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 1인 가구의 거주지 선택에 대한 젠더 차이
관악구 청년 1인 가구의 성별 주거 욕구와 비용의 관계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규원

Advisor
김태형
Major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19. 2. 김태형.
Abstract
Crimes against women are on the rise, and fear of crime is also felt by women more than by men. In particular, women are threatened and have high levels of anxiety in residential areas where safety is most important. This study sought to see whether women who feel vulnerable to safety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e spending more housing costs than men in order to secure safety. As such, this study conducts one-on-one interviews with 15 Gwanak-gu residents in their 20s and 30s and identifies how and why the level of residential needs is differently satisfied by gender.
Studies show that single-woman households meet the lower level of residential needs compared to single-man households. Women often met their second-stage desire for housing (the desire to protect themselves and their property), while men were mainly meeting the third and fourth levels (the desire to maintain social interaction).
The reason why these satisfied housing needs differ by gender is because women consider safety the most important in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In interviews and surveys, women cited safet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ir living environment, particularly safety from crime. The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s highlighted by female respondents are "How close to the main street," "How short is the rear-dark alley," and "How many people are in the flow until late at night,"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hysical disorder among community disorder factors that measure fear of crime. Female respondents considered the safety of crime in the environment near their dwellings very important, and refused to live in an environment where these factors were unsatisfactory.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live in a two- or more-story, primarily considering the number of living floors as safety related to the type of dwelling. Interviews showed that these conditions were intended to satisfy safety, not other residential environment elements, such as transport convenience, health care, and comfort.
On the other hand, male respondents did not take much into account the safety from crime in their own living environment, and even if so, the criteria for meeting were lower than women. It was recognized that safety is assured if there are no objects such as ethnic Koreans who had lived in China and Chinese who are considered to be negative or particularly threatening. Thus, considering neighbourhood trends is one of the social disorder factors in the community, while men tried to secure safety through social disorder factors and did not consider physical disorder.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limit the kind of objects that felt threatened like men because women perceived that they could be threatened by an unspecified people, even those who knew them. Because safety cannot be satisfied through exclusion of targets, the order of the physical order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to be filled. This can be read as a tendency to protect oneself while reducing physical disorder as much as possible because control over social disorder is beyond one's ability.
The reason why women and men perceive safety differently is because women feel strong fear of sexual crimes occurring in residential settings. In particular, women believe that crimes committed by men in residential settings can lead to sexual crimes. Also, the social conventional wisdom about sex offenders and their awareness of the victims further inflates fears among women. Therefore, women consider safety first to protect themselves from sexual crime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when safety is me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considered This tendency is also apparent in their 20s and 30s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men considered other living environment factors such as room size, structure, and transport convenience more important than safety. The standards satisfying safety were also lower than women, so they were easily satisfied with safety, and even if it was not safe, they said it was not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is tendency to pursue safety further forced women to pay higher housing costs than men to meet the same housing needs. Women with a large income or a generous support for housing could realize a residential need higher than the second level, while safety was still a major factor of consideration. However, it was possible to spend money on higher residential needs even after housing costs were first spent to satisfy safety. On the other hand, among male respondents, the level of housing costs currently available does not differ from the level of housing needs that are met. Because there are no common elements of the housing environment that are necessarily pursued, it is possible to realize one's desire to live according to one's taste. Thus, women were more likely to spend higher housing costs than men to meet higher levels of residential needs than safet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an be assessed for various factors such as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and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a single-person young household has a gender gap due to its safety. By interpreting the social problems of a lone person household from a gender perspective and analysing them empirically, we were able to derive some meanings. The first is that community disorder factors, which have been presented as indicators for measuring fears about crime in prior studies, also serve as a criterion for choosing housing. Second, physical disorder variables for fear of crime have been found to work differently depending on actual gender. Finally, there is a vulnerability in single-person female households that could be reduced to a social issue, not an individual problem. Women are spending a lot of money to meet housing safety that society does not guarantee, but not realizing higher housing needs than men. This suggests that tailored policies are needed to ensure the quality of living and living of single female households.
This study showed some limitations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and analyzing samples. They include the fact that only the respondents' income was set as a variable to determine housing costs, and that the dwelling environment metric used as the analysis frame was not set based on a single household. This could be supplemented by ongoing research in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a lone person household in the future.
여성을 대상으로 한 범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 또한 여성은 남성보다 항상 크게 느끼고 있다. 특히 여성은 안전성이 가장 보장받아야 할 주거공간에서 위협받고 높은 불안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환경에서 안전에 대한 취약성을 느끼는 여성이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남성보다 더 많은 주거비용을 지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관악구에 거주하는 청년 1인 가구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후, 응답자들이 충족시킨 주거 욕구 단계가 성별로 다른지 확인하고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1인 가구는 남성 1인 가구에 비해 낮은 주거 욕구 단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2단계 주거 욕구(자신과 재산의 보호 욕구)까지 충족시킨 경우가 많은 반면, 남성은 주로 3단계(안락과 편리의 욕구)와 4단계(사회적인 상호관계 유지 욕구)까지 충족시키고 있었다.
