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근육침윤성 방광암 환자에서 Ki-67 종양표지자의 예후적 의미: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경태

Advisor
구자현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18. 8. 구자현.
Abstract
비근육침윤성 방광암의 예후는 환자마다 다양하고 근육침윤성 방광암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에 고위험 환자와 저위험 환자를 구분하여 환자에게 맞춤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는 종양의 임상병리적인 특징만을 가지고 두 군을 구별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예후 예측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 점을 보완하고자 여러 종양표지자들이 개발되었지만, 현재까지 임상에서 널리 쓰이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종양표지자인 Ki-67의 임상적 효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Bladder cancer와 Ki-67를 주요어로 하여 Embase, Scopus, PubMed를 검색하였다. 검색된 1,959개의 논문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325개의 논문을 전체적으로 검토하였고, 이 중 PRISMA 가이드라인에 부합한 5,229명의 환자가 포함된 39개의 논문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time to event hazard ratio를 이용하여 Ki-67 발현차이에 따른 무재발생존율, 무진행생존율, 질병특이생존율, 전체생존율을 분석하였다. 연구간 이질성은 하위그룹 메타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39개의 논문 중 2개의 논문은 전향적 논문이었으며, 37개의 논문은 후향적 논문이었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은 조직미세배열(tissue microarray) 또는 조직절편을 이용하였다. 항체 희석농도는 논문에 따라 다양하였으며, Ki-67의 양성 판정 기준도 다양하였다. 하위그룹 메타회귀분석에서는 분석결과(analysis result)만이 무재발생존율의, 지역(region)과 분석결과(analysis result)만이 무진행생존율의 이질성을 설명할 수 있는 인자였다. 높은 Ki-67의 발현은 낮은 무재발생존율(pooled HR, 1.78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4339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