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영구임대아파트 거주민의 삶과 외부환경과의 간극 연구 : 신내 12단지 영구임대아파트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discrepancy between the life of a residents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of a permanent rental apartment - With specific reference on Sinnae Apartment Complex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창현

Advisor
성종상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19. 2. 성종상.
Abstract
This study assumes that the occupation of space and the behaviors that occur within it occur i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discrepancy of the residents due to the physical, human and social conditions in the complex. And whether or not the phenomenon is occurring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I focused on the background and aspects of the discrepancy between the lives of the residents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n which daily life is spread.
The background and aspects of the discrepanc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 change of complex due to aging. Twenty years later, due to aging of the residents of the complex, aging has progressed considerably throughout the apartment complex due to the eligibility of the elderly to receive priority. As a result,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y in movement and activity due to their physical constraints and need space for resting in the midst of movement, behave only by sitting on the roadside with a simple chair on the inside due to restriction of activities to the outside, Some examples of space utilization are also shown. In addition to the loss of economic status and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there is a need for a space for the head office. In the present complex, there is no head office, and a rest facility in the open space is transformed into a space having a function of the head office.
Second, the problem of the design which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narrowness of the space that the complex had since its constru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is that the residents raise the desire for the space modification and the residents themselves make the space themselves or use the modified space . Because the area of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 is narrow, the drying of food and the drying of the bedding and laundry is a sunny place in the outdoor space, so that the function of the interior is expanded to the outside. This can be seen as the tendency of the expansion of the private area of ​​the residence which is caused by the environment of the residential space. Another problem is the shortage of parking spaces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s of the residents' households. With the aging of the household, the occupancy rate of the under-floor generations is very low, s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playground space is very low and the perception of the residents is not good due to the occurrence of unhealthy behavior in this space. Therefore, there was a spatial conflict with the management office due to the demand of the residents who want to change the playground space to the parking lot.
Third, the residents themselves were solving the lack of space considering residents. Most of the inhabitants are just staying at the time of my stay, and the desire for outdoor activities is very high. However, there is a lack of space to support and support the activity. Residents create spaces that can meet their desire for outdoor activities, transform, transform and use space, and activities are taking place in this space. In addition, the increase of the activity radius by overcoming the physical obstacle by the appearance of the pedestrian and the pedestrian assistant car changed the domain and space use behavior. This, on the other hand, enabled community activities such as relaxation and conversation in the nodal points of the Dong and Dong, the entrance points of the Dong, which is the easiest place for the residents to gather, In addition, by using the pedestrian mechanism in the road or parking space for traffic or parking, the function of the space was enlarged so that it could be utilized as a more efficient space away from the accident considered as a single purpose and function.
Fourth, there is a residential culture that only permanent rental apartments have. Most of the residents were not economically able to stay in the early days of their occupation, so most of the time spent staying in the complex and spending time with family members, neighbors, or leisure activities was replaced by economic activity time. As a result, there is not enough time to live in the complex, and there is little opportunity for interchange between neighbors, so there is a culture of time and jealousy among the residents. This culture is also projected in space, avoiding space to avoid meeting certain neighbors, resulting in a preference for residents and a space for non-preference. There is an additional factor in preference for this space, which is the drinking culture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s only. This was due to the frequent occurrence of alcohol in the outdoor space, which affected the residents.
As a result, the background, aspect and meaning of the resulting discrepanc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complex, the residents make use of space to make or modify the space, and the residents themselves improve their lives. have. Since the design changes the space through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residents and the consultation with the majority, rather than presenting the space through the injection ceremony by the management office, the space created by the occupation of the residents can be said to be the best design in terms of effectiveness . In other words, this space is not a space that is simply planned and requires activity through injection, but it is a space reflecting the life of the residents. However, on the other hand, negative behaviors arise, which makes it a space for people to avoid. It is also a way of life that residents have had before moving in, and they can not change their behavior at once. Therefore, management offices and residents do not limit these negative behaviors. Instead of knowing the cause of such behavior and solving the cau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pace where this behavior can be performed in a virtuous circle.
As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just one of the 17 permanent rental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Seoul, the background and pattern of the discrepancy in different permanent rental apartments may be different. However,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the limitation of some researches because it examines the background of discrepancy in characteristics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nd finds out what the discrepancy pattern and meaning are.
본 연구는 공간을 점유하고 그 안에서 발생하는 행태는 단지 내의 물리적, 인문·사회적 여건 때문에 발생된 외부환경과 주민들의 간극에서 나타난다라는 가설 하에 단지 내 옥외 공간에서 어떠한 행태와 공간의 점유, 변용, 변형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거주민들의 삶과 일상이 펼쳐지는 외부환경과의 사이에서 간극의 배경과 양상이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간극의 배경과 양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고령화에 따른 단지의 변화이다. 20년이 흐른 지금 단지의 거주민들의 고령화와 맞물려 노인계층이 우선적으로 들어 올 수 있는 입주자격으로 인해 아파트 단지 전반에 걸쳐 고령화가 상당히 진행되었다. 그 결과 신체적인 제약으로 이동과 활동이 어렵고 이동 중간마다 휴식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 노인들은 단지 외부로의 활동의 제약으로 인해 단지 내부에서 도로 위에서 간이 의자를 두고 앉아 있는 행태가 발생되며, 의도치 않은 공간 활용의 예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리고 경제적 지위의 상실과 함께 여가시간의 증대로 경로당 공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는데 현재의 단지 내에는 경로당이 없어 옥외 공간에 있는 휴게시설을 경로당의 기능을 가진 공간으로 변용하는 경우도 발견되고 있다.
