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권리불발생항변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찬우

Advisor
오정후
Major
법과대학 법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19. 2. 오정후.
Abstract
Allocating burden of proof is crucial in civil procedure. However we do not have any statute about burden of proof. As a result, we should allocate burden of proof according to legal theory. When it comes to legal theories about burden of proof, the most successful and dominant theory is the norm theory by Leo Rosenberg.

Rosenberg starts his theory from this these : The party who can not get his own relief without the application of the particular statute, bears the burden of proof about the fact that all the requirements of the statute are fulfilled. This means that each parties have to prove the elements of the statute, of which legal effects are beneficial to them. The problem is what 'beneficial' means.

Then he start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norm. Law makers start to make the general rules by assuming the most general situation for the rule to be applied more broadly. Therefore, it is necessary and inevitable for the law makers to create special rules, which is applied for some exceptional situations. These special rules make the effects of the general rules modified or void. The law and order appears to be carved up by these exceptions. There are three kinds of these special rules.

① Some special rules prevent the general rule from working at the beginning(The right-hindering rule): For example, Korean civil code 108 provides that the fake manifestation is void, if both of the parties know it is false.

② Some special rules nullify the effects of the general rule (The right –abolishing rule): For example, Korean civil code 461 provides that the offering of payment exempt the liability of default. Accordingly, if the debtor prove the fact of the payment, then the liability of promisee will be denied.

③ Some special rules create new right to hamper the effects of the general rule(The right-delaying rule). This kind rules require the holder of the right to use the right against the opposing party. For example, Korean civil code 536 provides that the promosee the right to refuse to perform his own duty until the promisor perform his own duty in reciprocal contract.

The most difficult and important part of the norm theory i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ight-making rule and the right-hindering rule. To distinguish among the right-making rule, the right-abolishing rule and the right-delaying rule is quite simple. On top of that, many opposers of the norm theory attack on the notion of the right-hindering rule. We can easily agree with the idea that the right –making rule and the right-hindering rule sometimes deal with same elements because the elements of right-hindering rule are the negative elements of the right-making rule.

Norm theory provide stable standard to allocate the burden of proof. However there is an evitable problem, which is how to distinguish the right-making rule and the right-hindering rule. Rosenberg clarified two kinds of the right-hindering rules. ① First kind of the right-hindering rule means the rules that do not work because part of the elements has not been proved and this defective part makes the right prevented by the law. ② Second kind of the right-hindering rule are the rules that constitute the exception of the right-making rule. What the exception means should be decided not by the rule of thumb, but by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legal rules. The problem is that what 'exception' means is too vague and confusing to give stable standard for allocating burden of proof.

As the first and best opposer of the norm theory, Leipold criticized the norm theory stating that the substantive distinction of the right-making rule and the right-hindering rule is impossible. For example German civil code 104 and 105 provides that the transaction by minor under 7 years old is void. According to Leipold, the minority is the element of right-hindering rule. On the contrary, the majority is the element of right-making rule. But the a person is a minor or a major and the minority is contradiction to the majority. Therefore, the right-making rule and the right-hindering rule are as like as two peas in terms of the substantive law. The only difference is the allocation of burden of proof. On top of that, Leipold found that there is a rule to allocate the burden of proof in non-liquet situation.

I agreed with Leipold' theory basically, but we should move beyond his thoery. My conclusion is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right-hindering affirmative defenses. The first one is based on independent rules or statutes. The second one is based on a special rule to allocate the burden of proof such as legal presumption. The third one is based on the change of the theme to be proved. The third type of right-hindering rule are based on either the statute or the decipher of the law.









_____________________

keywords : burden of proof, norm theory, affirmative defense, rules about burden of proof, right-hindering rule, non-liquet

Student Number : 2014-30437
입증책임분배에 관한 규범설의 입장에 선다면 권리불발생항변은 반드시 규명해야 하는 개념이다.

