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李白 文 譯註 : 이백 문 역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주-
dc.contributor.author예추이화-
dc.date.accessioned2018-11-12T01:04:05Z-
dc.date.available2018-11-12T01:04:05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291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3440-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2018. 8. 이영주.-
dc.description.abstract국문초록

詩仙 李白은 천 수가 넘는 시 외에도 8편의 賦를 비롯하여 表, 書, 序, 記, 頌, 讚, 銘, 碑, 祭文 등 다양한 文體로 이루어진 86편의 文을 남겼다. 그 수량이 적지 않을뿐더 러 작품의 예술적 수준 또한 동시 문인들의 작품들에 비해 뒤처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백의 문은 현에 이르기까지 그의 시에 비해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며, 심지어 개별 작품들이 잘 알려지지 않은 경우 또한 많다. 이백의 문이 상적으로 저평 가된 연유로는 이백 시의 우수함으로 인한 부와 문에 한 상적인 저평가 및 騈體를 많이 사용했던 이백의 문풍에 한 후 평론가들의 편견 등이 언급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다수의 평론가들로부터 그 타당성을 인정받고 있는데, 이는 곧 이백의 문장이 재평가되어야 할 여지가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의 번역 및 학술 연구의 역에 있어서 이백의 시와 달리 그의 문은 주목을 받지 못했으며, 이에 한 역주나 관련 연구는 수량과 깊이 양면에 있어 미흡한 부분이 많다. 중국에서는 아직 부 와 문의 今譯本이 나오지 않았고, 일본에서는 두 번에 걸쳐서 서문 20편과 표 3편, 서 6편과 송 2편을 선정하여 역주했으나 나머지 부 8편과 기, 찬, 명, 비, 제문 등 40여 편 은 다루지 않았다. 국내에는 일부 부와 문을 역주한 소논문 몇 편이 있을 뿐이다. 결국 현재까지 이백의 문에 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이백의 문학세계에 한 접근 경로 가운데 많은 부분이 아직 미개척 상태로 남아있음을 의미한다. 본고에서 시도하는 이백의 문에 한 면한 검토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점에 서 이백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첫째, 이백의 문은 그의 생애를 보다 분명하게 밝혀내는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둘째, 이백의 문 역주는 그의 사상적 면모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셋째, 이백의 문 역주는 그의 예술세계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백의 시문은 역로 여러 가지 판본과 주석본으로 편찬되었는데 그 중에 비교적 중요한 판본들을 살펴보면, 北宋 중기에 宋敏求가 이전의 이백 시문집을 다시 정리하 여 시와 부, 표, 서, 서문, 기, 송, 찬, 명, 비문, 제문 등 65편의 문을 수록한 《李太白文 集》 30권이 있다. 이 판본은 이백 시문 교감에 있어서 중요한 고증자료가 되었다. 그리 고 최초의 주석본으로는 남송 때 楊齊賢이 주석을 단 《李翰林集》 25권이 있다. 이 주석 본은 오늘날까지 전해지지 않지만 원에 이르러 蕭士贇이 양제현의 주석본을 보완하 여 《分類補注李太白詩》 25권을 완성했고 이백 시 외에 부 8편도 아울러 주석했다. 그리고 최초의 시문 合註本은 청 乾隆 23년(1758)에 王琦가 수십 년에 걸쳐 편찬 한 《李太白文集》 36권이다. 이 판본은 최초로 이백 시와 문을 모두 주석한 판본으로 이

- ii

전의 판본이나 주석을 아울러 참고하고 보완하여 版本校勘, 典故引用, 地理說明 등 모 든 방면에서 이백의 시문을 집성했다. 그리하여 이 주석본은 후세에 높이 평가 받았 고 이백 연구에 있어 독보적 지위를 차지했다. 1977년 中華書局에서 王琦의 《李太白文 集》의 오자를 교정하여 상중하 세 권으로 출판했다. 본고는 이 판본을 저본으로 삼았 다. 그리고 현에 이르러 여러 주석본이 나왔는데 瞿蛻園과 朱金城이 주석한 《李白集 校注》 4권, 安旗가 主編을 맡은 《李白全集編年注釋》 3권, 詹鍈이 主編를 맡은 《李白全 集校注彙釋集評》 8권 등이 있다. 또 일본에서 출판된 《李白の文-序⋅表の譯註考證》과 《新編李白の文-書⋅頌の譯註考證》 2권이 있다. 이 주석본들은 모두 각기의 장단점이 존재하므로 각 판본의 문제점들을 보완한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하며 가독성을 제고한 역주본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고에서는 상기한 다섯 종의 주석본을 종합적으로 참고하며 하나의 異說도 놓치지 않고 검토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역주를 완성하려고 시도했다. 이상의 주석본들 에서 주석이 빠진 경우, 오역한 경우, 서로의 주장이 엇갈려서 정리할 필요가 있을 경 우에는 아래에 愚案을 달아 보충설명하거나 필자의 주장을 제시했다. 또 모든 작품 앞 에 解題를 붙여서 작품의 창작 배경과 내용에 하여 설명했고, 난해한 구절에 해서 도 주석 아래에 설명을 덧붙다. 그리고 왕기의 단락 구분을 기준으로 삼아 단락을 나 누었고 매 단락마다 해당 단락에 한 요약을 덧붙다. 본고는 王琦본 권1에 수록되어 있는 賦 8편, 권26에 수록되어 있는 表 3편, 書 6편, 권27에 수록되어 있는 序文 20편, 권28에 수록되어 있는 記 1편, 頌 2편, 讚 17편, 권29 에 수록되어 있는 銘 2편, 碑 5편, 祭文 2편, 권30 詩文拾遺에 수록되어 있는 銘 1편, 雜 題 4편, 補遺에 수록되어 있는 序文 1편 등 72편과 瞿蛻園과 朱金城본에 수록되어 있는 1편, 그리고 王琦본 시 부분에 수록되어 있는 詩序 13편 도 포함하여 총 86편을 역주 상으로 삼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Ⅰ. 서 론 1

