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90년 이후 복식에 나타난 장식 유형과 기법 분석 : An Analysis of the Types and Techniques of Decorations in Dress - Based on Wölfflin's Formative Perspectives -
- 뵐플린의 시형식을 바탕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차혜인

Advisor
김민자
Major
의류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2. 2. 김민자.
Abstract
장식은 예술 창작의 하나의 근본 계기로서 일정한 형식 원리에 의해 추상화되고 규칙화된 미를 표현해 왔다. 또한 장식은 개인 뿐 아니라 시대별 사회·문화적 의미와 미적 가치를 내포해오면서 다른 예술들에 수반되어 그들의 가치를 강조한다. 현대 복식에서의 장식은 복식의 독창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법과 표현으로 시각적·심리적인 고도의 조형성을 나타냄으로써 복식의 예술적 주요 요소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90년 이후 사회 문화적인 배경 요소를 사적 분석한 후 이로 인해 변화하고 있는 장식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한 1990년 이후 복식에 나타난 장식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그 유형과 기법에 관해 『꼴레지오니(Donna Collezioni)』를 통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식은 복식을 바탕으로 한 공간을 2차원·3차원적으로 다룬다는 점과 시대가 흐름에 따라 점차 다른 미적 특성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뵐플린의 시형식을 적용하여 장식 유형과 기법의 일반적인 공통점을 도출, 그의 변화 양상을 사례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이후 다원주의를 바탕으로 여러 문화가 다층적으로 전개되면서 복식 역시도 다양한 감각과 양식이 혼합되고 소비자 개개인의 취향을 존중하게 되었다. 소비자는 이전 시대보다도 심미적이고 감성적인 욕구를 충족하길 바라며 소비를 통한 즐거움을 얻기를 원한다. 이에 의류 산업은 소비자의 감성을 충족하는 차별화·특성화된 상품과 가격 프리미엄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복식에 장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기술적인 발달 역시 장식의 다양한 형태 변화와 수월한 공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로 인하여 장식 기존의 심리적 보호성은 점차 사라지고 있지만 시각적인 측면에서의 미적 예술성은 증대하고 있다. 또한 복식에 나타난 장식이 소비자의 부와 지위를 새로운 형태로 나타내며 사회적·심리적 만족감을 제공한다는 점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상징성은 유지되고 있다.
둘째,『꼴레지오니』를 통하여 1990년 이후 20년간의 컬렉션 사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장식을 활용한 복식의 사진은 총 6678장이 수집되었으며 이 자료 안에서 나타난 장식 기법은 총 7307개, 장식 기법의 종류는 283가지가 나타났다. 봉제에 의한 장식 유형 중 소재 자체의 표면 변형하는 것으로는 주름, 턱·핀턱, 오리가미, 꼬집기, 셔링·개더·스모킹, 퀼팅, 코딩, 자수, 장식 스티치, 프린트, 슬래쉬, 펀칭, 컷워크, 원단 끝처리 기법이 나타났다. 소재와 소재를 결합하는 것으로는 패치워크, 니트·레이스·모피, 위빙, 바인딩·파이핑, 프릴·러플·플라운스·루시, 패고팅, 레이스업, 지퍼 등의 기법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부착에 의한 장식으로는 비즈, 스팽글 및 기타 아크릴·크리스탈 장식, 스터드, 아일렛, 핫픽스, 거울·동전, 옷핀·걸고리·단추, 링, 리본, 견장·엠블럼, 주조, 와이어, 브레이드, 기타 테이프 장식, 아플리케, 깃털, 타슬, 프린징, 테이프, 코드사, 니트원사, 체인 외에도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한 기법이 나타났다. 대표적인 혼합적 장식으로는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비딩 장식, 자수나 커팅을 이용한 원단 모티프의 부착이 있었으며 그 외에 앞서 설명한 각종 유형과 기법을 혼합하여 복식 위에 따로 혹은 중첩하여 표현된 장식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991년부터 2010년까지 각 연도별 사용하는 장식 기법의 종류는 점차 증가하고 있었으며 이는 복식에 있어서 장식의 중요도가 점차 커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난 20년 간 장식 유형은 장식물 부착 유형 다음으로 소재와 소재의 결합 유형, 소재 자체의 표면 변형, 혼합적 양상의 유형 순으로 나타나며 2000년대 후반으로 올수록 한 해 동안 사용된 장식 유형의 비율은 혼합적 장식이 점차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장식 재료와 활용 방법의 범위에서 벗어나 복식에 나타나는 장식이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방법으로 발전 중임을 의미한다.