권리불발생항변의 개념을 규명하기 위하여 먼저 Rosenberg의 견해를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 Rosenberg의 견해는 법률명제의 구성부분으로서의 법률효과라는 개념과 권리와 의무의 변동으로서의 법률효과라는 개념을 구분하지 못함으로써 법률효과를 통하여 권리불발생규정을 구분하려 하였고, 나아가 원칙/예외라고 하는 모호한 기준을 통하여 권리발생규정과 권리불발생규정을 구분하려 하였다는 문제가 있음이 밝혀였다. 반면 Leipold는 권리발생규정과 권리불발생규정은 실체법적 법률효과를 통해서는 구분되지 않고 오직 입증책임분배를 위해서만 의미가 있음을 밝혀내었고, 나아가 진위불명의 극복을 위하여 마련된 입증책임규범의 목적에 주목하도록 함으로써 입증책임규범의 실질적인 근거라는 새로운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입증책임규범과 실체법규범이 분리됨으로써 규범설에서 이탈하려는 이론적 움직임이 발생하였고 그로 인하여 확고하고 안정적인 입증책임분배를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었다. 이에 대하여 Prütting은 진위불명의 경우에도 어떤 재판을 하도록 의제하여야 함은 분명하고 이러한 의제는 단순한 작동원리에 불과하므로 규범의 지위를 가질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입증책임규범 개념의 폐기를 주장하였다. 나아가 보조적 규범에 불과한 입증책임규범이 실제로 진위불명으로 인한 불이익분배, 즉 입증책임분배까지 결정하는 것은 입증책임규범에 과도한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결국 진위불명으로 인한 불이익분배는 실체법의 계층적 구조를 통하여 해결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체법의 계층적 구조라는 관념은 앞서 본 Rosenberg의 원칙/예외라는 관계가 다시 부활한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으므로, 모호하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반면 Musielak은 진위불명을 위한 입증책임규범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하되 입증책임규범은 부정적 의제를 하는 기본규정과 긍정적 의제를 하는 특별규정이 있으며, 나아가 특정한 입증책임분배의 실질적 근거가 있는 경우 권리발생표지의 모순적 반대가 권리불발생표지로 전환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Musielak은 명시적 입증책임규정 외에 묵시적 입증책임 특별규정이 해석상 존재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논의를 번잡하게 만들기는 하였으나 입증책임 특별규정과 권리불발생표지를 명확히 구분하였다는 점에서 가장 발전된 형태의 이론구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내린 지금까지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권리불발생항변은 그 규범적 형태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Rosenberg가 말한 권리불발생규정의 첫 번째 종류로서, 독자적인 실체법 조문에 근거한 권리불발생항변이다. 민법 제103조에 근거한 권리불발생항변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권리불발생규정은 독자적인 법률효과(즉 권리 및 의무의 발생 또는 소멸)를 가진 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키지만, 민법 제103조의 법률요건표지가 실현되면 그 법률행위는 처음부터 아무런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Leonhard가 말한 의미의 법률효과는 갖지 못한다. 다만 법명제의 구성요소로서의 법률효과만을 가진다. 이러한 형태의 권리불발생항변은 쉽게 식별이 가능하므로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둘째, 입증책임 특별규정에 근거한 권리불발생항변이다. 입증책임에 관한 기본규정은 어떤 법률요건표지가 진위불명상태라면 그 사실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의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별한 실질적 근거에 의한 입증책임에 관한 특별규정이 존재하는데, 우리 민법은 명시적 입증책임특별규정은 존재하지 않고 다만 추정 및 유사추정(잠정적 진실)의 조문만을 두고 있다. 이러한 특별규정이 존재할 경우 권리불발생항변이 인정된다.

마지막으로 증명주제 변경을 통한 권리불발생표지에 근거한 권리불발생항변이다. 이러한 증명주제 변경을 통한 권리불발생표지는 다시 2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법률의 문구에 의하여 본문/단서, 원칙/예외의 형태로 권리불발생표지가 특정되어 있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법률해석에 의한 증명주제변경을 통하여 권리불발생표지가 만들어진 경우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26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