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목표언어 기반 전략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f teaching plan on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설명적 말하기 상황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예

Advisor
민병곤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19. 2. 민병곤.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가 이미 획득한 한국어 지식으로부터 정보를 생성하여 전략을 이끌어내는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실제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요인을 언어수준과 학습유형 중심으로 관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들 요인의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함으로써 중국인 중급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언어 기반 전략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목표언어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 상대방에게 자기의 생각, 느낌 등을 잘 표현하게 함과 동시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상대방에게 이해시킬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여전히 문법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사용하는 환경이 부족해서 말하기 능력의 신장에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학습자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목표언어 지식을 충분히 활용하여 전략을 이끌어내는 목표언어 기반 전략을 가르쳐 줄 필요가 있다.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자신의 발화를 지원하는 동시에 의사소통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목표언어를 더 많이 노출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발화 유창성 및 전반적인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Dörnyei(1997)에서 밝혔듯이 개별 학습자가 100개의 단어만으로도 의사소통을 잘할 수 있다는 것은 의사소통전략을 잘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즉, 의사소통전략이 말하기 활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전략에 속한 목표언어 기반 전략은 의사소통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목표언어 지식의 활용을 촉진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 양상을 분석하면서 학습자 요인인 언어수준 및 학습유형과 전략 사용사이의 관계를 밝히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우선 Ⅰ장에서는 목표언어 기반 전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나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가 설명적 말하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녹음하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목표언어 기반 전략을 사용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인 언어수준 및 학습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TOPIK 시험 성적과 ILS 설문지에 근거하여 수집하였다.
Ⅱ장에서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목표언어 기반 전략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먼저 1절에서는 철학적인 관점으로 의사소통의 개념, 모형 및 유형을 살펴보면서 설명적 말하기 상황을 규정했고 그 동안 이루어진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여러 학자들이 논의를 재정리하였다. 2절에서는 의사소통전략 연구에서 많이 인용된 여러 의사소통전략 정의 및 분류를 논의한 후 3절에서는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개념 및 세부 유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학습유형의 정의 및 유형을 살펴보고 학습유형과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이의 관계를 논의한 후 학습유형을 전략 사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삼았다.
Ⅲ장에서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Ⅱ장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 양상의 분석틀을 설계하였다. 2절에서는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 양상 분석틀을 토대로 학습자들의 실제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의 전체적인 양상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언어수준(TOPIK 3급/4급)에 따라 비교 분석을 했고 3절에서는 학습유형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들의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사용 양상을 분석 및 논의하였다. 결과적으로는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모든 전략 유형의 사용에 있어서 언어수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학습유형에 따르면 감각적 학습자들이 의미 인접 전략을 직관적 학습자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였고 구두적 학습자들이 묘사 전략 및 신조어 전략을 시각적 학습자보다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 4절에서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 양상을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Ⅳ에서는 Ⅲ장에서의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사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교수학습방안을 구안하였다. 1절에서는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교수학습 목표를 설정하였고, 2절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교수학습 내용을 구성하였다. 3절에서는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교수학습 원리를 논의하였고 마지막 4절에서는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목표언어 기반 전략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인 언어수준 및 학습유형 특성을 반영하여 구체적인 목표언어 기반 전략의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usage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the strategies generate from knowledge of the target language learners already have, by Chinese intermediat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develop an effective educational proposal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speaking competence of Chinese intermediate learners. As for variables which may affect learners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y using, this study focused mainly on two factors: one is the language proficiency of the learners and the other is learners learning styles.
The ultimate goal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o cultivate communication skills that enable learner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a variety of situations through target language and communicate the message they intended effectively. However,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in China is still grammar focused, and by the meantime the learners do not have enough environment to speak Korean. These factors has caused great trouble for Chinese learners to improve their speaking competence. In this context, the teaching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that draws a strategy by fully exploiting the target language knowledge that he / she knows can actively support his / her utterance. At the same time, it can provide more speaking practices for learners, and thus improving learners' speaking fluency and overall speaking competence. As stated in Dörnyei (1997), a learner can communicate well with just 100 words. In other words, communication strategies play a critical role in speaking activities, and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belonging to communication strategies not only perform the function of assisting communication, but also initiate the use of target language knowledge that learners acquired. For these f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ers use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factors, language proficiency and learning styles, and the use of strategies.
First, in chapter Ⅰ, the necessity and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on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were presented, as well as the literature reviews. As mentioned befo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hinese intermediate learners, in the experiment,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series of informative speaking tasks and all the utterances being recorded. The informations of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was collected by the TOPIK test scores and the learning styles by the ILS questionnaire.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education was summarized. Section 1 defined the context of explanatory speaking by looking at the concepts, models, and types of communication in a philosophical perspective and also summarized the discussions about communication competence. Then, in Section 2, the variou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cited in many communication strategy researches were discussed. After that I summarized the concept and subtypes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Finally, I briefly reviewed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learning styles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In chapter Ⅲ, the use of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of Chines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was examined. In Section 1, the analysis framework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was designed using the discussion in Chapter II. Section 2 discussed the overall use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of the learners based on the framework, and compared them according to the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TOPIK level 3/4). And Section 3 discussed the use of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In the last section, I discussed the overall use pattern of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of Chines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In chapter Ⅳ, an educational proposal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Chinese intermediate learners use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in chapter Ⅲ. Section 1 discussed the teaching-learning goals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Then section 2 described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use of Chinese learners and Section 3 discussed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Finally, Section 4 presented the methodology of teaching and learning of specific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y by reflecting the language proficiency and learning style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s the use of the target language based strateg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1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