둘째, 단지가 준공 당시부터 갖고 있던 공간의 협소함과 거주민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설계의 문제점은 거주민들로 하여금 공간 개조의 욕구를 높여 주민이 스스로 공간을 직접 만들거나, 개조해서 사용하는 등의 배경이 되고 있다. 주거동의 면적이 좁기 때문에 음식물 건조와 이불 빨래 건조는 옥외 공간의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공간으로 내부의 기능이 외부로 확장하도록 하였다. 이는 주거공간의 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거지의 사적영역 확장의 경향이라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주민들의 세대의 자동차 수가 급증함에 따라 현재 주차 공간 부족이 심각한데 이에 대한 해결로 놀이터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변경하자는 것이다. 세대의 고령화와 함께 단지 내 유소년 층 세대의 거주 비율이 매우 낮아 놀이터 공간을 이용 빈도가 매우 낮으며, 이 공간에서 불건전 행태가 발생됨에 따라 거주민들의 인식이 좋지 않은 상황이다. 그리하여 놀이터 공간을 주차장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거주민들의 요구로 인해 관리사무소와 공간적 갈등이 존재하고 있었다.
셋째, 거주민을 고려한 공간의 부족을 주민 스스로 해결하고 있었다. 거주민들 대부분은 단지 내 체류하고 있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인데 이에 맞춰 옥외활동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다. 하지만 활동을 뒷받침하며 대응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실정인데 거주민들은 스스로 옥외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거나, 변형, 변용하여 공간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공간 안에서 여러 활동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보행차와 보행보조차의 등장으로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여 활동 반경이 늘어남으로써 영역성과 공간 이용행태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다른 한편으로 보행 기구 위에서 쉬거나 대화를 이어갈 수 있기 때문에 주민들이 가장 모이기 쉬운 지점인 동과 동사이의 결절점, 동의 입구부 등에서 휴식이나 대화와 같은 커뮤니티 활동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통행이나 주차를 하기 위한 도로나 주차장 공간에서 보행 기구를 활용하여 공간의 기능을 확대시켜 일편적인 목적과 기능으로 간주했던 사고를 벗어나 좀 더 효율적인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
넷째, 영구임대아파트만이 가지고 있는 거주문화가 존재하고 있다. 입주 초기 당시 대부분의 거주민들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기 때문에 단지에 머물며 가족 및 이웃주민과의 시간을 보내거나 여가활동을 보낼 수 있는 시간 대부분을 경제적 활동 시간으로 대체하였다. 그 결과 단지 내에서의 생활하는 시간이 부족했고 이웃 간의 교류가 발생할 계기가 거의 없기에 거주민들 사이에서 시기와 질투라는 문화가 생겼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문화는 공간에서도 투영되는데 특정 이웃을 만나지 않기 위해 공간을 회피하게 되었으며 거주민만의 선호와 비선호 공간이 발생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런 공간에 대한 선호도는 추가적 요인이 존재하고 있었는데 영구임대아파트만의 음주문화이다. 이것은 옥외 공간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음주의 행태로 인해서 공간에 대한 인식이 거주민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렇듯 결과로 도출된 간극의 배경과 양상, 의미를 종합해보면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서 주민들이 공간을 만들거나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는 모습은 주민들 스스로 자신들의 삶을 개선해 나간다는 점에서 그 가치는 높다고 볼 수 있다. 설계가 관리사무소에 의한 주입식으로 공간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주민의 필요와 요구에 의해서 그리고 다수와의 협의를 통해 공간을 바꾸는 것이기에 주민들의 점유로 인한 만들어진 공간은 실효성에 있어서 최고의 설계라고 말 할 수 있다. 즉, 이 공간은 단순하게 계획되고 주입을 통한 활동을 요구 하는 공간이 아닌 주민의 삶이 반영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부정적인 행태가 발생하여 주민들로 하여금 기피의 공간이 되기도 하는데 입주 전부터 거주민이 가지고 있던 삶의 방식이기도 하며, 한순간에 그 행태를 바꿀 수 없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관리사무소와 거주민은 이런 부정적인 행태를 제한을 두는 것이 아닌 이런 행태가 발생한 원인을 알고 그 원인에 대한 해결로 이런 행태가 선순환으로 행해질 수 있는 공간을 따로 마련해주는 것 또한 외부환경의 방향성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17곳 중에서 단지 하나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에 다른 영구임대아파트에서 발생하는 간극의 배경과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영구임대아파트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서 나타난 간극 배경을 고찰하고, 간극양상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의미는 무엇인지를 확인하여 결과를 도출하였기에 일부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7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