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Comparative Study of Economic Growth in Korea and Thailand in the 1960s and 1970s: Focusing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 한국과 태국의 1960~1970년대 경제성장 비교연구: 국내외적 요인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Kamon BUTSABAN

Advisor
박태균
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2019. 2. 박태균.
Abstract
The Comparative Study of Economic Growth in Korea and Thailand in the 1960s and 1970s: Focusing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s of Korea and Thailand were first implemented in the early 1960s under similar domestic political conditions and external influences. In the 1960s and 1970s, the two countries were ruled by military governments which had gained power through coup détats and wielded authoritarian control. Both Koreas Park Chung-hee government and Thailands Sarit government set the national priorities as anti-communism and economic development, while establishing central economic planning organizations to draft and implement long-term economic development plans.

In the background of Korea and Thailands economic development plans lay not only the global trend of implementing similar plans in less-developed countries around the same period in the 1950s and 1960s but also, more importantly, were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the influence of the U.S. and Japan. Korea had been heavily relying on U.S. aid to restore the nations land and industrial facilities and revive the economy, which were in ruins after the Korean War. However, when the changes in U.S. foreign policy led to reductions in free aid, which was gradually shifting in form as loans, from the U.S., Korea realized the risks in its dependency on the U.S. and recognized the need for economic development planning. Thus, from the late 1950s, the Korean government began to establish economic development plans that aimed at development, not revival. The U.S. was also deeply involved in drafting the policies of Koreas economic development plan. Economic advisors from the U.S. began to participate in Koreas economic planning process when the first Economic Development Plan was being revised and engaged in full-fledged intervention from the second Economic Development Plan.

Korea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as an ally of the U.S. and received economic assistance from the U.S. while enjoying an abundance of special benefits and opportunities from the Vietnam War.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gained entrance into the Vietnamese market
Korean technicians and workers were dispatched to Vietnam to earn foreign currency, which was also remitted to Korea by the Korean soldiers who were dispatched to Vietnam. Korea also supplied the U.S. military with supplies, and the Vietnamese market opened its doors to Korea. In the 1960s, the U.S. hoped, on the one hand, to ease its economic burden by restoring Korea-Japan relations and, on the other, to strengthen the fortress of anti-communism it aimed to build in East Asia through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Under the pressure of the U.S., an agreement was signed between Korea and Japan in 1965, and Japanese aid and loans were introduced to Korea in earnest. However, the loans from Japan could only be used after prior consultation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through which Japan exerted its will to intervene in Koreas economic development planning process. In addition, Japan played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of Koreas heavy chemical industry in the 1970s.

Thailand actively cooperated with the U.S. policy for anti-communism on the Indochina peninsula and received military and economic assistance from the U.S. With the proliferation of communism in Southeast Asia, the U.S. placed Thailand at the center of its anti-communism campaign and particularly focused on promoting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 the rural regions of Thailand that were next to the borders of neighboring countries. The USOM dispatched economic experts to fill the gaps created by the shortage of technical bureaucrats in Thailand and participate in the nations economic planning process, and these experts played a leading role in drafting Thailands economic development plans. Thailand, like Korea, enjoyed special benefits from the Vietnam War. The U.S. Air Force was stationed in Thailand, and infrastructure to facilitate the U.S. troops in the war was constructed. The consumption of the U.S. troops staying in Thailand benefited the Thai economy, and large hotels and commercial buildings were built in Bangkok during the Vietnam War. The U.S. chose Japan as its partner to ease the economic burden brought by the Vietnam War and strengthen anti-communism in Southeast Asia, opening the doors for Japan to enter the Southeast Asian market actively in the 1960s.

In 1957, the Sarit government enacted the Industrial Investment Promotion Act which attracted many foreign companies into the Thai market, among which the U.S. and Japan stood as major investors. Thailand developed its industries and expanded its economy through direct investment and technical support from the U.S. and Japan. However, the U.S. coalesced with Thai politicians to monopolize Thailands natural resources industry and earn enormous profits. Thailands economic development plan met with political limitations that blocked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Japanese automobile and electronics companies entered the Thai market to take up more than 80% of the market share, suppressing the growth of Thai companies as a result. Japan also took advantage of Thailands cheap raw materials and labor power to benefit its own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y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s of Korea and Thailand, despite being implemented under the similar domestic political conditions and external influences from the U.S. and Japan, resulted in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rapid industrialization in Korea but not in Thailand.

