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중독 프로파일별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개인, 관계, 제도적 관점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Workaholism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 Multidimensional View of Personal, Socio-relational, and Institutional Sid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은혜-
dc.contributor.author정연우-
dc.contributor.author박성민-
dc.date.accessioned2019-02-11T06:38:28Z-
dc.date.available2019-02-11T06:38:28Z-
dc.date.issued2018-12-
dc.identifier.citation행정논총, Vol. 56 No. 4, pp. 221-253-
dc.identifier.issn1229-669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6822-
dc.description.abstract근로자의 일중독은 개인 성향, 조직・환경 상황뿐만 아니라 사회적・제도적 맥락에 따라 발생하는 복합적 산물로, 개인의 삶의 질의 저하는 물론 직무성과・조직성과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일중독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 17차, 18차 개인 및 부가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개인적 차원의 성격 특성, 관계적 차원의 대인관계 만족도, 그리고 사회적・제도적 차원의 고용불안정성이 일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일중독을 유형화하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서 일중독이 발생하는 환경 또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중독 현상 및 일중독의 유형이 어떠한 맥락에 따라 발생하는지를 밝히고, 일중독 현상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개인, 관계, 사회・제도적 맥락 간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일중독 연구의 정교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일중독 현상에 대한 차별적 진단과 차별적 처방의 관점에서 개인의 일중독에 대한 차별적인 인사관리의 방향성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Workaholism among employees is a complex human trait. It manifests in social,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situations and contexts. It can negatively affect a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nd job performance, as well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an individuals personality trai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job insecurity on workaholism. The study uses data from the 17th and 18th individual/additiona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e process explaining how workaholism occurs was empirically verified by classifying the types of workaholism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est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ifferent types of workaholism profiles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ward refining research on workaholism by revealing the contexts in which the different types of workaholism occur. The study can also enable the understanding of the links among individua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o-institutional contexts. Furthermore, directions pin-pointing personnel management and policy implications for workaholism phenomena are suggested in terms of customized diagnosis and prescription.-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dc.subject일중독-
dc.subject대인관계 만족도-
dc.subject성격 5요인-
dc.subject고용불안정성-
dc.subject잠재 프로파일 분석-
dc.subjectWorkaholism-
dc.subjectSocio-relational satisfaction-
dc.subjectBig-5 personality trait-
dc.subjectJob insecurity-
dc.subjectLatent profile analysis-
dc.title일중독 프로파일별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개인, 관계, 제도적 관점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n Empirical Study on Workaholism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 Multidimensional View of Personal, Socio-relational, and Institutional Sides-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o, Eunhye-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eong, Yeonwoo-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Sung-Min-
dc.citation.journaltitle행정논총(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dc.citation.endpage253-
dc.citation.number4-
dc.citation.pages221-253-
dc.citation.startpage221-
dc.citation.volume5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