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연결주의가 적용된 개인학습환경 설계원리 개발 연구 : A Study on Developing the Design Principles of Personal Learning Environment for Connectivis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다은

Advisor
임철일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
Issue Date
2018-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연결주의개인학습환경cMOOC웹 2.0블로그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 2018. 2. 임철일.
Abstract
새로운 지식이 생겨나고 그 지식이 다시 쓸모없어지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 새로운 지식이 빠르게 생겨나고, 수정되며, 소멸되는 디지털 시대에는 개인이 모든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네트워크상의 정보 및 사람과 연결을 형성하고 필요할 때 적절한 연결을 찾아갈 수 있는 역량이 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학습이론으로 등장한 연결주의는 정보가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있고, 분산되어 있는 정보의 노드(node) 간의 연결이 곧 지식이라고 본다. 따라서 지식은 획득될 수 있는 어떤 것(thing)이 아니며 네트워크에 참여함으로써 노드 간의 연결의 패턴을 확인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이러한 연결주의 학습은 우리의 일상 속에서 무형식적이고 발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결주의 학습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원리를 탐색하는 연구는 제한적이다. 성공적인 연결주의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자율성과 촉진자가 제공하는 구조 사이에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 이때 촉진자는 전통적인 교수-학습 장면에서와 같이 학습내용에 대한 유일한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하기 보다는 학습자의 연결 형성을 지원하는 촉진자로서 적절한 개입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결주의가 적용된 개인학습환경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원리에 대해 두 차례의 전문가 타당화를 거쳐 내적 타당성을 확보하고 설계원리를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 및 교수자의 반응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주의가 적용된 개인학습환경 설계원리는 무엇인가? 둘째, 연결주의가 적용된 개인학습환경 설계원리의 내적 타당성은 어떠한가? 셋째, 연결주의가 적용된 개인학습환경 설계원리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반응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연구 방법론의 절차를 따라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먼저 연결주의 및 개인학습환경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대표적인 cMOOC 세 가지에 대한 경험적 탐색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이후 초기 설계원리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검사를 실시하고 CVI와 IRA를 중심으로 결과를 분석해 설계원리의 내적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후 외적 타당화를 위해 설계원리를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적용이 끝난 이후 학습자와 교수자를 대상으로 반응검사를 실시하였다.
설계원리가 적용된 수업에 대해 학습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많은 사람과 지식 및 의견을 공유할 수 있었고, 다양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부족한 지식을 보충할 수 있었으며, 형식의 제약 없이 자유로운 학습이 가능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몇몇 학습자는 자율적인 탐구활동보다는 구조화된 강의를 제공해줄 것을 원했으며 네트워크상에 자신의 활동을 공개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학습자도 있었다. 친숙하지 않은 테크놀로지의 사용으로 인해 학습의 효율이 떨어졌다는 응답도 있었다. 교수자의 경우 본 설계원리가 학습자에게 적절한 가이드를 제공한다는 점을 강점으로 언급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자율성과 균형을 이루는 구조화된 지원을 제공하고자 했던 본 설계원리의 개발 목적과 부합한다. 반면 교수자는 외부의 전문가를 섭외하는 것에 있어서 어려움을 보였다.
학습자 및 교수자 반응검사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연결주의가 적용된 개인학습환경 지원 설계원리가 도출되었다. 최종 설계원리는 적극적 개방의 원리, 창작물 공유 촉진의 원리, 자율성의 원리, 정보 리터러시 개발의 원리, 풍부한 자원 제공의 원리, 교수 실재감의 원리, 분산된 활동 종합의 원리 총 7개이며, 총 21개의 세부전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연구의 결과로 연결주의의 개념모형이 개발되었으며, 수업 전, 중, 후의 단계에 따른 설계원리의 적용 양상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연결주의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며 연결주의 학습 실현의 난점은 무엇인지, 형식교육 장면에 연결주의를 적용할 때 발생하는 이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후속연구에서는 최소 한 학기 단위 이상의 프로젝트 형태로 본 설계원리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결의 형성을 확인하고, 보다 다양한 웹 2.0 및 소셜 네트워킹 도구를 활용하여 개인학습환경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형식교육 맥락 외에도 비형식·무형식교육 맥락에 대한 적용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연결주의에서 말하는 연결의 대상이 무엇인지 정리한 개념모형을 제안하고 있으며, 연결주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자율성과 구조화된 지원이 균형을 이룬 개인학습환경 설계원리를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se days, new knowledge develops and becomes useless in a very short term. In the digital era where new knowledge is rapidly generated, modified and decimated, it is impossible for individuals to acquire all the knowledge. This makes it more important to connect with information and people in network and to identify appropriate connections when needed.
Connectivism, which was suggested as a new learning theory in the digital age, considers knowledge as a connection between information nodes distributed in the network. According to connectivism, people can learn by recognizing and interpreting useful patterns between the nodes.
While connectivist learning happens in an informal way in our daily lives,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design principles that support connectivist learning. For successful connectivist learning, a proper balance between the autonomy given to learners and the structured support provided by a facilitator is necessary. For example, the facilitator can provide adequate interventions to help learners make great connections, rather than deliver learning materials as an expert.
In this study, the design principles of personal learning environment for connectivism were developed. Specific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esign principles of personal learning environment for connectivism? Second, what is the intrinsic relevance of the design principles? Third, what is the reaction of learners and an instructor to the principles?
The design principles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of the development study methodology. First of all, preliminary design principl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view of the earlier studies and the analysis of three representative cMOOCs. After then, the initial design principles were evaluated by experts to ensure the internal validity of them. Afterwards, the revised design principles were applied to a class to ensure the external validity of them. Lastly, the final design principles were developed reflecting the students and the instructors responses to the class.
When the design principles were applied to the class, the learners were able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opinions through the network with experts and other learners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ssroom. In addition, they supplemented their limited knowledge with the feedback of the experts and other learners. They also learned what they were interested in and found their own way to learn without any given formality. However, some learners required more structured instruction rather than their autonomous exploring activities. Also, they complained about the inefficiency because of the use of tools that were not familiar with them. Additionally, there were some learners who felt unhappy about sharing the results of their activities in open online spaces.
Reflecting the responses of the learners and the teacher, the final design principles were developed. They include seven components: the principle of encouraging openness, the principle of facilitating the sharing of artifacts, the principle of supporting autonomy, the principle of developing information literacy, the principle of providing abundant online resources, the principle of supporting teacher presence, and the principle of aggregating distributed activities. In addition, the steps to which the design principles were appli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class) were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actors that can affect the successful connectivism, the difficulties of realizing connectivism, and some issues when connectvism is applied to the formal educational context were discussed.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for the future work that the formation of a connection should be identified in a longer term by applying the principles for more than one semester, that a more diverse Web 2.0 or social networking tools should be utilized, and that the principles should be applied not only to formal educational contexts but also to informal or non-formal learning situations.
This research will add to the body of knowledge of connectivism in the sense that it proposes a conceptual model of connectivism. Further,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by suggesting the design principles of personal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vide structured activities while supporting learners autonom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199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