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보행 관점에서 본 근린계획 특성 연구 : Exploring the Neighborhood Model through Walkability Perspectives: A Case Study of North America, the UK, Singapore and Seoul
- 북미, 영국, 싱가포르, 서울의 주거지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지은

Advisor
최재필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9. 2. 최재필.
Abstract
This paper has two purposes: to explore how the neighborhood model has been developed with time from a walkability perspective, and also to investigate how the neighborhood model, initially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North America and in the UK, has been a constant source of reference to residential developments in Singapore and Seoul from a walkability perspective. In pursuing this goal, this paper has produced the following outcomes:

In constructing an analytical framework, a thorough review of existing studies was conducted, and a list of 8 key elements in the neighborhood model was drawn, all related to neighborhood walkability. These are 'Community Structure', 'Block Structure', 'Street Hierarchy', 'Local Street', 'Pedestrian Axis', 'Green', 'Commerce and Service', and 'School'. These 8 key elements were then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of configuration methods: 'Neighborhood Structure' 'Neighborhood Network' and 'Neighborhood Facilities'.

In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residential development cases, a comparative review of existing studies was carried out, and 20 of the most prototypical cases were each presented in a scaled and visualized diagram, five cases for each city/country studied here. The selected cases are the following: Radburn(′28), Perry(′29), TODs(′86), NU(′99), Fused Grid System(′02) of North America
and Harlow(′47), Hook(′57), Runcorn(′64), Milton Keynes(′67), NW Bicester(′09) of the UK
Toa Payoh(′65), Tampines(′78), Bukik Batok(′81), Sengkang(′91), Punggol(′11) of Singapore
Echon(′66), Jamsil(′75), Mokdong(′83), Bundang(′89), Dongtan(′01) of Seoul and its vicinity.

Following analysis of these 20 cases through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8 planning elements, categorized in three configuration methods, this paper draws conclusions thusly:

First, in recent cases, such as North America's Fused Grid System (′02), the UK's NW Bicester (′09), Singapore's Punggol (11), and Seoul's Dongtan (′01), the new organizational methods in 'Community Structure', 'Green', 'Commerce and Service', and 'School' were similar for all four countries as these features successfully promoted walkability in and around the respective neighborhoods. To sum up, the 'Inter-locked Cell' type within 'Cell Structure' and 'Shared Spot' type within 'Commerce and Service' were found to enhance connectivity across adjacent neighborhoods. The 'Green Network' type within 'Green' and 'Combination Form' type within 'School' together had a synergistic relationship that resulted in enhanced neighborhood walk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Edge-highlighted Form of Street Hierarchy', Cul-de-sac and Loop of 'Local Street', and Car-free Area-oriented Form of 'Pedestrian Axis' in the category of 'Neighborhood Network', which effectuated the complete separation of pedestrians and vehicles, were continuously used and found in all the countries. Although they were utilized to enhance pedestrian safety in residential neighborhoods, they played a role in decreasing the total amount of walking on the streets since the organizational methods allowed people to become car dependent. That is to say, we need to consider different approaches regarding the Neighborhood Network to accommodate pedestrians and others.

Second, in case of Pedestrian Axis in the category of 'Neighborhood Network', 'Green' and 'Commerce and Service' in the category of 'Neighborhood Facilities', the same organizational methods were attempted in North America and the UK, yet their actual implementations on sites diverged away from the planning models in the Asian cities, reflecting the lower population density.

This kind of failure to transfer concepts across continents is reflected in another example. The Car-free Area-oriented Form of Pedestrian Axis was a shared common approach. In Singapore and Seoul, the pedestrian axis penetrated the center of large apartment blocks, but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to the axis was decreased due to apartment complexes operating like a gated community. However, in North America and the UK, it penetrated the whole neighborhood, and allowed people to access in any direction.

The 'Scattered Green Features' type of 'Green' was a common approach in these configurations, yet the supposed dispersed greenery was largely featured as controlled 'squares' within large apartment blocks in Singapore and Seoul, while it was featured as natural 'public open spaces' in North America and the UK, a divergence which elongated the actual distance that can be used for pedestrian activity. That is to say, as Jacobs (2010) pointed out, the form of a successful neighborhood park as a small space rather than a large-scale park might feature differently in Singapore and Seoul.

In contrast, the Single Spot, 'Several Spots' and Axis types of 'Commerce and Service' were mostly shared common approaches from all four countries. In Singapore and Seoul, facilities for 'Commerce and Service' were placed on the first floors of apartment buildings and high-rise offices, facing the streets, while the same facilities were integrated into one or two floors of low-rise buildings in North America and the UK. This order of arrangement failed to encourage people to walk more since pedestrian access to the high-rise facilities was not prioritised at street level.

Third, the organizational methods in 'Community Structure' and 'Block Structure' in the category of 'Neighborhood Structure' were distinctively in Singapore and Seoul since the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brought distinctive configurations of residential developments.

