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칸트 실천철학에서 나타나는 균열의 해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 dissolution of the conflict between concepts in Kant's practical philosoph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차승한

Advisor
박찬구
Major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19. 2. 박찬구.
Abstract
본 연구는 칸트 실천철학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난 자연의 세계와 자유의 세계 사이의 균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비판기 칸트 저술 곳곳에 등장하는 양 세계의 매개 논의에 주목하여, 이성의 체계적 통일성을 지향한 칸트의 노력이 그의 비판철학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칸트 실천철학의 대표적 저술인 『실천이성비판』뿐만 아니라, 목적론에 대한 초보적인 아이디어가 담겨 있는 『순수이성비판』의 「순수이성의 규준」을 검토하고, 본격적으로 합목적성이 논의된 『판단력비판』의 「서론」과 「판단력비판 제1서론」, 그리고 궁극목적이 등장하는「목적론적 판단력 비판」의 부록인 목적론적 판단력의 방법론에 흩어져 있는 서술을 검토한다. 검토 결과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사실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자연의 세계와 자유의 세계를 매개하는 칸트의 논변은 비판철학이 전개될수록 더욱 구체화되어 간다. 그는 『실천이성비판』의 「대상론」에서는 매개의 가능성을 보여줄 뿐이지만, 「동기론」에서는 도덕 감정을 통해 실천적 실재성을 확보하고, 「변증학」에서는 최고선을 통해 예지계의 원인성과 감성계의 결과의 연결에 대한 구체적인 기제를 설명하려 시도한다. 더 나아가 『판단력비판』에서는 각 세계의 선험적 원리인 지성의 법칙과 이성의 법칙이 인간의 인식능력인 판단력과 관계 맺는다는 점을 들어 양 세계의 연결을 성공적으로 입증해 낸다.

둘째, 칸트의 논변은 점점 더 인간 외부의 요소가 아닌 인간 내부의 힘을 신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실천이성비판』의 「동기론」에서는 인간 내부의 지성적 감정인 도덕 감정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인간의 감성과 지성에 주목한다. 「변증학」에서는 순수 실천 이성의 이율배반 해소와 관련한 논변에서 인간이 단순히 현상의 인과계열에 종속된 존재가 아니라는 점이 밝혀진다. 하지만, 종국에는 최고선 실현의 보증 근거로서 신을 요청함으로써 인간 외부의 요소를 끌어오게 된다. 그러나 『판단력비판』에서는 외부의 요소가 아닌 인간 마음의 힘과 영혼의 능력들을 토대로 논의를 전개한다.

자연의 세계와 자유의 세계를 매개하려는 칸트의 노력은 실천적 실재성, 주관적 실재성, 주관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칸트는 결코 이론적 실재성, 객관적 실재성, 객관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데 관심을 두지 않는다. 칸트는 예지계의 도덕 법칙이 감성계의 유한한 인간 존재에게 미치는 영향의 결과인 도덕 감정을 두고 그것의 이론적 실재성을 구하지 않고, 예지계의 원인성인 도덕 법칙이 감성계의 행복을 결과할 수 있도록 보증하는 신의 존재에 대하여 객관적 실재성을 구하지 않으며, 자연의 세계와 자유의 세계를 매개하는 반성적 판단력의 선험적 원리인 자연의 합목적성이 오로지 자연이 인간의 인식능력들에 합목적적이다는 전제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자연의 합목적성의 객관적 타당성을 구하지 않는다. 칸트는 유한한 이성적 존재자인 인간의 한계 내에서 자연의 세계와 자유의 세계의 합일의 가능성과 근거를 찾고자 했기에 이론적 실재성이 아닌 실천적 실재성, 객관적 실재성이 아닌 주관적 실재성, 객관적 타당성이 아닌 주관적 타당성을 구하였고, 이는 충분히 설득력을 지닌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논의 과정에서 부각된 최고선과 합목적성 개념이 궁극목적에 이른다는 점에 착안하여, 자연의 세계와 자유의 세계의 매개 과정에 관한 논변이 시사하는 도덕 교육적 함의를 두 가지 측면에서 주목한다. 첫째,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으로 대표되는 도덕 심리학에 노정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칸트의 목적론적 사유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둘째, 덕과 행복의 결합, 즉 옳음과 좋음의 결합을 상징하는 최고선 개념에 대한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도덕적 문제 사태와 도덕과 무관한 사태를 구분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다고 보며, 더불어 최고선에 대한 논의가 도덕 심리학의 한 분야인 사회 영역 이론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다음 네 가지 면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첫째, 칸트 실천철학의 내부에서 자연의 세계와 자유의 세계를 결합하기 위한 노력의 흔적을 찾아냈다. 행복론과 도덕론을 엄격하게 분리하여 서술하고 있는『실천이성비판』「분석학」에 등장하는 자유의 범주표, 순수한 실천적 판단력의 범형, 도덕 법칙에 대한 존경 등이 자연의 세계와 자유의 세계를 연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는 해석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천이성비판』「변증학」에서 전개된 최고선의 논의가 표면적으로는 도덕성과 행복의 결합에 관련된 논의로 전개되고 있으나, 그 근저를 살펴보면 자유의 세계와 자연의 세계의 결합에 관한 논의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셋째, 궁극목적, 최고선 등에 대한 논의가 도덕 교육과 접목될 수 있는 지점을 조명하였으며, 도덕 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도덕 심리학과 또 다른 축인 도덕철학이 접목할 수 있는 지점을 확보하려 시도하였다.

