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Aspiration in English Voiceless Stops : 영어 무성 폐쇄음에서의 기식의 인식과 발화: 실험을 기반으로 한 영어 원어민 화자와 한국어 원어민 화자 간의 비교 연구
An Experiment-based Comparative Study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Kore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예

Advisor
이재영
Major
영어영문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2012. 2. 이재영.
Abstract
본 논문은 영어 원어민 화자와 한국어 원어민 화자가 영어 무성 폐쇄음(English voiceless stop)의 기식을 인식하고 발화함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고 가정하고 서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른지를 실험을 기반으로 하여 비교 연구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무성 폐쇄음은 영어와 한국어에 공히 존재한다. 하지만 영어는 유기음(aspirated)과 무기음(unaspirated)의 두 종류를, 한국어는 연음(lenis), 경음(fortis), 그리고 격음(aspirated)의 세 종류를 가지므로 기식의 정도에 따른 무성 폐쇄음의 세부적인 분류가 언어특수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Lisker and Abramson (1964)과 Keating (1984) 등의 연구를 따라 영어 무성 폐쇄음의 기식의 정도를 수치화하기 위해 5명의 영어 원어민 화자와 20명의 한국어 원어민 화자를 대상으로 성대 진동 개시 시간(voice onset time, VOT)을 측정하는 발화 실험을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36개의 실제 영어 단어는 어두에 하나의 무성 폐쇄음이 단독으로 오는 것과 /s/ 다음에 오는 것, 이렇게 두 환경으로 구성되었고 피험자들이 그 단어들을 세 번 읽는 동안 녹음이 진행되었다. 그 후 Praat을 이용하여 각 무성 폐쇄음의 VOT를 측정한 결과, 영어 원어민 화자는 /s/에 뒤따르는 무성 폐쇄음의 VOT를 짧게 발화함으로써 무기음으로 발화하는 데 반해, 한국어 원어민 화자의 VOT는 마치 유기음처럼 더 길게 나타나 화자 그룹과 단어 내 환경이 VOT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한국어 원어민 화자의 영어 능숙도가 발화에 미치는 영향도 큰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 영어 원어민 화자와 한국어 원어민 화자가 영어 무성 폐쇄음에서의 기식의 유무를 인식하는지 연구하고자 듣고 응답하는 방식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발화 실험에 참여한 총 25명의 피험자들이 인식 실험에도 역시 참여하였다. 먼저 인식 실험에 앞서 또 다른 2명의 영어 원어민 화자들로 하여금 위에서 언급한 36개의 영어 단어를 읽게 하고 이를 녹음하였다. 그 후 Praat을 이용하여 유기음은 무기음으로, 무기음은 유기음으로 교차하여 편집 및 합성하는 과정을 거쳐, 피험자들로 하여금 한 무성 폐쇄음의 유•무기 쌍이 같은 소리로 인식되는지 다른 소리로 인식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영어 원어민 화자와 한국어 원어민 화자가 같음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아 두 그룹 모두 영어 무성 폐쇄음의 유•무기 구별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소리가 영어에서 음소(phoneme)가 아니라 이음(allophone)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영어 원어민 화자들이 발화 시에는 단어 내에서의 환경에 따라 미묘한 차이를 보이되 두 소리 간에 의미 차이는 없으므로 인식 시에 이들을 구별하지 않는 것이다. 주목할 만한 것은 이 두 소리가 한국어에서는 서로 다른 음소로 존재하기 때문에 연구 초반에 한국어 원어민 화자들이 이들을 구별할 것으로 가정한 바 있으나 오히려 구별하지 못 하는 것으로 실험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영어 단어가 한국어로 차용될 때 적용되는 음운 규칙에 있다고 본다. 영어에서 무성 폐쇄음이었던 것은 그것이 본래 유기음이든 무기음이든 한국어의 격음으로 차용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nd to what degree 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Korean differ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aspiration in English voiceless stops /p, t, k/ in the word-initial position (e.g., /p/ in pill) and in the position following /s/ (e.g., /p/ in spill).
The stimuli of 36 English real words were created in order to conduct one production experiment and one perception experiment. Five 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twenty native speakers of Korean participated in both experiments. In the production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the stimuli in a carrier phrase: I said today. The tasks were recorded, and the voice onset time (VOT) values of each target voiceless stop were measured with the aid of Praat.
For the perception experiment, 2 native English speakers read the stimuli, and what they read was recorded. The recordings were then synthesized. That is, the target consonants in each stimulus were cross-spliced in terms of aspiration; for example, the aspirated stop [ph] in pill was replaced with the unaspirated one, and the unaspirated stop [p] in spill was replaced with the aspirated one. In this way, [ph]ill and [p]ill composed one pair, and s[p]ill and s[ph]ill composed another pair. The percep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Praat, and the 25 subjects who had taken part in the production experiment were required to listen to 144 pairs of stimuli, each of which was paired with one word of appropriate aspiration and another word of inappropriate aspiration. The subjects were asked to discriminate whether the two sounds were same or different. The scores of the task for discriminating between aspirated stops and unaspirated stops in the perception experiment were analyzed. The scores ranged from 0 to 1: different, the correct response, was coded as 1; same, the incorrect response, was coded as 0.
The statistical analyses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ndicate that the group classification of the speakers (i.e., native English speakers, Korean high-level proficiency speakers of English, Korean low-level proficiency speakers of English) and the context of the target voiceless stops within a word (i.e., in the word-initial position and in the position immediately following /s/) proved to be strong indicators for the difference in both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aspiration. As for native speakers of Korean, English proficiency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production.
While native English speakers mad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aspirated and unaspirated stops in the position following /s/ in the production experiment, they failed to do so in the same environment for the perception experiment. On the other hand, native speakers of Korean failed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aspirated and unaspirated stops in both the production experiment and perception experiment. These results are ascribed to the different phonemic categories in the two languages. That is, the relation between aspirated and unaspirated stops differs between English and Korean. In English, aspirated and unaspirated stops are allophones, which are perceived as a single phoneme but produced with a slight difference based on the context. On the other hand, they are different phonemes in Korean, which might enable native Korean speakers to distinguish aspirated stops from unaspirated ones.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native Korean speakers do not discriminate between the two sounds in both perception and production. I suggest that this is because the native Korean speakers were influenced by Korean loanword phonology and the knowledge that all English voiceless stops, regardless of aspiration, should be borrowed as voiceless aspirated stops in Korean.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256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9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