For instance, the 'Clustered Cell' type was widely adopted in Singapore and Seoul, while 'Single Cell' type was most widely adopted in North America and the UK.
Clustering of these large, standardized high-rise, high-density apartment blocks contributed to making the neighborhood in Singapore and Seoul a four to five block mega entity. The initial expectation may have been that the 'Clustered Cell' type, widely adopted in Seoul and Singapore, would be a way to increase walkability because it creates more openness. However these large apartment super-blocks operate much like a gated community, in cloistered modes, and thus the 'Clustered Cell' type would actually decrease accessibility.

What is more, the standard size of blocks ranged from 300 and 500 m in length and width in Singapore and Seoul, a result from being the 'A Group of Housing Clusters' type for their 'Block Structure'. This configuration, along with the large arterial roads of heavy traffic, are likely to threaten pedestrian safety and to limit the range of pedestrian activity. It ranged from 100 and 150 m in length and width for North America and the UK due to their being the 'A Single Housing Cluster' type.



This paper contributed to enhancing understanding of the neighborhood model from a walkability perspective. It will play an integral role in providing design guidelines for planning walkable neighborhood in the future.
최근 도시 공간을 새롭게 개편하기 위해 언급되고 있는 도시 개발 의제의 저변에는, 도시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추구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가 공존한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써 다양한 도시 계획 방법들이 제시되었는데, 무엇보다 그 중심에는 보행친화적인 근린 주거환경을 조성한다는 공통적인 주제가 존재한다. 걷기를 장려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근린계획을 구축하는 것이 환경적 측면은 물론 사회적 측면, 건강적 측면에서도 우리 사회의 각종 현안 문제에 대한 새로운 대안적 접근이 될 수 있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황을 반영하여 국·내외 도시 설계 분야에서는, 1990년대를 전후로 새로운 근린계획 모형이 활발히 모색됐다. 페리의 근린주구론(1929)으로 잘 알려진 근린계획 모형은, 거주자가 보행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합리적인 공간범위를 설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시설물을 배치하고 가로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도시 형태를 조직하는 공간구성기법으로 볼 수 있다. 근린계획 모형은, 20세기 초에 처음 등장한 이후로 그동안 주거지 개발의 공간 계획단위로써 동서양을 막론하고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다양한 모형들이 양산되었으나, 주거지를 관통하는 넓은 도로나 용도 분리 등 근대주의의 효율성을 반영한 계획방식이 관행처럼 지속되었고, 이는 현대의 도시가 자동차 중심의 도시 골격구조로 재편되는데 원인이 되었다는 비판을 낳았다. 이에 따라 북미를 중심으로, 보행친화적인 근린 주거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근린계획 모형들이 적극적으로 제시되었으며, TODs(Transit Oriented Development, 1986), 뉴 어바니즘(New Urbanism, 1999) 등을 시작으로, 가장 최근에는 퓨즈드 그리드 시스템(Fused Grid System, 2002)과 Farr(2008)의 모형까지, 새로운 근린계획 모형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여러 나라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근린계획 모형 개발 및 활용상황에서 두 가지 의문점이 제기되었다. 첫째는, 새롭게 제시된 근린계획 모형이 근린 내 걷기를 강조하며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계획방식을 적용한 것으로 표방하고 있으나, 보행논의가 제기되었던 종전의 계획방식을 그대로 활용하는 부분이 발견되며, 보행친화를 내세운 계획방식의 개선 가능성에 관한 의문점을 갖게 되었다.

