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상교합과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하악소설의 위치와 하악관의 주행, 협측 피질골의 두께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lingula, the anatomical course of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thickness of the buccal cortical bone in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성기웅

Advisor
이종호
Major
치의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학과, 2012. 2. 이종호.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상교합 환자군과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군의 하악소설의 위치, 하악관의 해부학적인 주행 경로 및 그리고 협측 피질골의 두께를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서 2008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Angle씨 분류 제 I급 교합을 갖고 있는 환자군(Class I 환자군)과 Angle씨 분류 제 III급 부정교합 중 상하악의 전후방 차이가 6mm 이상인 악교정 수술을 요하는 심한 부정교합 환자군(Class III 환자군)으로 나누었다. 3차원 영상 소프트웨어(SimplantⓇ version 14.0, Materialise, Leuven, Belgium)를 이용하여 하악소설의 위치와 하악관의 해부학적인 주행 경로, 그리고 협측 피질골의 두께를 분석하였다. 교합평면에서 하악소설까지의 높이, 측면 상에서 하악지와 하악관의 관계, 신경 주행경로, 협측 피질골의 두께, 협측 피질골에서 하악관까지의 거리를 평가항목으로 두 군 간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교합평면에서 하악소설까지의 높이는 Class I 환자군은 평균 7.80 ± 2.49mm이고 Class III 환자군은 10.03 ± 3.31mm로 Class III 환자군에서 Class I 환자군보다 측정값이 더 크게 나왔다(p<0.05). 남자의 경우 Class I 환자군은 7.94 ± 2.66mm, Class III 환자군은 11.24 ± 3.06mm로 Class III 환자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큰 값을 나타냈다(p<0.05). 여자의 경우 Class I 환자군은 7.71 ± 2.43mm이고, Class III 환자군은 7.95 ± 2.72mm로 Class III 환자군에서 다소 큰 값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측면 상에서 하악지의 최전방과 최후방 거리에 대한 전방으로부터 하악관까지의 거리의 비는 위에서부터 볼 때, Class I 환자군은 0.59 ± 0.06, 0.50 ± 0.08, 0.45 ± 0.06을 나타냈고, Class III 환자군은 0.59 ± 0.04, 0.47 ± 0.05, 0.41 ± 0.06을 나타냈다. 두 군 모두 하악관이 전하방으로 비슷하게 주행을 하지만 CEJ를 포함하는 평면에서부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측면에서 하악관의 주행경로를 보았을 때 꺾이는 부분이 두 군 모두 제 2대구치에서 가장 많았고, 제 3대구치, 제 1대구치 순이었다. 교합면에서 주행을 분석했을 때 두 군 모두 제 1, 2, 3대구치에서 설측으로 주행하는 비율이 가장 많았다. 협측 피질골의 두께는 Class I 환자군은 2.86 ± 0.19mm, Class III 환자군은 2.85 ± 0.17mm를 나타냈다. 남자의 경우 Class I 환자군은 2.87 ± 0.25mm, Class III 환자군은 2.92 ± 0.20mm를 나타냈고 여자의 경우 Class I 환자군은 2.86 ± 0.17mm, Class III 환자군은 2.72 ± 0.13mm를 나타냈다. 제 1대구치와 제 2대구치 사이에서 협측 피질골의 두께가 가장 두꺼웠고 모든 측정지점에서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협측 피질골에서 하악관까지의 거리는 Class I 환자군은 6.31 ± 1.06mm, Class III 환자군은 6.36 ± 0.83mm 범위를 보였다. 남자의 경우 Class I 환자군은 6.69 ± 1.11mm, Class III 환자군은 6.48 ± 0.80mm를 나타냈고 여자의 경우 Class I 환자군은 6.09 ± 1.04mm, Class III 환자군은 6.15 ± 0.91mm를 나타냈다. 제 2대구치 부위에서 협측 피질골에서 하악관까지 거리가 가장 큰 값을 나타냈고 모든 측정지점에서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Class I 환자군과 Class III 환자군의 교합면에 대한 하악소설의 높이는 Class I 환자군은 평균 7.80 ± 2.49mm이고 Class III 환자군은 10.03 ± 3.31mm로 Class III 환자군에서 Class I 환자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측정값이 크게 나왔다. 또한 교합면과 평행하고 #46 치아의 CEJ를 지나는 평면에서 하악지의 최전방과 최후방 거리에 대한 전방으로부터 하악관까지의 거리의 비는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측정한 다른 평가항목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lingula, the anatomic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thickness of the buccal cortical bone in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Patients and Methods
Sixty patients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took Computed tomography image from March, 2008 to September, 2011,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Angle classification I and III. The criteria of Angle classification III malocclusion was having a negative overjet over 6mm and in need of orthognathic surgery. Using the three dimensional imaging software(SimplantⓇ version 14.0, Materialise, Leuven, Belgium),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lingula, the anatomic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buccal cortical bone thickness were analysed. The evaluated items were the height of the mandibular lingula from the occlusal plane, the relationship of the ramus of mandible to the mandibular canal in lateral view, the thickness of the buccal cortical bone, and the distance from the lateral aspect of the buccal cortical bone to the mandibular canal. Measuremen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Results
The height of the mandibular lingula from the occlusal plane was 7.80 ± 2.49mm in Class I patient group and 10.03 ± 3.31mm in Class III patients group. The values were higher in the Class III patient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male, 7.94 ± 2.66mm in Class I patient group and 11.24 ± 3.06mm in the Class III patient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female, 7.71 ± 2.43mm in Class I patient group and 7.95 ± 2.72mm in the Class III patient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ramus anterior to the mandibular canal to the total antero-posterior width of the ramus was 0.59 ± 0.06, 0.50 ± 0.08, 0.45 ± 0.06 starting from the top in Class I and 0.59 ± 0.04, 0.47 ± 0.05, 0.41 ± 0.06 in Class III. The ratio started to show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rom CEJ plane. From the lateral view, the mandibular canal made a curve under the second molar in the most number of cases in both groups, followed by third molar and first molar. From the occlusal view, the mandibular canal passing through first molar, second molar, and third molar lingually was the most frequent. Buccal cortical bone thickness was 2.86 ± 0.19mm in Class I and 2.85 ± 0.17mm in Class III. In male, 2.87 ± 0.25mm in Class I patient group and 2.92 ± 0.20mm in Class III patient group. In female, 2.86 ± 0.17mm in Class I patient group and 2.72 ± 0.13mm in Class III patient group. The thickness was greates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ar in both group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stance between the buccal cortical bone and the mandibular canal was 6.31 ± 1.06mm in Class I and 6.36 ± 0.83mm in Class III. In male 6.69 ± 1.11mm in Class I patient group and 6.48 ± 0.80mm in Class III patient group. In female, 6.09 ± 1.04mm in Class I patient group and 6.15 ± 0.91mm in Class III patient group. The distance was greatest around the second mola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n the comparison between two grou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eight of the mandibular lingula from the occlusal plane(7.80 ± 2.49mm in Class I patient group and 10.03 ± 3.31mm in Class III patients group), and the ratio of the antero-posterior length of ramus of mandible to the length between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anterior point of the plane that was paralleled with the occlusal plane and contained the #46 CEJ in the ramus of mandible between Class I and Class III patient group. