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최저임금 인상이 농업 생산 부문 후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inimum Wage Increase on Welfare of Agricultural Production Secto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기환

Advisor
김관수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농경제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농경제학전공), 2019. 2. 김관수.
Abstract
With the rapid increase of minimum wage due to the core policy of income-led growth,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substantial impact in various social sectors. With it being expected to greatly influence the agricultural sector, the research thus far related to agricultural sector minimum wage is very low in number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In the recent research related to the agricultural sector minimum wage, the wage effect of minimum wage was estimated, but its meaning is limited as it only encompasses the direct effect of minimum wage. Therefore, the requirement of research related to agricultural sector minimum wage has increased.
Hence, this research constructed the agricultural sector stochastic equilibrium displacement model to analyze the effect of minimum wage on agricultural production sector welfare. In order to construct the stochastic equilibrium displacement model, the agricultural food demand function, agricultural product cost function and wage function was estimated and in the case of some production factor supply elasticity, the research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were used. Based on the stochastic equilibrium displacement model constructed through such method, the equilibrium analysis was conducted and welfar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equilibrium analysis results.
First, having conducted the analysis regarding equilibrium change where minimum wage influences agricultural production sector, If the minimum wage is increased, the equilibrium quantity of the family labor market increases and the equilibrium quantity of the employment, land and fertilizer market decreases. Furthermore, the equilibrium wage of the family labor and employment market increase and the equilibrium price of land and fertilizer decreases. To add, in the end, equilibrium quantity decrease and equilibrium price increase occurred in the agricultural product market. Finally, if the minimum wage is increased, most of the market response occurs in the production factor market rather than the agricultural product market.
As a result of the welfare analysis, if the minimum wage is increased to 10,000 won per hour, the total surplus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ector is reduced from about 195.8 billion won to 200 billion won. In the case of segmentation by economic units, the surplus of farmers decreased by 124 billion won, the surplus of the employment market decreased by 61.1 billion won, the surplus of capital market increased by 2.3 billion won, the land market decreased by 14.7 billion won, the fertilizer market increased by 5.3 billion won, and the other intermediate inputs market increased by 7 billion won.
In particular, the portion of farmers in the total surplus differential is about 62.7% and considering the confidence interval, it is a maximum of 97.2%. In other words, if the minimum wage is increased, most of damage is absorbed by the farmers. Here, the scale of surplus differentials of the farmers reached 2.12% compared to total farm economic surplus and 9.67% compared to total labor costs. This is 3.32% of the maximum farm surplus and 15.14% of the labor cost if the confidence interval is considered.
Therefore, in sum, if the minimum wage is increased, most market response occurs in production factor markets rather than agricultural product market and here, most of the surplus differentials are absorbed into the farmers. Therefore, follow-up measures of agricultural sector regarding minimum wage increase is urgent and it is assessed that support for farmers must take place first when establishing the follow up measures.
소득주도성장의 핵심 정책으로써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회 여러 분야에 큰 여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농업부문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진행되어 왔던 농업부문 최저임금 관련 연구는 그 수가 타 산업 부문에 비해 현저히 적다. 최근 진행된 농업부문 최저임금 관련 연구에서는 최저임금의 임금효과를 추정한 바 있으나, 최저임금의 직접적인 영향만을 포괄하여 그 의미가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농업부문 최저임금 관련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농업부문 확률적 균형대체모형을 구축하여 최저임금이 농업 생산 부문 후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확률적 균형대체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농식품 수요함수, 농산물 비용함수, 최저임금 임금함수를 추정하였으며, 일부의 생산요소 공급탄력성의 경우 선행연구의 연구결과를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축된 확률적 균형대체모형을 바탕으로 균형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균형분석 결과를 활용해 후생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최저임금이 농업 생산 부문에 미치는 균형변화에 대해 분석을 진행한 결과, 최저임금이 인상되면 가족노동 시장의 균형 수량은 증가하게 되고 고용노동, 토지, 비료 시장의 균형수량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가족노동, 고용노동 시장의 균형 임금은 상승하게 되고, 토지 및 비료 시장의 균형 가격은 하락하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농산물 시장에는 균형 수량 감소, 균형 가격 상승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최저임금이 인상되면 대부분의 시장반응은 농산물 시장에서보다는 생산요소 시장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생분석 결과, 최저임금이 시급 10,000원으로 인상되면 농업생산부문의 총 잉여는 약 1,958억 원에서 2,000억 원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주체별로 세분화할 경우, 농가의 잉여는 1,240억 원 감소, 고용노동 시장의 잉여는 611억 원 감소, 자본시장의 잉여는 23억 원 증가, 토지시장의 경우 147억 원 감소, 비료 시장의 경우 126억 원 감소, 농약 시장의 경우 53억 원 증가, 기타중간투입물 시장의 경우 70억 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가가 총잉여변화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62.7% 가량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구간을 고려할 경우 최대 97.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최저임금이 인상되면 농업 생산 부문 피해의 대부분은 농가에게 흡수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때, 농가의 잉여변동분의 규모는 농가경제잉여 대비 2.12%, 노무비 대비 9.67%에 이르며, 이 규모는 신뢰구간을 고려할 경우 최대 농가경제잉여 대비 3.32%, 노무비 대비 15.1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볼 때, 최저임금이 인상되면 대부분의 시장반응은 농산물 시장이 아닌 생산요소 시장에서 발생하고, 이때 대부분의 잉여변동분은 농가가 흡수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농업부문 후속대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이며, 후속대책 수립시 농가에 대한 지원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9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