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기관 기관장의 전문성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op Managers Managerial Expertis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orean Public Institution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영한-
dc.contributor.author유진아-
dc.date.accessioned2018-05-29T05:16:17Z-
dc.date.available2018-05-29T05:16:17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00000015129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253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2018. 2. 전영한.-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공공기관 기관장이 보유한 전문성이 조직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 분석이다. 최고관리자는 조직 내부의 자원 및 조직이 속한 환경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재해석하여 조직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환경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등 조직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조직의 최고관리자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은 중간관리자나 하급관리자에게 요구되는 관리기술과 구별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고관리자의 전문성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은 미흡하였다.
기존 국내외 연구자들은 최고관리자의 전문성을 업무전문성, 사업전문성, 과학기술 전문성, 재무전문성, 산업전문성 등으로 좁혀 전문성의 어느 한 측면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제시한 바 있다(Kirkpatrick et al, 2017
-
dc.description.abstractTeodoro, 2014-
dc.description.abstract박원, 2014-
dc.description.abstract유승원, 2009). 이러한 연구 경향 때문에 전문성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리 전문성을 조직관리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축적된 지식이나 고도의 기술로 정의하고, Becker(1964)가 제시한 인적자원의 하위차원을 활용하여 최고관리자 전문성의 하위차원을 제시하였다.
공공기관장의 전문성 측정을 위해 Becker(1964)의 분류를 적용하여 기관장의 전문성을 일반관리 전문성(generic management expertise), 조직내부 전문성(internal expertise), 지식 전문성(intellectual expertise)으로 나누었다. 한편 목표가 명확하지 않은 공공기관의 다차원적 성과를 고려하여, 조직의 성과는 효과성, 효율성, 형평성의 3개 차원으로 측정하였다.
공공기관장의 전문성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반관리 전문성이 조직의 효율성과 형평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조직내부 전문성과 지식 전문성은 조직의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과지표별로 차이는 있으나, 공공기관장이 보유한 전문성 중 일반관리 전문성이 조직의 성과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체계적인 접근이 부족했던 공공조직 최고관리자에게 필요한 전문성의 하위차원을 제시하고, 각 전문성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전문성과 관련한 지식의 구체화 및 일반화에 기여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전문성보다 관리 경험을 통해 축적된 전문성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검증함으로써 공공기관의 기관장 임용 기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실천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진다. 전문성을 보유 여부만으로 측정함으로써 전문성의 질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였고, 조사 대상자의 인식에 기초한 성과 이외에 다른 기준으로 측정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지 못하였다. 또한 기관장의 임명 시점과 조직성과 측정 시점 사이에 시차가 있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보완하려고 시도했으나, 미흡하였다. 이러한 측정상의 한계는 향후 측정 방법에 대한 보완 및 종단적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진다면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1.2 연구의 대상과 범위 3
II.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의 검토 6
2.1 공공기관 기관장의 전문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 6
2.1.1 조직 최고관리자의 전문성에 대한 논의 6
2.1.1.1 최고관리자의 전문성에 대한 연구경향 6
2.1.1.2 전문성의 정의 9
2.1.1.3 최고관리자 전문성의 하위차원 12
2.1.2 공공기관 기관장의 전문성에 관한 논의 15
2.2 공공기관의 성과에 관한 이론적 논의 17
2.3 최고관리자의 전문성과 성과 간 관계에 대한 논의 19
III. 연구의 설계 및 분석 방법 21
3.1 연구모형 및 가설 21
3.1.1 연구의 분석틀 21
3.1.2 가설의 설정 22
3.2 연구 방법 25
3.2.1 분석 자료 25
3.2.2 변수의 측정 25
3.2.2.1 종속변수 25
3.2.2.2 독립변수 28
3.2.2.3 통제변수 30
3.2.3 분석 방법 36
3.2.3.1 기술통계분석 36
3.2.3.2 요인분석 37
3.2.3.3 상관분석 37
3.2.3.4 다중회귀분석 및 합동(Pooled) OLS 38
3.3 분석 모형 39
IV. 분석 결과 40
4.1 기술통계분석 결과 40
4.1.1 종속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결과 40
4.1.2 독립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결과 42
4.1.3 통제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결과 45
4.2 요인분석 결과 52
4.2.1 종속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52
4.2.2 통제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53
4.3 상관분석 결과 55
4.4 다중회귀분석 결과 57
4.5 가설검정 결과와 해석 60
V. 결론 62
5.1 연구 결과의 요약 62
5.2 이론적 의의 및 정책적 함의 64
5.2.1 이론적 의의 64
5.2.2 정책적 함의 65
5.3 연구의 한계 6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065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관리 전문성-
dc.subject조직 성과-
dc.subject일반관리 전문성-
dc.subject조직내부 전문성-
dc.subject지식 전문성-
dc.subject.ddc350-
dc.title공공기관 기관장의 전문성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Impact of Top Managers Managerial Expertis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orean Public Institution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inah Yoo-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행정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18-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