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70-80년대 아파트 분양제도와 자가 소유 가구 확대 : The Expansion of Home Ownership and New Apartment Lotting-Out System in the 1970-80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선미

Advisor
최막중
Major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19. 2. 최막중.
Abstract
Starting from the critical mind that previous research studies failed to provide enough answers about the process that the self-owned households were gradually expanded in the process of supplying large-scale housing and who could become self-owned households under this phenomeno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fact that who could have entered into self-owned households through what process' within the 1970-80s new apartment lotting-out system.
To begin with, the study materialized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preliminary researches on the 'ownership oriented apartment supply' and 'operating mechanism of the new apartment lotting-out system' in Korea.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about the apartment distribution strategy proposed by the government through the new apartment lotting-out system, and it is to identify 'Who, by what process, has been able to enter home ownership?' under the allocation strategy proposed by the government, Second, regarding the actual behavior of individual households in the institutional framework suggested by the government, the study focuses on the wholesale behavior of individual households frequently used for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ownership and it examines 'who and through which process' entered the self-owned households formed in the wholesale market under the new apartment lotting-out system.
Before respon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the study looked into how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new apartment lotting-out system investigated in the theory and previous researches worked in the process of the ownership oriented apartment supply in Korea. The expansion policy for self-owned households of Korea was crystallized as the 'new apartment lotting-out system' in the situations of the lack of government finance and chronic housing shortage. This apartment lotting-out system not only formed a sale price lower than the market price but also deepened competition of apartment lotting-out. In this situation, Individual households would form a black market where the price was formed according to the maximum payment for each household in order to gain an advantage over the intensified lotting-out competition.
Based on the operating principles of the apartment lotting-out syste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pproached.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o, by what process, has been able to enter home ownership?'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government want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wide income bracket through the strategy of distributing apartment uni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income bracket, there was little effect of income control to subscribe to the national housing. Then, in the mid-80s, a wider range of income brackets than the middle-income bracket could qualify for private housing under 85m2. The government's strategy to distribute apartment units was based on rules based on the housing subscription system. An important system is the bond bidding system introduced in 1983. The system intended to allocate apartments to 'secondary probability' rather than 'same probability'.
Focusing on the behavior of individual households, the following analysis identified, 'Who entered the owner-occupied household through what process?' in the wholesale market formed within the apartment lotting-out system. The capital gains attributable to individual households by owning apartments served as a driver for the formation of the wholesale market within the apartment sales system. Prices formed in the wholesale market were affected by the risk of winning apartment sales and future capital gains, and within this market, the probability of entering home ownership was set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olvency. In particular, subscription Account, which was primarily traded in the wholesale market, played a role in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the purchase price, and individual households were willing to pay huge premiums and purchase them. Since the adoption of the bond bidding system in 1983, the transaction relationship of individual households has changed somewhat. Comparing the 'official premium' formed by bond tender and the 'non-official premium' formed in the wholesale market, the results showed similar levels and patterns. This made individual households feel that the level of premium requir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winning the apartment lotting out is the same, and only the target of payment has changed. However, even though there was a probability of winning a sale without paying a premium before 1983, having such a probability was fundamentally blocked after the bond bidding system was implemented.
In conclusion, the answer to 'Who, by what process, was able to enter home ownership' within the 1970-80s apartment lotting-out system is as follows. The government's strategy of distribution allowed the wider income bracket to enter self-owned households with a lower but fair probability and in the wholesale market formed to promote the utility of individual households, households with larger payments could enter their own homes by paying premiums to increase the chances of winning the apartment sale. And in the wholesale market, which was formed to promote the utility of individual households, larger-payable households could enter their own home-owned households by paying premiums to increase the chances of winning an apartment. In light of this, the trend of self-ownership, which shows a tendency to increase after a decrease under the mass supply of housing, can be interpreted as the sum of the activities of households that entered home ownership through the low probability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distribution strategy and entered home ownership with the high probability by paying a premium on the wholesale 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on the expansion of home ownership in the 1970-80s and interprets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new, paying attention to the behavior of individual households. in addition, it is also meaningful that identifying how the system works based on the theory of economics and describing the wholesale market that can be formed when the apartment lotting-out system is applied to reality with theoretical and empirical data.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아파트 분양제도를 통한 대량 주택 공급과정에서 자가 소유 가구의 순차적 확대 현상과 그 과정에서 자가 소유 가구로 진입할 수 있었던 대상의 범위에 대해 충분히 답하지 못하였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아파트 분양제도 내에서 누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자가 소유 가구로 진입할 수 있었는가를 규명하였다.
