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직시성과 담화연결성: 독일어 also와 deshalb, 한국어 그러니까의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기능화용론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창우-
dc.contributor.author지은영-
dc.date.accessioned2018-05-28T17:03:54Z-
dc.date.available2018-05-28T17:03:54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00000015062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1071-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2018. 2. 강창우.-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기능화용론적 바탕에서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을 갖는 연결사의 담화연결성 분석을 목표로 하였다.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적 언어 수단인 연결사는 직시적 어휘에서 파생된 어휘들로 구성되어 있다. 직시적 표현은 발화 및 텍스트, 문장 내 연결과 관계되는 연결사에 다수 포함되어 독일어의 구조 확장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결사의 담화연결성 분석을 위해 연결사에 포함된 직시적 성분의 의미적 특성에 주목하고, 기능화용론적 관점에서 독일어 also와 deshalb, 한국어 그러니까의 담화연결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also의 통사적, 의미적, 의사소통 기능적 특성에 관한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also의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 분석을 위해 기능화용론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기능화용론의 기본 개념들을 설명하였다.

2장에서는 also의 담화연결성 분석을 위해 필요한 주요 개념으로 직시성과 담화연결성을 소개하였다. 직시성은 직시 절차로 수행되는 지시적 의미 관계이다. 직시적 표현이 지시하는 바에 따라 직시적 표현으로 언급되는 대상이 변화하므로, 직시적 표현을 의미론적 정의에 기초하여 설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담화연결성은 연결사가 나타내는 의미적, 기능적 특성을 나타내며, 연결사를 구성하는 형태적 요소의 의미를 바탕으로 생성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에서 also의 연결성 분석을 위한 세 가지 범주로서 지시의 방향, 연결 층위, 연결 단위를 제안하였다.

3장에서는 also의 의사소통 기능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also의 연결 관계들인 추론, 요약, 수정, 상술, 메타 담화 도입, 풀어쓰기, 부연을 재정의하였다.

4장에서는 2장에서 제시한 also의 연결의미 분석을 위한 세 가지 범주를 이용해 실제 인터뷰 대화에서 나타나는 also의 담화연결성을 분석하여 추론성을 도입하는 ALSO, 풀어쓰기를 도입하는 ALSO, 수정을 도입하는 ALSO, 요약을 도입하는 ALSO, 부연을 도입하는 ALSO, 상술을 도입하는 ALSO, 담화를 도입하는 ALSO 등 총 7개의 담화연결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설을 통해, deshalb의 담화연결성으로서 추론성을 도입하는 DESHALB와 결과를 도입하는 DESHALB를 확인하였다.

5장에서는 also와 의미상ㆍ기능상 대역어 관계에 있는 그러니까의 담화연결성을 분석하여 선행 발화를 지시하는 그러니까, 추론성을 도입하는 그러니까, 풀어쓰기를 도입하는 그러니까, 수정을 도입하는 그러니까, 요약을 도입하는 그러니까, 부연을 도입하는 그러니까, 상술을 도입하는 그러니까, 담화를 도입하는 그러니까 등 총 8개의 담화연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0. 들어가는 말 1

1. 연구 대상과 이론적 배경 4
1.1 연구사 및 문제제기 4
1.1.1 also의 통사적 특성에 관한 선행 연구 4
1.1.2 also의 의미‧의사소통 기능적 특성에 관한 선행 연구 6
1.1.2.1 Griesbach/Schulz (1962) 7
1.1.2.2 Dittmar (2002) 9
1.1.2.3 Deppermann/Helmer (2013) 11
1.1.2.4 Rehbein (2012) 16
1.1.2.5 요약 18
1.2 이론적 배경: 기능화용론 19
1.2.1 기본 개념 19
1.2.2 화행 vs. 언어행위 27

2. also의 기능 분석을 위한 범주 31
2.1 지시의 방향 31
2.1.1 연결사의 직시성 36
2.1.2 also의 절차적 특성 33
2.1.3 also의 직시성 36
2.2 담화연결성 37
2.2.1 담화표지에 관한 논의 37
2.2.2 연결 의미 기술의 어려움 42
2.2.3 연결 층위와 연결 단위 48
2.3 정리 51

3. 담화연결성의 기능 범주 54
3.1 추론 54
3.2 풀어쓰기 61
3.3 수정 67
3.4 상술과 부연 71
3.5 요약 74
3.6 담화의 구성과 조직을 위한 메타의사소통 기능 78

4. also의 담화연결성 83
4.1 분석 자료 83
4.2 분석 방법 86
4.3 also의 담화연결성의 유형 88
4.3.1추론성을 도입하는 ALSO 88
4.3.2 풀어쓰기를 도입하는 ALSO 92
4.3.3 수정을 도입하는 ALSO 97
4.3.4 요약을 도입하는 ALSO 103
4.3.5 부연을 도입하는 ALSO 109
4.3.6 상술을 도입하는 ALSO 114
4.3.7 담화를 도입하는 ALSO 119
4.4 also의 담화연결성과 문장 내의 위치 125

부설: deshalb의 담화연결성 129
1. 결과 귀속의 의미를 나타내는 대명사적 부사에 관한 선행 연구 129
2. deshalb의 절차적 특성 132
3. deshalb의 담화연결성 134
3.1추론성을 도입하는 DESHALB 134
3.2결과를 도입하는 DESHALB 137

5. 그러니까의 담화연결성 141
5.1 그러니까의 절차적 특성 141
5.2 분석 자료 143
5.3 그러니까의 담화연결성의 유형 144
5.3.1 선행발화를 지시하는 그러니까 144
5.3.2 추론성을 도입하는 그러니까 152
5.3.3 풀어쓰기를 도입하는 그러니까 156
5.3.4 수정을 도입하는 그러니까 159
5.3.5 요약을 도입하는 그러니까 164
5.3.6 부연을 도입하는 그러니까 169
5.3.7 상술을 도입하는 그러니까 175
5.3.8 담화를 도입하는 그러니까 181

6. also, deshalb, 그러니까의 담화연결성 비교 187

7. 결론 192

참고문헌 206
독문초록 212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5710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연결사-
dc.subject직시성-
dc.subject담화연결성-
dc.subject기능화용론-
dc.subject의사소통 기능-
dc.subject.ddc830-
dc.title직시성과 담화연결성: 독일어 also와 deshalb, 한국어 그러니까의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기능화용론적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i, Eun Young-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dc.date.awarded201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