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명예훼손법의 기초이론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효순-
dc.contributor.author김범진-
dc.date.accessioned2018-11-12T01:02:48Z-
dc.date.available2018-11-12T01:02:48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245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3384-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18. 8. 남효순.-
dc.description.abstract명예훼손법은 명예권과 표현의 자유 사이에서 적정한 균형점을 찾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그런 점에서 미국에서는 1964년 New York Times v. Sullivan 판결 이후 명예훼손법이 헌법화(constitutionalized)되었다고 설명된다. 그러나 명예훼손 재판에서의 비교형량은 명예권과 표현의 자유라는 헌법적 가치를 저울질하듯이 비교하는 것에 그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전에 명예권의 의미와 내용을 규정하는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하고, 또한 민주주의의 성숙도, 각 국가별 헌법적 결단과 같은 표현의 자유의 내용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진지한 고찰이 필요하다. 명예훼손 불법행위가 사회학적 불법행위(sociological tort)라고 불리는 이유도 바로 그러한 점에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고에서는 명예훼손법상 명예권의 구체적 내용을 이루는 여러 요소들에 관한 역사와 이론들을 살펴보고, 그러한 고찰이 우리 재판실무에 대해 갖는 시사점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우선 근대적 명예권의 형성과정 및 명예권의 제한사유로서 표현의 자유의 역사를 검토하였고,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명예훼손법제가 성립된 것은 불과 반세기 남짓에 불과하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근대 이전 명예훼손법은 선동적 명예훼손(seditious libel)의 예에서 보듯이, 지배권력에 저항하는 목소리를 탄압하는 수단으로 악용되었으나, 19세기를 거치면서 민주주의와 표현의 자유의 확립에 따라 명예권의 개념은 과거의 귀족적 색채에서 공리주의와 인간의 존엄, 평등사상을 반영하는 형태로 변모하였다. 다만 이러한 명예권의 내용은 각 국가가 처한 역사적, 문화적 전통에 따라 그 내용을 달리하는데, 독일, 미국, 영국, 캐나다 4개국의 명예권의 실체와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명예권과 그 제한사유로서의 표현의 자유가 각 국가의 고유한 역사적, 문화적 전통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서구의 논의를 중심으로 현대 명예훼손법상 명예 혹은 평판 개념의 의미 내지 구조를 사회과학, 형법학 등 인접 학문의 연구결과와의 관련 속에서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이론적 고찰을 배경으로 우리나라에서의 명예권의 개념을 한국의 문화적 전통, 실정법, 재판실무의 3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적 전통, 실정법의 측면에서는 명예권 보호를 중시하는 전통을 갖고 있지만 재판실무의 경우 손해배상제도의 특수성과 단절된 근대화의 역사를 배경으로 독특한 명예권 개념이 형성되었다는 점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 명예훼손 재판에 있어서 필요한 고려요소들을, ① 정치적 표현행위의 문제, ② 비정치적, 공익적 표현의 문제, ③ 비정치적, 비공익적 표현의 문제, ④ 명예권 보호정도에 관한 역사 내지 사회문화의 측면, ⑤ 명예훼손 개념의 의미와 관련한 가치체계의 측면, ⑥ 당사자의 도덕성의 측면, ⑦ 당사자의 주관적 지위의 측면 등 7가지로 살펴보고, 각 요소별로 문제되는 세부 쟁점을 대법원 및 하급심 판결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종래 공익성이라는 하나의 관점으로 설명되는 위법성조각사유를 명예훼손법의 이론체계에 맞게 좀 더 세밀하게 분화된 기준으로 정립할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명예권 보호의 정도 내지 명예훼손의 개념에 관해서도 법사회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당사자의 도덕성과 법률요건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재판실무는 도덕성과잉의 문제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고찰을 배경으로 현대 명예훼손법상 가장 중요한 이론적 쟁점 중 하나인 이른바 공인이론(public figure theory)의 문제를 기존 학설에서 논의된 내용과 다른 시각에서 검토해 보고, 최근 우리나라에서 치열하게 논의되고 있는 명예훼손법 비범죄화, 진실적시 명예훼손 폐지론에 대해 갖는 함의들을 살펴보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의 제기 1