둘째, 그동안 싱가포르, 한국과 같은 아시아 신흥개발국은 고밀도, 고층주거형태 중심의 주거지 조성계획에 북미와 영국을 중심으로 시작, 발전된 근린계획 모형을 중요한 참고대상으로 활용하였다. 그런데 저밀도, 저층주거 형태 중심의 서구의 계획방식을 적용하며 해석과 변용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보행활동과 관련한 쟁점사안들이 발생하였다. 서울과 싱가포르의 최근 신도시 계획에서도 보행환경 향상을 담보로 한 서구 계획방식의 활용 사례가 확대되고 있는데, 지금까지의 과정들을 미루어 보아, 그 결과가 보행증진이라는 결과로 이어질지 의문점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행의 관점에서 근린계획 모형의 계획방식을 꼼꼼히 따져봄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조직방법의 변화양상을 추적하고, 서구 계획방식이 아시아 지역 계획에 적용되며 벌어진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향후 보다 개선된, 보행을 고려한 근린계획 설계방법론 구축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근린계획 모형을 주거지 개발의 도구로 적극 활용한 북미, 영국, 싱가포르, 서울의 시기별 대표 사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선행연구를 통해 근린계획 모형의 설계 계획요소로서 그 조직방법에 따라 보행을 유발하는 정도가 다른 것으로 규명된 물리적 환경요소를 추출하여 분석항목으로 설정하였다. 분석항목에 해당하는 조직방법이 시기별 대표 사례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형태적 특성을 도식화된(다이어그램화된) 자료로 구축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8개의 분석항목(a~h)은 세 가지 범주, 즉 1.근린 공간구조, 2.근린 가로, 3.근린 시설물로 분류되며, 에서는 커뮤니티 구조(a), 블록 구조(b)를, 에서는 도로망 위계(c), 국지도로(d), 보행축(e)을, 에서는 녹지시설(f), 상업 및 서비스시설(g), 학교시설(h)에 관한 사항을 살펴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의 커뮤니티 구조, 의 녹지시설, 상업 및 서비스시설, 학교시설의 경우, 90년대 이후 지속가능한 개발개념이 강조되며 네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조직방법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적극적인 보행친화 개념을 적용하여, 그동안 근린계획 모형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근린 단위의 폐쇄성을 극복하기 위한 특성이 반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의 가로망 위계, 국지도로, 보행축의 경우, 조직방법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며, 시간이 흐름에도 불구하고 네 나라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조직방법들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근린 내 보행 안전성을 구축하기 위해 보행자와 자동차와의 관계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방식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방식이, 근린 내 보행활동을 위축한 측면이 크다는 논의가, 많은 문헌연구를 통해 제기되었다. 이는 향후, 보행측면에서 보다 개선된 계획방식을 구축하기 위해서 와 관련된 설계 계획요소에서 다른 접근방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의 보행축, 의 녹지시설, 상업 및 서비스 시설의 경우, 동서양간 동일한 조직방법이 활용되었지만, 그 양상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북미와 영국의 계획방식이 싱가포르와 서울의 도시 환경에 적용되며, 조직방법이 작동하는 공간 위계가 근린 단위에서 블록 및 단지 단위의 특성으로 전환되었고, 적용결과의 형태적 변화를 수반하였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본래의 계획의도가 보행 측면에서 다른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는 모습도 발견되었다. 예로 대규모 블록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보행축은 인접한 아파트 단지 경계의 개방성 정도에 따라 보행 연속성이 감소되거나, 대규모 블록의 구성요소로써 반사적(semi-private) 공간으로 배치된 녹지시설, 그리고 고층건물에 수직으로 적층된 상업 및 서비스 시설은 보행 접근성을 약화시키는 부분 등이 조사되었다. 다시 말해, 서구의 계획방식을 활용하는 데에 있어, 우리의 도시환경에 적합한 보다 섬세한 접근방식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싱가포르와 서울 사이에서도 구체적인 적용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싱가포르의 주거정책과 기후 특성을 반영한 도시, 건축공간의 형태적 특성 차이가 보행축과 도시가로와의 연계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키고, 녹지시설의 수직방향에서의 접근성을 구축하였으며, 주거공간과 상업시설과의 공간적 분리를 완화하여 보행 편의성을 도모한 특성도 발견되었다. 결과적으로, 서울에서 일어나고 있는 보행논의를 해결하기 위해 싱가포르의 계획방식을 참고해 볼 수 있겠으나, 나라별 고유한 주거정책과 자연·문화적 조건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의 커뮤니티 구조, 블록 구조의 경우, 싱가포르와 서울에서 북미, 영국과는 차별화된 조직방법이 두드러졌다. 이는 대규모 블록과 아파트 단지로 구성된 도시구조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행 관점에서 여러 가지 해석이 공존한다. 즉, 커뮤니티 구조의 조직방법으로, 대단위 아파트 단지를 하부 생활단위로 구축하고 이를 반복시키는 계획방식은 보다 작은 위계의 공간에서 커뮤니티 활동을 유발하고 근린 간 연계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그러나 블록 구조의 조직방법으로, 대단위 아파트 단지를 여러 개 묶어 대규모 블록으로 구획하는 계획방식이 지속되었는데, 이로 인해 보행 이동성과 안전성 문제가 개선되지 못하는 측면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싱가포르는 동일한 조직방법을 활용하였어도, 근린 내 더 많은 하부 생활단위를 구축하고, 블록 내 더 작은 아파트 단지를 구획하는 등 공간계획 단위를 세분화하는 방식이 발견되는데, 다시 말해 싱가포르의 계획방식은 대규모 블록 구조의 단점을 극복하는 좋은 참고사례로 활용가능하다.



그동안 본 연구주제와 관련된 국내의 연구경향은, 보행친화적인 근린계획 설계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보행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요소와 결합특성을 규명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물리적 개별요소들의 보행친화성이 밝혀져도, 연구방법이나 연구결과가 실제 도시 설계 작업에서 참고가능한 설계언어로 도출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보행의 관점에서 근린계획 모형의 계획방식을 꼼꼼히 분석해 봄으로써, 보행과 관련한 근린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물리적 환경요소의 조직방법을 밝혀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가 선정한 분석사례는 각 시대를 대표하는 계획모델로 반복적으로 언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시기의 유일한 설계방식으로 단정하기에 표본의 수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향후 보행친화를 위한 새로운 근린계획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연구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7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