먼저, 한국의 자가 소유 확대 정책이 소유 중심의 아파트 공급으로 구체화된 배경과 아파트 분양제도의 작동 기제(機制)를 설명하기 위한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연구 질문을 구체화하였다. 첫 번째 연구 질문은 정부가 아파트 분양제도를 통해 제시한 분양 아파트 배분 전략에 대한 것으로, 정부의 배분 전략 하에서 누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자가 소유 가구로 진입할 수 있었는가이다. 두 번째는 정부가 제시한 제도를 활용하는 속의 개별가구의 실제 행위에 대한 것으로, 소유권의 형성과 확대를 위해 빈번히 사용된 개별가구의 전매행위에 주목하여, 아파트 분양제도 내에 형성된 전매시장에서 누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자가 소유 가구로 진입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논문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질문에 답하기에 앞서, 이론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아파트 분양제도의 작동원리를 파악하였다. 분양가상한제를 통해 낮게 형성된 분양가는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는 계층의 폭을 확대하였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초과수요는 주택청약제도를 통해 공평하고 순차적으로 다루어졌다. 이와 동시에 낮은 분양가격과 심화된 분양경쟁은 암시장을 형성할 동인을 남겼고, 암시장에서의 거래는 각 개별가구의 효용이 극대화되는 지검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질문에 접근한다. 첫 번째 연구 질문인 정부가 제시한 분양아파트 배분 전략 하에서 누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자가 소유 가구로 진입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부는 분양아파트 배분 전략을 통해 넓은 소득계층에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청약 가능 소득계층을 분석한 결과, 국민주택 분양에 있어서 소득제약 효과가 거의 없었고, 85㎡ 이하의 민영주택은 80년대 초까지는 약 40%의 소득계층만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었으나, 80년대 중·후반이 되면서는 중간소득계층보다 넓은 범위의 소득계층이 청약 요건을 갖출 수 있었다. 이러한 정부의 분양아파트 배분 전략은 주택청약제도에 기반을 둔 규칙에 따라 이루어졌다. 특히, 83년 도입된 채권입찰제는 기존의 동일 확률이 아닌 차등적 확률로 아파트를 배분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 제도 시행 후 분양아파트를 배분하는 규칙이 변화되었다.
다음은 개별가구의 행위에 주목하여, 아파트 분양제도 내에 형성된 전매시장에서 누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자가 소유 가구로 진입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양아파트를 소유함으로써 개별가구에게 귀속되는 자본의 이득은 아파트 분양제도 내 전매시장 형성의 동인으로 역할을 하였다. 전매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은 아파트 분양 당첨 및 미래 시세차익에 대한 위험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 시장 내에서는 각자의 지불능력에 따라 자가 소유 가구로 진입할 수 있는 확률이 정해졌다. 특히, 전매시장에서 주로 거래된 청약통장은 분양당첨 확률을 높이는 역할을 하였으며, 개별가구는 막대한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이를 구입하고자 하였다. 1983년 채권입찰제 시행 후, 개별가구의 거래관계는 다소 변화하였다. 먼저, 채권입찰제에서 형성되는 공식적인 프리미엄과 전매시장에서 형성되는 청약통장의 비공식적 프리미엄을 비교한 결과, 유사한 수준과 패턴을 보였는데, 이는 개별가구로 하여금 아파트 분양당첨 확률을 높이기 위해 요구되는 프리미엄의 수준은 동일하고 지불 대상만 달라진 것으로 느끼게 하였다. 다만, 83년 이전에는 프리미엄을 지불하지 않고 분양에 당첨될 확률을 가졌지만, 채권입찰제 시행 후에는 그러한 확률을 가지는 것 자체가 원천적으로 차단되었다.
결론적으로 1970-80년대 아파트 분양제도 내에서 정부가 제시한 배분 전략을 통해서는 보다 넓은 소득계층이 낮지만 공평한 확률로 자가 소유 가구로 진입할 수 있었고, 개별가구의 효용극대화를 위해 형성된 전매시장에서는 아파트 분양 당첨확률을 높이기 위해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방식을 통해 보다 지불가능금액이 큰 가구가 자가 소유 가구로 진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개별가구 간 거래는 현물과 현금 사이에서 각자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선택에 따라 이루어졌다. 이를 미루어 보아, 주택의 대량공급 하에서 감소 후 증가 추세를 보이는 자가소유율의 추이는 정부의 배분 전략에 따라 낮은 확률로 자가 소유 가구로 진입한 가구와 전매시장에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높은 확률로 자가 소유 가구로 진입한 가구의 행위의 합으로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1970-80년대에 시행된 자가 소유 확대정책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면서, 개별가구의 행위에 주목하여 제도의 실효(實效)를 새롭게 해석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경제학 이론을 바탕으로 정부가 제시한 아파트 분양제도의 작동원리를 규명하고, 이 제도가 현실에 적용될 때 야기될 수 있는 전매시장과 같은 암시장의 형성에 대해 이론 및 실증적 자료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6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