I. 논문의 목적 및 검토의 필요성 1

II. 명예훼손 소송의 구조적 복합성 4

III. 정리 9

제2절 본 논문의 고찰범위 및 서술순서 9

I. 본 논문의 고찰범위 9

II. 본 논문의 서술순서 10



제2장 근대 이전의 명예훼손법 12

제1절 고찰의 필요성 12

제2절 19세기 이전의 표현의 자유 13

I. 개요 13

II. 19세기 이전 표현의 자유에 관한 선도적 이론 14

제3절 19세기 이전의 명예훼손법 : 영미법의 경우 16

I. 서설 16

II. 19세기 이전 영국 명예훼손법 17

III. 19세기 이전 영국 명예훼손법의 주요 유형 21

1. 선동적 명예훼손(seditious libel) - 정치적 반대자에 대한 통제의 장치 21

가. 개요 21

나. 선동적 명예훼손의 역사 22

(1) 스칸달리스 마그나툼(Scandalis Magnatum) - 1275년 22

(2) 리벨리스 파모시스(De Libellis Famosis), 성실재판소(星室裁判所, Star Chamber) 15~17세기

23

(3) 19세기까지의 선동적 명예훼손 26

2. 신성모독적 명예훼손(blasphemous libel) 및 교회법(ecclasiastical law)상의 명예훼손 - 정신적 통제의 장치 28

