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성인의 신체활동과 골밀도 간의 연관성 분석 연구 :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ul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우승석

Advisor
김연수
Major
체육교육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2. 2. 김연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이 골밀도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제 4기 2차년도(2008)와 3차년도(2009)에 검진조사, 건강설문조사 및 영양설문조사를 실시한 50대 이상 남·여로써 기술통계 및 ANOVA에서는 총 2903명(남자: 1445명, 여자: 145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Logistic regression에서는 총 1721명(남자: 1117명, 여자: 6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건강설문조사에서 신체·정신적 제한으로 인해 신체활동을 하지 못하는 자와 골다공증이라고 의사에게 이미 진단받은 자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령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는 50대, 60대, 70대, 80세 이상으로 나누어 보았으며, 신체활동량에 따른 구분에서는 자신이 시행한 총 신체활동량이 주당 600 METs이하를 Light, 주당 600 METs 이상 3000 METs이하를 Middle, 주당 3000 METs이상을 Heavy 등급으로 지정하였다(IPAQ). 운동강도에 따른 분류는 자신이 시행한 신체활동량에서 50%이상을 고강도 신체활동으로 실시하였을 경우 고강도 위주의 신체활동 실시군으로 보았으며, 근력운동일수가 2일 이하, 2~4일, 5일 이상 3그룹으로 나누었다. 보정변수로는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나이, 흡연, 음주, 비타민D, 고혈압, 당뇨, 만성간질환, 체지방, 고지혈증, 병력을 반영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골다공증 유병률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체활동량과 연령에 따른 골밀도 변화를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신체활동량과 강도, 근력운동 일수에 따른 골다공증 위험도를 알아보기 위해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통계 유의수준은 p<.05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골다공증이라고 이미 진단받은 자가 약 5배(남자: 83명, 여자: 382명)나 많았으며, 골밀도 검진 결과 골감소증이라고 진단받은 자는 여성(남자 중 46.7%, 여자 중 50.4%)이 많았다. 연령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는 남·여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부위의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체활동량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에서는 신체활동량이 많은 그룹이 적은 그룹보다 대퇴골 전체(Heavy: -.01±1.02, Light: -.34±1.04), 요추(Heavy: -.93±1.35, Light: -1.21±1.42), 대퇴골 경부(Heavy: -.92±1.09, Light: -1.25±1.1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p<.05)하게 높았다. 또한 남성의 골다공증 위험비에서는 신체활동량이 많은 그룹이 적은 그룹에 비해 낮게(Heavy-OR:.49, 95% CI: .26, 0.94) 나왔다. 하지만 강도에 따른 골다공증 상대적 위험도와 근력운동 일수에 따른 골다공증 위험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골다공증 유병률이 높았으며, 신체활동량이 많은 그룹이 골다공증 위험비가 낮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현제 골 건강을 위해 권장되고 있는 신체활동량(주당90~300분)보다 많은 신체활동량이 권장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bone mineral density(BMD) in Korean adult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2093 adults(1445 male and 1458 female) aged ≥50 years at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1721 adults(1117 male and 604 female) at Logistic regression who completed the Health Interview, the Health Behavior Surveys, the Nutrition Surveys and did bone densitometry, issued during the For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09). People who couldnt do physical activity because of physical or mental disorder and who already got diagnosis of osteoporosis were excluded.
BMD differences by age were classified with 50s, 60s, 70s and over 80 years. PA level was divided into 3 levels(Light: <600 METs/week, 600 METs/week≤ Middle <3000 METs/week, Heavy: ≥3000 METs; IPAQ). IF people do over 50% vigorous PA of their total PA time, they were classified with high intensity PA group and resistance training was classified with less than a Day, 2 to 4 Days, over 5 Days/week. Confounding factors that can influence on bone mineral density (age, smoking, alcohol, vitamin D, calcium, hypertension, diabetes, osteoporosis family history, hypogonadism, chronic-river disease, body fat, estrogen therapy, menopausal duration) were used for adjustment. Data process was conduct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PC+ for Window(version 18.0).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prevalence of osteoporosis by gender, one way ANOVA was carried out for bone mineral density differences by age and amount of PA, and Logistic regression carried out for relative risk of osteoporosis by amount and intensity of PA and day of resistance training. Significant level was adjusted at .05.
The study result is that: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was 5 times higher in women (men: 0.4%, women: 5.6%) and prevalence of osteopenia was higher in women(46.7% of male, 50.4% of female). Bone mineral density decreased with age (F: .01-.26, p≤.05) in both genders. Heavy PA group BMD greater than lighter PA group at total femur BMD(Heavy: -.01 ± 1.02, Light: -.34 ± 1.04), Lumbar spine BMD(Heavy: -.93 ± 1.35, Light: -1.21 ± 1.42), Femoral Neck BMD(Heavy: -.92 ± 1.09, Light: -1.25 ± 1.11). Odds ratio for osteoporosis is heavy PA group was less than Light PA group(OR: .49, 95% CI: .26 to .94). But PA intensity and days of resistance training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prevalence of osteoporosis was higher in women and greater amoun of PA was less relative risk. So need more PA than current recommendation PA(90 to 300 minutes a week) for bone health.

Key Words: Physical Activity, Bone Mineral Density, Osteoporosis

Student Number: 2010 – 21561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659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0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