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은퇴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Retirement on Health Care Utiliz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백현주

Advisor
권순만
Major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12. 2. 권순만.
Abstract
외환위기 이후로 은퇴자의 대상이 고령층에서부터 중년층까지 확대되었으며, 이에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진행과 기대수명의 연장은 사회적으로는 은퇴인구를 증가시키고 개인적으로 은퇴기간을 늘리면서 은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은퇴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변화에 대한 논의 및 준비가 다각도에서 확장되는 시점에서 노인들의 의료이용 문제와는 별개로 은퇴자들의 의료이용 문제는 중요한 정책적 관심으로서 실증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년도(2006)를 활용하여 은퇴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의료이용의 결정 단계를 보여주는 two part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 은퇴여부를 은퇴자와 비은퇴자로 구분하는 가변수를 이용한 전체 연구자 5,072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 은퇴여부 변수는 외래 의료이용에는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못하였으나 입원 의료이용의 경우 은퇴자가 비은퇴자에 비하여 입원할 odds가 1.41배 증가하는 방향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의료이용은 시간비용(time cost) 자체가 외래 의료이용 시 보다 높기 때문에 경제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비은퇴자의 경우 입원 의료이용의 접근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은퇴로 인한 비근로 시간(non-work time) 증가가 입원을 이용할 확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근로유형에 따른 임금근로자 그룹 2,951명, 자영업자 그룹 2,121명을 대상으로 각 그룹에서 은퇴여부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두 그룹 모두에서 은퇴여부와 외래 의료이용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입원 의료이용의 경우 임금근로자 그룹에서는 은퇴자가 비은퇴자에 비하여 입원할 odds가 1.60베 유의하게 높았고 자영업자 그룹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아 차이가 있었다. 임금근로자 그룹에서는 높은 시간비용이 필요한 입원 의료이용의 경우 근무시간(work time)의 조절이 자영업자에 비하여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은퇴로 인한 비근로 시간 증가가 결국 입원할 확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했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셋째, 은퇴자 1,497명을 대상으로 은퇴사유와 은퇴 후 경과기간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일자리를 찾을 수 없어서 은퇴한 경우는 정년퇴직에 비하여 외래 의료이용 할 odds가 0.65배 유의하게 낮아 노동시장의 여건으로 인한 비자발적 은퇴가 외래 의료이용의 접근에 제약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은퇴 후 경과기간이 2년 이하인 경우는 3년 이상 5년 이하인 경우에 비하여 입원할 odds가 0.74배 낮고, 9년 이상인 경우는 odds가 1.29배 높은 것으로 각각 유의하게 나타나 은퇴 후 경과기간과 연령과의 상관성으로 그 이유를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최근 은퇴인구의 증가 및 은퇴기간의 연장에 대비한 의료수급의 예측을 종전의 단순히 노인 연령의 기준에서 벗어난 실증연구로서 이에 근거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은퇴자들 내에서도 은퇴사유 및 은퇴 후 경과기간은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파악함으로써 은퇴자들의 의료 정책 수립 시 은퇴의 효과와 은퇴자들의 은퇴 속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retirement on health care utilization through two part model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irst, the retirement variabl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odds of using inpatient services. It might imply the increase of non-work time from retirement is the drive for the use of inpatient services as inpatient services need more time cost than outpatient services.

Second, the retirement variable in the employee group was on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odds of using inpatient services when this sample was categorized into the employee group and the self- employed group. It appears the increase of non-work time from retirement in the employee group which isn't able to freely control their work time affects the use of inpatient services which need more time cost than outpatient service.

Third, the attribution of retirement which included retirement reason and the elapsed time from retirement in the retiree group partly affected the health care use. So this results show its attribution in the retiree group needs to be considered in analysing use of healthcare services.

Preparing for rise of the retiree and retirement period in our society, the prediction for health care utilization needs to be analysed separately distinguishing from the elderly. The result could be used as the evidence data for predicting the demand on health care utilization from retirement. Futhermore, the attribution of retirement in the retiree group considerately needs to be included in making the health care policy for the retire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931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4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