가. 신성모독적 명예훼손(blasphemous libel) 28

나. 교회법(ecclasiastical law)상의 명예훼손 29

3. 외설적 명예훼손(obscene libel) 31

4. 일반사인에 대한 명예훼손과 결투(duel)의 문제 32

가. 일반론 32

나. 결투(duel)의 문제 34

5. 영미 명예훼손법상 면책사유의 발전 36

가. 17세기–절대적 면책사유 37

나. 19세기–상대적 면책사유 38

제4절 소결 및 정리 40



제3장 근대적 명예권의 형성 41

제1절 개요 41

제2절 명예훼손법의 탈정치화(脫政治化) - 표현의 자유의 확립과 선동적 명예훼손, 종교적 명예훼손의 소멸 42

I. 서설 42

II. 표현의 자유의 확립과 명예훼손법의 변화 42

1. 선동적 명예훼손 및 유사법령의 쇠퇴 43

2. 20세기초 변화의 이념적 기초 : 사상의 자유시장 이론 등 47

가. 이른바 사상의 자유시장 이론의 개요 47

(1) 서설 47

(2) 사상의 자유시장 이론의 내용 48

(3) 사상의 자유시장 이론에 대한 비판 50

나. 기타이론 53

(1) 민주주의, 민주주의적 자치정부(democratic self government) 이론 53

(2) 자율성 이론(autonomy theory) 56

다. 정리 59

III. 소결론 : 일반 불법행위로서 명예훼손법 60

제3절 명예권 개념의 변화 - 근대적 의미의 명예권 개념의 형성과정 61

I. 개요 61

II. 근대이전의 명예권 개념 62

III. 19세기 이후의 변화 : 근대적 명예권의 형성과정 64

1. 변화 1 : 재산권으로서의 평판의 개념 - 시장사회, 개인주의, 공리주의의 영향 64

가. 19세기의 재산권적 평판 개념의 등장 65

나. 사회적, 이념적 배경 66

다. 한계 및 문제점 69

2. 변화 2 : 인간 존엄(human dignity)과 명예권 70

가. 서설 70

나. 이론적 배경 : 근대적 인권 개념의 등장 70

다. 인간 존엄에 기초한 명예권 개념의 의미 71

라. 재산권으로서의 평판과의 관계 72

3. 소결론 73

제4절 명예훼손법의 재정치화(再政治化) - 이른바 공인이론의 탄생과 그 영향 74

I. New York Times 판결과 공인이론 74

1. New York Times 판결 74

2. New York Times 판결 이전 면책특권과 공인이론 75

II. 영미 명예훼손법상 현실적 악의(actual malice)의 역사적 변천 78

III. 공인이론의 미래 79

제5절 소결 및 정리 80



제4장 현대 명예훼손법상 명예, 평판의 구조 82

제1절 용어의 정의, 명예권 침해의 기본구조 등 82

I. 용어의 정의 82

II. 명예권 침해의 기본구조 84

1. 서설 84

2. 소유권 침해와의 비교 86

가. 개요 86

나. 명예권에 관한 질문들 88

III. 인접학문에서 명예, 평판 개념 89

1. 형법학 89

2. 인문사회과학에서 명예, 평판 개념 93

가. 사회학, 도덕철학 등에서 명예(honor) 개념 93

나. 사회학, 경제학 등에서 평판(reputation) 개념 97

다. 소결 및 정리 99

IV. 명예권 부정설의 입장 99

제2절 현대 명예훼손법상 명예, 평판 개념의 구조 102

I. 명예(honor)로서의 평판 102

1. 의미 102

2. 명예훼손법상의 함의 103

가. 명예훼손 소송의 전근대적, 비합리적 성격 103

나. 특정집단의 구성원들에 대한 명예훼손의 문제 104

다. 영미법상 추정적 손해(presumed damages)의 개념 104

라. 단순한 평판침해와의 차이점 106

마. 소결 107

3. 명예(honor)와 존엄(dignity)의 갈등관계 108

II. 재산권(property)으로서의 평판 109

1. 개요 109

2. 명예훼손법에의 반영 109

가. 평판의 계량화 가능성에 대한 관념 109

나. 공동체 규범의 강제에서 피해자의 권리구제로 110

다. 공리주의(utilitarianism)와 정책(policy)의 문제 111

3. 재산권 개념의 한계 111

III. 존엄(Dignity)으로서의 평판 112

1. 개요 112

2. 명예훼손법에의 반영 - 공동체의 구성원 적격(standing in the community) 113

3. 존엄개념의 문제점 114

가. 존엄과 평판 관계의 모호성 114

나. 존엄 개념의 포괄성, 모호성 115

4. 소결 117

IV. 결론에 갈음하여 – 명예, 평판의 미래 117



제5장 명예권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120

제1절 서설 120

I. 명예권의 구체적 내용과 각 국가의 사회문화적 배경 120

II. 표현의 자유와 명예권 보호의 관계 : 상호비대립성의 측면 122

제2절 각 국가별 검토 126

I. 영국의 경우 126

1. 서설 126

2. 영국에서의 표현의 자유 127

3. 영국에서의 명예권 : 명예훼손법 개혁 이전 128

가. 명예권 보호의 중심지 : 이른바 명예훼손법의 세계수도 128

나. 미국과의 비교 130

4. 최근의 변화 133

가. 개요 133

나. 대법원 판결 및 최근의 입법 133

(1) 대법원(House of Lords) 판결들 133

(2) 관련 입법 138

(3) 국제적 영향 140

다. 최근의 변화에 대한 평가 142

4. 소결 및 정리 144

II. 독일의 경우 144

1. 개요 144

2. 독일 헌법상 인간 존엄의 법리와 표현의 자유 145

가. 인간 존엄의 법리 145

나. 독일에서의 표현의 자유 148

3. 독일의 명예권 및 명예훼손법 151

가. 인간의 존엄과 명예권 151

나. 표현의 자유와의 비교형량 : 구체적 사례들 153

4. 정리 : 독일에서의 명예권의 특징 158

III. 미국의 경우 160

1. 개요 160

2. 미국 헌법상 인간 존엄과 표현의 자유 160

가. 미국 헌법상의 인간 존엄의 개념 161

나. 미국의 표현의 자유 : 가치중립성 내지 내용중립성 164

3. 미국에서의 명예권 166

가. 공인의 경우 167

나. 일반사인의 경우 168

다. libel-proof plaintiff doctrine의 문제 169

라. 사회적 약자들의 경우 : 혐오표현(Hate Speech)의 문제 172

마. 소결 및 정리 174

