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Reading Education of Chinese Learners in Modern Korean Poet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소연

Advisor
윤여탁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19. 2. 윤여탁.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the recognition that focus on the experiences of the Chinese leaners and study the process of reading and understanding poetry using their experiences is necessary. By selecting Chinese leaners and ethnic-Korean learners in China as research subjects, we will also examine the personal and cultural differences of the subjects of experience and the effect of differences in identity recognition on reading. Through these efforts, we intends to design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rn Korean poetry that can arise self-awareness, understand others, and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which beyond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poetry text.
Literature allows for multilayered and abundant language learning, beyond the limits of simple and repetitive mechanical language learning. Literature is sometimes referred to as expression of thought or expression of valuable experience. This means that ideas and emotions are derived from concrete experiences, and that everything is not literature, but only when it is meaningful to human being. Among literature, poetry is a subjective genre, which presents images of oneself in a direct relationship to self and emphasizes experience and emotion. Howeve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China has focused only on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writers which depicted in their works, and has not paid much attention to the experiences of learners who accepting the literature. The learner's experience can be influenced by nationality, the environment he or she has grown, the educational experience, etc., and the diversity of his or her experiences means the diversity of reading.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how the learner's experience is related to literature work and how that experience has an effect on reading poetry.
In order to identify the reading patterns in the actual learner, and to come up with an educational method suitable for the process of such thinking and expression,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materials produced by the actual learner. In addition, through related theories, we explored the concepts of experience in poetry reading, and set the principles of modern Korean poetry reading in three categories: reading through learning experience, reading through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reading through learner identity recognition.
Based on this, we looked at the aspects of Chinese learners' experiences in modern Korean poetry reading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learning experience of learner was divided into effect of learning experience in understanding text and effect of learning experience in interpretation. Second, the effect of learner'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was divided into effect of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intertextual evocation and effect of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making relationships with text.' Third, we divided the effect of learner identity recognition' into effect of identity in self-discovery and effect of identity in the discovery of a heterogeneous world. Along with these aspects, we looked at the factors that influenced reading poetry in each aspect.
Based on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of the learner analysis study, a modern Korean poetry education plan was devised. Although the designed plan dealt with Chinese learner and ethnic-Korean learner in China in the same category of Chinese, the method was used to treat different educational needs separately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 have set up understanding of the ways of poetic text imagery, object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learner, understanding of others and Identity Formation as educational contents. To achieve these contents, we set up several methods: connection of experiences through schema activation, experience of poetic emotions through immersion and adjustment of responses through dialogue'.
Based on the actual data of the learners, this study confirmed various aspects of poetry reading and tried to present appropriate education methods by collecting the learners' responses. In addition, our work has significance in working with Chinese learners and ethnic-Korean learners in China, we looked at how the diversity of experiences derived from personal differences,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identity differences can be revealed in modern Korean poetry reading.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경험에 주목하고, 학습자가 경험을 활용하여 시를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 대해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중국 한족 학습자와 조선족 학습자를 함께 선정함으로써, 경험 주체의 개인적·문화적 차이와 정체성 인식의 차이가 문학작품 읽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 텍스트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넘어 자기를 새롭게 인식하고 타자를 이해하며 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한국 현대시 교수·학습 방법을 설계하고자 한다.
문학은 단순하고 반복적인 기계적인 언어학습의 한계에서 벗어나 다층적이고 풍부한 언어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문학은 사상 감정의 표현이라고도 하고, 가치 있는 체험의 표현이라고도 한다. 이는 사상이나 감정이 구체적인 체험에서 비롯되는 것이고, 모든 것이 다 문학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의미 있는 것일 때만이 비로소 문학으로서의 가치를 갖는 것임을 뜻한다. 문학 중에서도 시는 주관적 장르에 속하며, 자기 자신에 대한 직접적인 관계 속에 자신의 이미지들을 제시하며, 체험과 감정을 강조한다. 하지만 그동안 중국의 한국어 문학교육은 작품에 형상화된 작가의 경험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만 집중하고, 문학을 수용하는 학습자의 경험에 대해서는 관심을 충분히 갖지 않았다. 학습자의 경험은 국적, 자라온 환경, 학습 경험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경험의 다양성은 읽기의 다양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경험과 작품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그러한 경험이 어떻게 시 읽기에 작용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제 학습자의 시 읽기 양상을 파악하고 그러한 사고, 표현의 과정에 적합한 교육 방법을 구안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학습자가 작성한 활동지와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 관련 이론들을 통해 시 읽기에서 경험의 개념을 살펴보고, 한국 현대시 읽기 원리를 학습 경험의 활용, 사회문화적 배경의 작용, 정체성 인식의 작용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 현대시 읽기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경험의 작용 양상을 다음과 같은 범주로 살펴보았다. 첫째, 학습자의 학습 경험의 작용을 텍스트 의미 이해에서 학습 경험의 작용과 해석에서 학습 경험의 작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둘째,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배경의 작용을 상호텍스트적 환기에서 사회문화적 배경의 작용과 텍스트와의 관계 맺기에서 사회문화적 배경의 작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학습자의 정체성 인식의 작용을 자아 탐색에서 정체성 인식의 작용과 이질적 세계의 발견에서 정체성 인식의 작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양상과 함께 각 항마다 시 읽기에 영향을 미친 변인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았다.
학습자의 양상 분석에서 확인된 가능성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국 현대시 교육 방안을 구안하였다. 교육 설계에서 한족 학습자와 조선족 학습자를 중국인이라는 통합적 범주에 놓고 다루면서도, 두 집단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교육적 처치가 필요할 경우 따로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교육 내용으로 시 텍스트 형상화 방식 인식, 학습자 사회문화적 맥락의 객관화, 타자 이해 및 정체성 형성을 설정하였으며, 이것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스키마 활성화를 통한 경험의 연결 짓기, 역할 몰입을 통한 시적 정서 체험하기, 대화적 읽기를 통한 반응 조정하기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실제적인 자료를 근거로 다양한 시 읽기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학습자의 반응을 수렴하여 이에 적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족 학습자와 조선족 학습자를 함께 다룸으로써 개인적 차이, 사회문화적 차이, 정체성 인식의 차이에 따른 경험의 다양성이 한국 현대시 읽기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1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