셋째, 뵐플린의 시형식 다섯 쌍의 기초개념을 바탕으로 복식에 나타난 장식의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선적인 장식은 장식 외관의 윤곽선과 각 재료, 색채를 뚜렷하게 표현한다. 회화적인 장식은 전체적인 덩어리로 모호하게 외관이 나타나며 장식의 재료와 색채는 구별하기 어렵다. 평면적인 장식은 일률적·좌우 병립으로 배치되며 윤곽선이 강조됨에 따라 관찰자는 고정된 시선으로 장식을 바라보게 된다. 깊이 있는 장식은 입체적인 공간을 형성항 조형적인 측면에서 운동감을 가지며 윤곽선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장식을 바라보는 감상자는 내진적인 동선을 가지고 시선을 움직이게 된다. 폐쇄적 형태의 장식은 복식의 정면이나 정측면에 수직적·수평적인 배치를 통하여 구축적이고 정적인 느낌을 가진다. 개방적 형태의 장식은 복식에 방향적 요소를 배제한 채 자유롭게 배치되면서 불완전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가지며 동시에 유동적인 균형감을 추구한다. 다원적 통일성을 띤 장식은 각 요소가 부분적이고 개별적이며 시각적으로 균등하게 강조된다. 단일적 통일성을 띤 장식은 전체를 통틀어 인식되며 융합적인 체계를 가진다. 각 세부 요소는 서로 조화를 이루는데, 하나의 주요 장식이 강조되며 나머지 장식은 이에 따라 부수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명료한 장식은 개별 형태가 명백하게 드러나며 정적이고 생동감이 결여되어 있다. 불명료한 장식은 부분의 의도적인 왜곡과 강조, 생략 등을 통하여 전체적인 인상을 남기며 유동적이면서도 통일감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는 1990년 이후 복식에서 나타난 장식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의를 재정립하고 현대 복식 디자인의 자료를 축적하고자 하였으며, 이로 인해 복식과 장식 디자인의 창의적인 발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Decoration is a fundamental motive of creation in arts, which is abstracted by a particular form principle and has been used to describe a certain form of orderly beauty. Also, decoration has not just influenced individuals but has influenced the value along with other art products incorporated with the sociocultural value and the aesthetic value of generations. In order to bring out the originality of modern fashion, decoration has functioned as the main element of arts in dress by expressing visual and psychological high-level formativeness in different means of expression. This study focuses on elements that influence the transition of types and techniques that also influences the meaning of decoration both privately and in sociocultural aspect since the 1990s. This is done by implementing an actual analysis of the types and techniques of 『Donna Collezioni』 expressed in dress since the 1990s that has been influenced by the transition. The study shows the different aesthetic qualities that gradually took to position following analysis of the transition by case studies and what was found as the general commonalities in the types and techniques of the decorations in applying Heinrich Wölfflin's formative perspective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evaluations of the study.
First, with the multi-layered expansion of culture since the 1990s under the influence of pluralism, fashion also took to the combination of various senses and forms in respect of customers' tastes. Customers wanted to fulfil their aesthetic and emotional desires more than the past generations, and pursues contentment through spending. Apparel industry is making use of decorations as a means of distinguishing and characterization, along with premium pricing that fulfills customers' emotions. Development in technique also made it possible for the variety in forms and fine processing of the decorations. As a result, the psychological protectionism is gradually disappearing but the artistry in visual prospect is increasing. Also, the decorations in dress displays a new form of wealth and social position in the modern society, maintaining the sociocultural symbolism by providing customers' contentment by such.
Secondly, a total of 6678 photos using decorations were found, along with 7307 techniques, and 283 types of techniques were found in analyzing the 『Collezioni』photo collection of twenty years since the 1990s. The types of needlework decorations that modifies the surface of the matter are the following: pleats, tucks, pin-tucks, shirring gather, smocking, fixing, origami, quilting, cording, embroidery, decoration stitch, print, slash, punching, cut work, hem line decoration. The technique using a combination of different materials were the following: patchwork, knit, lace, fur, weaving, binding, piping, frill, ruffle, flounce, rouche, fagoting, lace-up, zipper. decorations by attachment made use of beads, spangle, acrylic, crystal, stud, eyelet, hotfix, mirror, coin, safety pin, hanger loop, button, ring, ribbon, epaulet, emblem, casting, wire, braid, other tapes, applique, feather, tassel, fringing, tape, cord, knit thread, and chain. Representing combinational decoration were beading decoration using various material, attachment of fabric motif, and others using the aforementioned types and techniques alone or in a combination in dress.
The types of techniques per year ranging from 1991 to 2010 were gradually increasing, which indicates the increasing importance in dress decorations. For the past 20 years, types of decorations have developed in the order of attachment decoration type, combination of different materials, modification of the material surface, and combinational type. Approaching the late 2000s, the proportion of using combinational decoration increased. This signifies how decorations are developing from the prior limitations of using decorational material to a more complex and varied style.
Thirdly, the analysis of transition of dress decorations based on five pairs of the basic principles of Wölfflin's formative perspectives shows that linear decorations expresses the outer boundary of decoration and each material and color explicitly. Painterly decoration expresses the decoration as a whole vaguely and makes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material and color of the decoration. Plane decoration is displayed in parallel unity, explicating the boundaries which induces audience to fix sightline upon observance. decorations with depth create a recession giving it a moving quality to it, and not so much focus on the boundaries. The observer of the decoration looks with a curve chord that controls the sight line. A closed form decoration gives a stationery feeling b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ayout of the facing surface of the decoration. An open form decoration eliminates the directional elements and displays a free layout, resulting in an incomplete and disorderly form, which at the same time pursues dynamic balance. decorations with multiplicity emphasizes each element separately, in part, with visual equality. Decorations with singular unity is acknowledged in entirety and bears amalgamated system. Subordinate elements harmonize as the main decoration is emphasized and the rest of the decorations seemingly take on the subordinate role. Decorations with absolute clarity displays the separate form explicitly in a stationary manner without vitality. Decorations with relative clarity use distortion, emphasis, and omittance of a part, by which it conveys the general impression as a whole, and has fluid and uniform character.
This study has made an effort to redefine decorations as they appear in dress since the 1990s and build to the data on modern fashion design, and to contribute to creative thinking in dress and decorations by doing so.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321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6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