1. 이백 문의 가치와 위상 1

2. 이백 문 역주의 필요성 4

3. 판본 및 주석본 정리 6

4. 역주의 범위 11

5. 범례 13

Ⅱ. 이백 문 역주 19

1. 賦 19

1) 大鵬賦 幷序 19

2) 擬恨賦 44

3) 惜餘春賦 62

4) 愁陽春賦 71

5) 悲淸秋賦 78

6) 劍閣賦 84

7) 明堂賦 幷序 89

8) 大獵賦 幷序 167

2. 表 237

1) 爲吳王謝責赴行在遲滯表 237

2) 爲宋中丞請都金陵表 246

3) 爲宋中丞自薦表 272

3. 書 283

1) 代壽山答孟少府移文書 283

2) 上安州李長史書 302

3) 與賈少公書 320

4) 爲趙宣城與楊右相書 326

5) 與韓荊州書 338

6) 上安州裴長史書 352

4. 序 378

1) 暮春江夏送張祖監丞之東都序 378

2) 奉餞十七翁二十四翁尋桃花源序 384

3) 江夏送林公上人遊衡岳序 394

4) 金陵與諸賢送權十一序 402

5) 春於姑熟送趙四流炎方序 412

6) 秋於敬亭送從姪遊廬山序 419

7) 送黃鐘之陽謁張使君序 426

8) 早春於江夏送蔡十還家雲夢序 432

9) 秋日於太原南柵餞陽曲王贊公賈少公石艾尹少公應擧赴上都序 437

10) 送戴十五歸衡岳序 448

11) 早夏於將軍叔宅與諸昆季送傅八之江南序 455

12) 冬日於龍門送從弟京兆參軍令問之淮南覲省序 462

13) 江夏送公歸漢東序 468

14) 餞李副使藏用移軍廣陵序 475

15) 秋夜於安府送孟贊府兄還都序 487

16) 冬夜於隨州紫陽先生飡霞樓送烟子元演隱仙城山序 493

17) 夏日陪司馬武公與群賢宴姑熟亭序 500

18) 夏日諸從弟登汝州龍興閣序 507

19) 春夜宴從弟桃花園序 511

20) 澤畔吟序 515

21) 北斗延生經註解序 522

5. 記 526

1) 任城縣廳壁記 526

6. 頌 542

1) 趙公西侯新亭頌 542

2) 崇明寺佛頂尊勝羅尼幢頌 幷序 559

7. 讚 592

1) 當塗李宰君讚 592

2) 金陵名僧公粉圖慈親讚 596

3) 李居士讚 598

4) 安吉崔少府翰讚 601

5) 宣城吳錄事讚 603

6) 壁蒼鷹讚 譏主人 607

7) 方城張少公廳師猛讚 609

8) 羽林范將軍讚 612

9) 金銀泥西方淨土變相讚 幷序 616

10) 江寧楊利物讚 627

11) 金鄕薛少府廳鶴讚 631

12) 誌公讚 634

13) 琴讚 638

14) 朱虛侯讚 640

15) 觀飛斬蛟龍圖讚 643

16) 地藏菩薩讚 幷序 645

17) 魯郡葉和尙讚 653

8. 銘 657

1) 化城寺大鐘銘 657

2) 天門山銘 681

9. 碑 685

1) 陽瀨水貞義女碑銘 685

2) 漢東紫陽先生碑銘 706

3) 天長節使鄂州刺史韋公德政碑 幷序 723

4) 比干碑 762

5) 武昌宰韓君去思頌碑 幷序 778

6) 虞城縣令李公去思頌碑 799

10. 祭文 819

1) 爲竇氏小師祭璿和尙文 819

2) 爲宋中丞祭九江文 828

11. 雜文 837

(1) 詩序 837

1) 歷陽壯士勤將軍名思齊歌 幷序 837

2) 贈嵩山焦鍊師 幷序 840

3) 贈武十七 幷序 843

4) 贈黃山胡公求白 幷序 844

5) 送王屋山人魏萬還王屋 幷序 846

6) 送張秀才謁高中丞 幷序 849

7) 與諸公送陳郎將歸衡陽 幷序 850

8) 答族姪僧中孚贈玉泉仙人掌茶 幷序 854

9) 泛沔州城南郎官湖 幷序 858

10) 對酒憶賀監二首 幷序 861

11) 題元丹丘潁陽山居 幷序 863

12) 題嵩山逸人元丹丘山居 幷序 865

13) 改九子山爲九華山聯句 幷序 867

(2) 雜題 869

1) 雜題四則 其一 869

2) 雜題四則 其二 870

3) 雜題四則 其三 870

4) 雜題四則 其四 871

5) 題上陽臺 871

참고문헌 873

中文提要 880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95.1-
dc.title李白 文 譯註-
dc.title.alternative이백 문 역주-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