넷째, 자연의 세계와 자유의 세계 사이의 결합을 시도하는 칸트의 논변이 갈수록 정교화하고 있으며, 인간 내부의 힘을 신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Kant's efforts toward systematic unity of reason are appearing throughout his critical philosophy,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racks between the world of nature and the world of freedom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Kant's practical philosophy and focusing on the mediating argument of the two worlds appearing in Kant's critical writings. In order to prove this, this study examines not only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which is a representative work of Kant's practical philosophy, but also The canon of pure reason in Critique of Pure Reason, which contains primitive ideas on teleology and reviews Introduction of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and First Introduction to the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and Methodology of the Teleological Power of Judgment, which is an appendix to the Critique of the Teleological Power of Judgment. As a result of our review, there are two things we can find:

First, Kant's argument that mediates the world of nature and the world of freedom becomes more concrete as the critical philosophy develops. Although he shows only the possibility of mediation in On the concept of an object of pure practical reason of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practical reality is secured through moral feeling in On the incentives of pure practical reason. And in the Dialectic of pure practical reason, he attempts to explain the specific mechanism of connection on the cause of intellectual world, and the result of the sensible world through the highest good. Furthermore, in the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worlds is successfully demonstrated because the law of understanding and the law of reason, which are the a priori principles of each world, relate to the power of judgment, which is human faculty of cognition .

Second, Kant's argument is increasingly in the direction of trusting the power of human beings, not of external factors. In On the incentives of pure practical reason of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Kant pays attention to the human sensibility and understanding by focusing on the moral feeling, which is an intellectual feeling. In Dialectic of pure practical reason it reveals that human beings are not merely subordinate to the causal series of phenomena through the argument related to critical resolution of the antinomy of pure practical reason. In the end, however, it draws external factor of human beings by requesting God as a guarantee of the highest good realization. However, in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the discussion is based on the power of the human mind and the faculties of the soul, not the external factors.

Kant's efforts to mediate the world of nature and the world of freedom are focused on securing practical reality, subjective reality, and subjective validity. Kant never pays attention to theoretical reality, objective reality, and objective validity. Kant neither seek theoretical reality over moral feeling, which is the result of the moral law of intellectual world on the finite human being of world of sense, nor seek objective reality about the existence of God, which guarantees that the moral law of intellectual world can result in the happiness of world of sense. And he does not seek objective validity of the purpose of nature, which is a priori principles of reflecting judgment, that mediates the world of nature and the world of freedom by revealing that nature is purposive for our cognitive faculties. Since Kant wanted to find the possibility and grounds for the unity of the world of nature and the world of freedom within the limits of human beings, who are finite rational beings, so that he sought practical reality, not theoretical reality, subjective reality, not objective reality, subjective validity, not objective validity, which is thought to be sufficiently persuasive.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the debate about the process of mediating the world of nature and the world of freedom implies, by pointing out that the concept of highest good and purposiveness which reach final end. I pay attention to two aspects: First, I think Kant's teleological thinking can help solve the problems of moral psychology represented by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Second, I believe that education on the concept of the highest good, which symbolizes the combination of virtue and happiness, that is, the combination of right and good, will empower learners to distinguish the moral problem from the moral irrelevance, and can help deepen understanding of the Social Domain Theory, which is a field of moral psycholog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four aspects: First, within Kant's practical philosophy, we have found signs of efforts to combine the world of nature and the world of freedom. It suggested that the table of the categories of freedom with respect to the concepts of the good and evil, the typic of pure practical judgment, respect for the law, which are in The analytic of pure practical reason of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which strictly separates from happiness and morality, are part of efforts to connect the world of nature with the world of freedom.

Second, the discussion of the highest good in Dialectic of pure practical reason of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are on the surface as discussions on the combination of morality and happiness, but the basis of which, if you look at it, could be interpreted as a discussion of the combination of the world of freedom and nature.

Third, we tried to find a point where the discussion about final end and the highest good can be combined with moral education, and attempted to secure a point where moral psychology, which is one axis of moral education, and moral philosophy, which is another axis, could be combined.

Fourth, we find that Kant's argument for the union between the world of nature and the world of freedom is becoming more sophisticated and evolving to trust the forces of ma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37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