For this purpose, this dissertation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on the drafting and implementation of two countries economic development plans, from which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Koreas economic development plans grasped the problems of the Korean economy and propose effective solutions. The contents were drafted, revised, and implemented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global economic trends. On the other hand, Thailand's economic development plans did not provide effective solutions for the problems on hand and maintained the agriculture-based economic structure that prevented the nations industrial advancement. In addition, Thailand failed to formulate and implement plans that anticipated the international economic trends of the 1970s and concentrated solely on dealing with domestic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Second, the Economic Planning Board of Korea (EPB) was positioned above other economic ministries and had the authority to coordinate conflicts and to execute the plans, and its functions were put into good operation backed by the strong will and full support of the government. The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Board (NESDB) of Thailand only performed the limited role as an economic counseling agency with little power to influence other ministries. The NESDB did not have the full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its system changed constantly due to Thailands frequent regime changes.

Third, Koreas economic bureaucrats who participated in economic planning process maximized the efficiency of economic development by demonstrating leadership in their respective fields, in contrast to the small number and limited role of Thai economic bureaucrats who stopped at providing economic consultation to other ministries. Also, the NESDB recruited the administrative officials of each ministry irrespective of their expertise, and its members underwent changes every time a new regime came to power.

Fourth, although the interventions and pressures from the U.S. influenced Koreas economic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formed its own opinions and negotiated favorable compromises rather than simply submitting to U.S. demands. Thailands economic development plans were written under the leadership of U.S. economic advisors, and the close connections forged between the U.S. and the Thai military government created restrictions that constricted the execution of the plans.

Fifth, the loans and technical support Korea received from Japan played a positive role in Koreas economic growth through industrialization. In Thailand, however, Japan entered the Thai market in the pursuit of national interest and monopolized industries, capping the growth of Thai companies and causing an adverse effect on Thailands economic growth in the long run.



Keywords: Economic Development Plan, Economic Growth, Economic Planning Bureau,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Board, Intervention from the United States, Intervention from Japan



Student Number: 2014-30904
한국과 태국의 1960~1970년대 경제성장 비교연구: 국내외적 요인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과 태국의 경제개발계획은 1960년대 초 비슷한 국내정치상황과 외부적 영향력 하에 실행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두 나라는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잡은 군사정부의 권의주의체제 하에 놓여있었고 한국의 박정희 정부와 태국의 사릿 정부는 공통적으로 반공과 경제개발을 국가 최우선 목표로 상정하고 중앙경제계획 기구를 설립하여 장기적인 경제개발계획을 입안 및 실행하였다.

한국과 태국의 경제개발계획 입안 배경에는 1950년대와 1960년대를 통해 저개발국가들이 비슷한 시기에 경제개발계획을 실행하였다는 국제적 흐름도 하나의 배경이 될 수 있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요인은 내부적 상황과 더불어 미국과 일본의 영향력이다. 한국은 한국전쟁 이후부터 황폐해진 국토와 산업시설을 회복하고 경제를 부흥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미국의 원조에 크게 의지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무상원조가 1960년대 초부터 미국의 대외정책 변화로 인해 원조액수도 줄어들고 점점 차관의 형태로 바뀌자 위기를 느낀 한국정부는 1950년대 말부터 부흥이 아닌 개발을 목표로 경제개발계획을 수립하였다. 미국은 한국 경제개발계획의 정책에도 깊게 관여하였다. 1차 계획 수정작업에서부터 미국의 경제고문단이 참여하기 시작하여 2차에서부터는 본격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한국은 또한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베트남 전쟁에 참여하여 미국으로부터 경제 원조를 받았고 한국건설기업의 베트남 진출, 파견 기술자 및 근로자, 군인들의 외화송금, 용역군납, 베트남 시장개방 등을 통해 막대한 베트남 특수를 누리게 되었다. 미국은 1960년대 한일관계 회복을 통해 한편으로는 미국의 경제적 부담을 일본이 덜어주기를 바랬으며 한일경제협력을 통한 동아시아에서 반공의 보루를 강화하려 하였다. 미국의 압력으로 1965년 한일협정이 체결되고 이후 일본으로부터 본격적으로 원조 및 차관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일본으로부터 들어온 차관은 사용처를 일본정부와 반드시 상의해서 결정해야 했으며 일본은 이를 통해 한국의 경제개발계획 입안 과정에 개입하려는 의지를 보이게 된다. 또한 일본은 1970년대 한국 중화학공업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태국은 인도차이나반도에서 반공을 위한 미국의 정책에 적극 협조하여 미국으로부터 군사적•경제적 원조를 받았다. 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가 확산되자 미국은 태국을 반공의 중심으로 두고 특히 이웃국가들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시골지역에 경제 및 사회개발을 실행하는데 주력하였다. 미국 USOM은 태국의 경제개발계획을 실행할 기술관료들의 부족문제를 해결하고자 경제 전문가들을 파견하였고 이들은 태국의 경제개발계획을 입안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태국 또한 한국과 마찬가지로 베트남 전쟁을 통한 특수를 누렸다. 미국의 베트남 전쟁 공군기지가 태국에 설립되고 전쟁을 용이하게 할 인프라 건설이 이루어졌다. 태국에 주둔하는 미군들의 소비는 태국 경제에 이익을 가져왔으며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방콕에는 대형 호텔과 상업건물들이 세워졌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동남아시아에서의 반공을 강화할 수 있는 파트너로 일본을 선택했고, 1960년대 일본의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었다.