IV. 캐나다의 경우 174

1. 개요 174

2. 캐나다의 헌법정신과 표현의 자유 175

가. 개요 175

나. 캐나다 표현의 자유의 특수성 : 공동체주의와 다문화주의 176

3. 캐나다의 명예권 180

가. 개요 180

나. 1995년 Hill v. Church of Scientology 판결 181

다. 2008년 이후의 변화 183

(1) WIC Radio Ltd. v. Simpson 판결 183

(2) Grant v Torstar Corp 판결, Quan v. Cusson 판결 184

4. 소결론 186

제3절 정리 186



제6장 우리나라 명예훼손법 내지 명예훼손 소송에서의 시사점 189

제1절 우리나라의 명예권 189

I. 실정법 체계 190

1. 헌법 190

2. 개별법령 190

3. 소결 193

II. 한국의 명예권 : 사회문화적 측면 193

1. 서설 193

2. 한국의 사회문화적 전통과 명예권 194

가. 개요 194

나. 한국의 집단주의적, 관계지향적 사회문화 195

다. 논의의 한계 199

3. 한국의 명예권의 내용 내지 구성요소 201

가. 개요 201

나. 우리나라 명예권의 구체적 내용 : 서양과의 비교 202

(1) 서설 202

(2) 명예(honor)로서의 평판–서양인의 명예(honor)와 비교 203

(3) 재산권으로서의 평판(reputation as property)의 측면 205

(4) 존엄으로서의 평판(reputation as dignity)의 측면 206

III. 재판실무상의 명예권 208

1. 논의의 전제 : 우리나라 명예훼손 소송의 특징 209

가. 전체적 검토 209

나. 우리나라와 미국의 명예훼손 손해배상 사건 비교 211

(1) 사건수, 승소율 및 인용금액 211

(2) 손해배상 항목 212

(3) 실제적 손해의 입증방법 관련 215

(4) 절차의 측면 및 소송비용 217

2. 우리의 재판실무에 나타나는 명예, 평판 개념 - 고도로 규범화, 추상화된 명예, 평판 개념 217

가. 개요 217

나. 평판침해의 한계사례들 219

(1) 정치 이데올로기와 관련된 사례들 219

(2) 이른바 libel-proof plaintiff doctrine과 관련하여 222

다. 정리 및 평가 224

(1) 추상적 명예, 명예 개념의 의미 –인간 존엄의 법리와의 관계 및 그 형성배경 224

(2) 추상적 명예, 평판 개념의 명예훼손법상 함의 226

IV. 명예권의 한계로서의 표현의 자유 228

1. 민주화 이전 228

가. 사상의 자유시장의 부존재 : 선동적 명예훼손의 예 228

나. 종교적, 외설적 명예훼손의 예 231

2. 민주화 이후의 표현의 자유 232

3. 소결 및 비교법적 검토 – 서구 선진국들과의 비교 234

V. 논의의 종합 : 한국에서의 명예권 236

제2절 명예훼손 재판에서의 고려요소 - 표현의 자유와 비교형량, 공인이론(公人理論)의 도입 논의 등 237

I. 서설 237

1. 문제의식 237

2. 민사재판에서의 정의와 형평의 문제 237

가. 민사사건의 다양성과 정의, 형평 237

나. 명예훼손 재판에서의 고려요소 241

II. 이른바 공인이론(公人理論)의 문제 242

1. 서설 242

2. 공인이론의 불균형 : 명예권 과소보호, 과다보호의 이중성 244

가. 개요 244

나. 명예권의 과소보호 내지 불균형적 보호 245

다. 공인이론과 명예권 과다보호 : 공인이론의 경직성 249

(1) 사실관계(Milkovich 판결) 250

(2) 소송의 경과 및 쟁점 251

(3) 하급심 판결의 판단에 대한 의문 252

(4) 공인이론과 공익성, 상당성 이론의 면책구조의 비교 254

(5) 소결 255

3. 소결 및 정리 256

III. 명예훼손 재판에서의 고려요소 258

1. 서설 258

가. 위법성 조각사유의 세분화 필요성 258

(1) 개요 258

(2) 반론 및 재반론 260

나. 대법원 판례의 입장 264

2. 위법성 조각사유의 요소들 267

가. 고려요소 1 : 정치적 표현행위의 우선성 267

(1) 의의 267

(2) 정치의 문제와 비정치적 공익성 사안의 구별 267

(3) 법원 판례의 사안들 검토 269

(4) 통시성, 역사성의 고려 278

(5) 소결론 279

나. 고려요소 2 : 비정치적, 공익적 사안 280

(1) 개요 280

(2) 비정치적 공적 이익이 관련된 사안들 282

(3) 문제되는 공익이 학문, 예술적 표현행위인 경우 286

(4) 소결 및 정리 293

다. 고려요소 3 : 비정치적, 비공익적 사안 - 제3자의 알권리 294

(1) 개요 294

(2) 유명인의 취급 295

라. 소결론 298

마. 관련문제 – 혐오표현(hate speech)의 의미 299

3. 명예권과 문화의 측면 300

가. 고려요소 4 : 명예권 보호 정도에 대한 사회적 합의 300

(1) 적정한 명예권 보호 v. 표현의 자유 300

(2) 공동체의 예의범절 규범의 법적 강제 306

(3) 통시적 고찰의 필요성 308

나. 고려요소 5 : 명예 혹은 평판 개념(혹은 명예훼손의 개념)에 대한 규범체계의 측면 309

(1) 개요 309

(2) 사회적 평판 저하 이외의 부가적 요건의 필요성 여부 309

(3) 우리나라의 사례들 310

4. 당사자의 주관적 사정 등 313

가. 고려요소 6 : 당사자의 도덕성 313

(1) 문제의 소재 313

(2) 명예훼손 소송에서 원, 피고의 도덕성이 문제되는 맥락 315

(3) 사례들 319

(4) 분석 322

(5) 소결론 327

나. 고려요소 7 : 당사자의 주관적 지위 329

5. 소결 및 정리 330

제3절 관련문제 : 명예훼손죄 비범죄화, 진실적시 명예훼손 폐지론 332

I. 기존의 논의들 332

1. 형사범죄 및 진실적시 명예훼손 폐지론 332

2. 존치론 333

II. 분석 334

1. 분석의 전제 334

2. 사견 337

가. 진실적시 명예훼손 폐지 논의와 관련하여 337

나. 비범죄화 논의 340



제7장 결론 343



참고문헌 346

Abstract 369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40-
dc.title명예훼손법의 기초이론에 관한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