이렇게 충족시킨 주거 욕구가 성별로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여성이 주거환경에서 안전성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기 때문이었다. 인터뷰에서 여성은 주거환경에서 가장 우선으로 고려하는 요소를 안전성으로 꼽았는데, 이는 특히 범죄로부터의 안전성을 의미했다. 여성 응답자들이 강조한 주거환경 요소들은 대로변과 얼마나 가까운가, 후미지고 어두운 골목이 얼마나 짧은가, 밤늦게까지 유동인구가 얼마나 많은가로 정리되는데, 이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지역사회 무질서 요인 중 물리적 무질서 내용과 일치한다. 여성 응답자들은 주거지 인근 환경의 범죄 관련 안전성이 어떠한지를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이러한 요인이 만족스럽지 않은 환경에서는 살지 않으려 하였다. 또한 주거지 형태 관련 안전성으로는 거주 층수를 주요하게 고려하여, 2층 이상의 층수에서 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조건은 교통 편리성, 보건성, 쾌적성 등 다른 주거환경요소가 아닌 안전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임을 인터뷰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남성 응답자들은 본인의 주거환경에서 범죄로부터의 안전성을 크게 고려하지 않았고, 고려한다 해도 충족시키기 위한 기준이 여성보다 낮았다. 조선족, 중국인들처럼 부정적으로 이슈화되거나 본인에게 특히 위협적이라고 여겨지는 대상만 없다면 안전성이 확보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같이 이웃 성향을 고려하는 것은 지역사회 무질서 요인 중 사회적 무질서 요인에 해당하는데, 남성은 사회적 무질서 요인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려 하였고 물리적 무질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하지만 여성 대상자들은 불특정 다수, 심지어 아는 사람에게서도 위협을 당할 수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위협을 느끼는 대상을 남성처럼 한정시킬 수 없었다. 대상의 배제를 통해 안전성을 충족시킬 수 없기에, 주거환경의 물리적 질서들을 채워나가고자 하였다. 이는 사회적 무질서에 대한 통제는 본인의 능력 밖이기에 물리적 무질서를 최대한 줄여나가면서 자신을 보호하려는 경향으로 읽을 수 있다.
이렇게 여성과 남성이 안전성에 대해 다르게 인식하는 이유는 여성이 주거환경에서 발생하는 성범죄에 강한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은 주거환경에서 남성으로부터 가해지는 범죄가 성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여긴다. 또한 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통념과 피해자에 대한 인식이 여성에게 두려움을 더욱 증폭시킨다. 따라서 여성은 주거환경에서 성범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안전성이 충족되었을 때 비로소 주거환경이 만족스럽다고 여긴다. 또한 이러한 성향은 본 연구의 대상자와 같은 20~30대에서 두드러진다.
반면 남성은 안전성보다 방 크기, 구조, 교통 편리성과 같은 다른 주거환경요소를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안전성을 만족시키는 기준 자체도 여성보다 낮아서 안전성에 쉽게 만족하기도 했으며, 다소 안전하지 않더라도 그것이 주거환경에서 중요한 요인이 아니라고 응답했다.
이렇게 안전성을 더욱 추구하는 경향은 여성으로 하여금 동일한 주거 욕구를 충족하기까지 남성보다 높은 주거비용을 지불하게 하였다. 소득이 많거나 주거비를 넉넉히 지원받은 여성은 2단계보다 높은 주거 욕구를 실현시킬 수 있었는데, 이때에도 안전성은 여전히 주요한 고려요인이었다. 다만 가장 먼저 안전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주거비용을 들인 후에도 상위 주거 욕구를 위한 비용 지출이 가능했던 것이다. 반면 남성 응답자들 사이에서는 현재 감당할 수 있는 주거비용 수준이 충족된 주거 욕구 수준을 다르게 하지 않았다. 반드시 추구하고자 하는 공통된 주거환경 요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의 취향에 따른 주거 욕구를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여성은 안전 보다 상위단계의 주거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남성보다 더 높은 주거비용을 들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거환경은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 등 다양한 요소로 평가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청년 1인 가구의 주거환경이 안전성으로 인해 성별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보였다. 1인 가구가 가지는 사회 문제를 젠더 관점에서 해석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몇 가지 의의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로 선행연구에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측정하는 지표로 제시한 지역사회 무질서 요인이 주거를 선택하는 기준으로서도 작용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대한 물리적 무질서 변수는 실제 성별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 1인 가구의 취약성이 존재하며 이를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문제로 환기시킨다는 점이다. 사회에서 보장하지 못하는 주거 안전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여성은 많은 비용을 지출하면서도 남성에 비해 상위 주거 욕구를 실현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는 여성 1인 가구의 주거 및 삶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맞춤식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표본을 구성하고 인터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한계를 보였다. 응답자의 소득만을 주거비용을 결정하는 변수로 설정한 점과 분석틀로 사용한 주거환경측정지표가 1인 가구를 기준으로 설정되지 않았다는 점 등이다. 이는 향후 1인 가구의 주거환경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69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