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공군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irmen on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현철

Advisor
박현정
Major
교육학과(교육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12. 2. 박현정.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공군에 복무하는 병사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이 군 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및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때 개인의 정의적 특성인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이 사회적 지지와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한 개인이 타인과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에 대한 예방과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완충제 역할을 함으로써 좌절을 극복하고 문제해결의 도전을 받아들이는 능력을 강화한다(Sarson, 1991; Sarson et al., 1983). 그러므로 병사들이 군대 환경의 맥락에서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이들의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이 될 수 있다. Bandura(1995)는 긍정적 자기효능감은 어려운 과제나 장애에 직면했을 때 자신을 동기화하고 좌절과 고통을 극복하게 함으로써 장애로부터의 성공적인 회복과 치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는 병사들의 과업 수행과 직무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군 생활 적응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환경의 역경과 스트레스 상황에서 융통성 있는 행동과 문제해결 전략을 동원하여 심리적 적응을 중재하는 변인으로 밝혀진 자아탄력성은 개인에게 낯선 삶의 경험과 수행을 요구하는 군대 환경의 맥락에서 병사들의 적응을 예측하고 매개하는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과 선행연구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1. 공군 병사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1-1. 공군 병사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군 생활 적응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1-2. 자기효능감은 군 생활 적응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1-3. 자아탄력성은 군 생활 적응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공군 병사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1. 공군 병사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2. 공군 병사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3. 공군 병사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공군 병사들의 자기효능감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군에 근무하는 병사 520명을 대상으로 예비 및 본 조사 설문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에서 설정한 잠재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모형을 분석하고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결과와 이론에 근거하여 설정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군 생활 적응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이 군대 환경의 맥락에서도 잘 지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형 평가는 적합도 평가 지수의 기준이 확립된 TLI, CFI, RMSEA를 통해 평가하였고, 적합도 지수가 수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은 비교적 연구 자료를 적절하게 잘 설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병사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개인의 정의적 특성인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은 군 생활 적응에 모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접효과 크기는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이어서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각각을 매개로 군 생활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한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 두 개의 매개변인을 통해 군 생활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접효과의 크기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는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이어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는 효과,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는 효과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효능감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에 있어 가장 큰 주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군 생활 적응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예측하고 중재할 수 있는 유의미한 변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병사들의 효과적인 군 생활 적응 중재방안을 수립하는 데 있어 여러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및 효과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 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effects the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perceived by airmen in the military service have on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and to identify comparative effect size as well as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e study also aimed to explore whether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which are affective characteristics operated as mediating variables.
The social support, as a positive resource, obtained by an individual through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plays an effective buffering role in preventing stress and helping adjustment to an environment, Thus it reinforces the ability to overcome frustration and embrace any challenges for solving problems (Sarson, 1991; Sarson et al., 1983). Furthermore,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irmen in the military context can serve as a principal variable tha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djustment to military life. Bandura (1995) asserted that when people face obstacles and demanding assignments, positive self-efficacy plays a crucial role in enabling people to motivate themselves and to overcome frustration and pain. This implies that the self-efficac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as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by airmen, and act as a mediating variable of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Ego-resilience, a variable that is assumed to arbitrate psychological adjustment by enabling people to employ flexible behaviors and problem solving strategies, faced with circumstantial adversities and stressful situations, can be a factor that predicts and mediates the adjustment of airmen to the military context in which the airmen are forced to face an unfamiliar environment and deal with unaccustomed work.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se theories, presen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Does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irmen have an effect on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1-1. Does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irmen have an direct effect on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1-2. Does the self-efficacy have an direct effect on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1-3. Does the ego-resilience have an direct effect on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2. Does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irmen have an effect on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ego-resilience?
2-1. Does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irmen have an effect on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2-2. Does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irmen have an effect on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ego-resilience?
2-3. Does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irmen have an effect on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ego-resilience?
3. Does the self-efficacy have an effect on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ego-resilie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questions above, both preliminary and mai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520 airmen served in ROK Air Force. The validation of the tool was made through the process of both exploratory factor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n the scale of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e model was also analys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latent variables established in the research model, with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The key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tructural model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and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hich we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was well supported in the military context. Model test was conducted through TLI, CFI, RMSEA, in which the criteria of model test fit were established, and it turned out that model fit could be acceptable. Thus, it may be seen that research data could be explained relatively appropriately by the research model established in this thesis.
Second, it turned out that both th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s well as ego-resilience affected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directly. With regard to the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they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Third, the social support had indirect effects on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ocial support affected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of both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The effect size wa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the mediation of both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and the mediation of ego-resilience. In particular, self-efficacy turned out to be the primary variable that affected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and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ose variables turned out to be the ones that can predict and mediate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is implies that in establishing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on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a systematic and unified approach, based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ous variables and their effectiveness, should be mad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606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15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