expressive aspects of design with emotional therapy would effectively assist people to communicate their inner being.
Methods By using DAP(Draw a Person), which employ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 focused on compiling a combined research method that focuses on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ectiveness of art/design therapy.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ults drawn from focused interviews with 30 single women in their 20s to 30s and noted the DAP self-portraits and character drawing programs developed via employing design ideologies and methodologies. From the results we organized our findings into contextual and expressional representations of self. Based on this we employed the Likert 5-point scale to conduct a second interview and extracted a study on each art programs quantitative effectiveness regarding their expressive quality. Results As one of the design therapy programs, the Little i program has been proven to receive positive responses from participants in spite of the fact that it has limitations in the expressiveness of bodyimages. Even when it comes to formalities, the Little i program was proven to receive encouraging participant responses due to its ability to both draw interest and maintain a competitive level of relative difficulty. Our findings were further confirmed according to the Likert scale test results.
Conclusions Integrating design with art therapy programs proves to be an efficient and effective method that, through its expressive availability and attractive intensity, allows one to communicate with the self. By utilizing these facts we hope that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pragmatically of design therapy will continue and flourish.
ISSN
1226-8046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8956
DOI
https://doi.org/10.15187/adr.2016.11.29.4.12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