1957년 사릿 정부의 외국인 투자 증진법 개정으로 많은 외국 기업들이 태국 시장으로 들어왔고 그 중 미국과 일본은 주요 투자 국가였다. 태국은 미국과 일본으로부터의 직접투자와 기술지원을 통해 산업이 발전하고 경제규모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미국은 태국시장에서 정치세력과 유착하여 천연자원산업을 독점하고 막대한 이익을 챙기게 되었다. 이로 인해 태국의 경제개발계획은 정치적 한계에 부딪혀 효율적으로 실행되지 못하였다. 일본의 자동차, 전자산업 등은 태국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면서 결과적으로 태국 기업들이 성장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일본은 태국의 값싼 원자재와 노동력을 이용하여 자국의 이익을 챙겼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태국의 경제개발계획이 비슷한 국내정치상황과 미국과 일본이라는 외부적 영향력 하에 실행되었다는 전제로 한국은 급속한 산업화를 거쳐 경제성장을 이룬 반면 태국은 왜 실패하였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 나라의 경제개발계획의 입안 및 실행과정을 비교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의 경제개발계획은 한국 경제의 문제점을 잘 파악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또한 급변하는 세계경제 흐름에 맞춰 내용을 입안, 수정, 실행하였다. 반면 태국의 경제개발계획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고, 농업을 기반으로 한 경제구조를 오랫동안 유지하면서 산업의 고도화를 이루지 못했다. 또한 태국은 1970년대 국제경제 흐름에 편승하여 경제개발계획을 입안 및 실행하지 못하였으며 태국 내부의 경제 및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만 집중하였다.

둘째, 한국의 경제기획원은 다른 경제부처들 보다 위에 위치하여 상충된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계획을 잘 실행시킬 수 있는 힘이 있었으며, 경제기획원의 기능은 정부의 개발에 대한 강한 의지와 전폭적인 지원이 더해져 더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다. 반면 태국의 국가경제사회개발청은 경제상담기구로서의 역할 밖에 없어 다른 부처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힘이 적었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도 없었으며 계속해서 바뀌는 정권으로 인해 제도도 계속 바뀌었다.

셋째, 경제개발에 참여한 한국의 경제관료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하여 경제개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반면 태국 경제관료들은 그 숫자도 소수였으며 역할이 다른 부처의 경제 상담을 해주는데 그쳤기 때문에 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었다. 또한 태국의 국가경제사회개발청은 전문성과 상관없이 각 부처의 행정관료들을 채용하였고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구성원도 계속해서 바뀌었다.

넷째, 미국은 한국의 경제개발에 개입과 압력적 수단을 통해 영향을 미쳤지만 한국 정부는 미국의 요구를 순종적으로 따르기 보다는 어느 정도의 주체성을 가지고 한국 상황에 유리하게 타협하였다. 반면 태국의 경제개발계획은 미국 경제고문들의 주도적인 역할 하에 작성되었고 그 실행에 있어 미국과 군부와의 유착관계에 따른 한계에 부딪혀 제대로 실행되지 못했다.

다섯째, 일본은 한국의 공업화를 통한 경제성장에 있어 일본으로부터의 차관과 기술지원은 긍정적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태국에서는 일본이 태국시장 개척을 통한 자국의 이익실현과 독점을 통해 태국기업이 성장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장기적으로 태국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주요어: 경제개발계획, 경제성장, 한국 경제기획원(EPB),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청(NESDB), 미국의 개입, 일본의 개입



학 번: 2014-30904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10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