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무쾌감성 우울과 정서자극에 대한 접근-회피 동기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Anhedonic Depression and Approach-Avoidance Tendencies towards Emotional Stimuli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은지

Advisor
권석만
Major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19. 2. 권석만.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무쾌감증(anhedonia)이 우울 장애의 하위 유형을 구성하는 핵심적 특성임을 규명하고 무쾌감증과 정서 자극에 대한 접근-회피 동기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무쾌감증이 우울 장애의 고유한 특성임을 제시한 Clark과 Watson(1991)의 3요인 모델에 기반하여 우울과 불안의 공통 요인과 각각에 특정적인 요인을 구분하였다. 또한 무쾌감성 우울과 정서 자극에 대한 접근-회피 동기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Ⅰ에서는 우울과 불안의 공통 요인인 일반적 고통(general distress), 불안-특정적 요인인 신체적 불안(somatic anxiety), 그리고 우울-특정적 요인인 무쾌감증(anhedonia)을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불안-우울-고통 척도(The Anxiety Depression Distress Inventory-27: ADDI-27)를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성인 345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Osman 등(2011)이 개발한 원척도의 요인 구조와 동일한 3요인 구조가 나타났다. 내적 합치도와 수렴 및 변별 타당도 역시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고통은 우울과 불안의 공통적인 요인을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 정서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신체적 불안과 무쾌감성 우울은 불안과 우울 모두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신체적 불안은 우울보다는 불안과, 무쾌감성 우울은 불안보다는 우울과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무쾌감성 우울은 소비적 즐거움 및 예기적 즐거움과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 Ⅱ에서는 무쾌감성 우울과 정서 자극에 대한 접근-회피 동기의 관계를 접근-회피 과제(Approach-Avoidance Task: AAT)를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 Ⅰ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고통 요인 상위 50%에 해당하면서 무쾌감성 우울과 신체적 불안 상위 30%를 만족하는 연구 참여자를 선발하여 각각 무쾌감성 우울 집단 및 불안 집단으로 명명했다. 통제 집단의 경우 일반적 고통, 무쾌감성 우울 및 신체적 불안 요인 하위 50%에 해당하는 개인들로 이루어졌다. AAT를 실시한 결과, 무쾌감성 우울 집단은 불안 집단 및 통제 집단에 비해 긍정 정서 자극에 대한 접근 동기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또한 긍정 정서 자극의 각성가 변화에 따른 접근-회피 동기의 변화에 있어, 무쾌감성 우울 집단은 불안 및 통제집단보다 덜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쾌감성 우울과 정서 경험의 핵심적인 요소인 정서 자극에 대한 접근-회피 동기의 관계를 가설적으로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가 갖는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nhedonia and approach-avoidance tendencies towards emotional stimuli.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stinguished the common and specific factors of depression and anxiety, based on tripartite model of Clark & Watson(1991).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anhedonia and approach-avoidance tendencies towards emotional stimuli was experimentally explored.
Study 1 was carried out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ADDI-27, which is designed to measure the general distress of depression and anxiety, somatic anxiety, and anhedonic depressio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345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revealed that the translated version of ADDI-27 consisted of three independent factors (general distress, somatic anxiety, anhedonic depression) like the original ADDI-27. K-ADDI-27 demonstrated an adequate level of internal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General di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affect. Somatic anxiety and anhedonic depression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with higher correlation with anxie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Anhedonic de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ticipatory as well as consummatory pleasure.
Study 2 was conducted to experimentally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nhedonia and approach-avoidance tendencies. A recently developed Approach-Avoidance Task(AAT), which has been shown to be methodologically sound, was used to examine the approach-avoidance tendencies. For this purpose, participants with anhedonic depression and anxiety were selected based on the scores of K-ADDI-27. Fifty-two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AAT and as a result, approach motivation for positive emotional stimul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nhedonic depression group. In addition, anhedonic depression group reacted less sensitively to changes in arousal of positive stimuli than anxious and control groups.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hedonic depression and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which is a key component of emotional experienc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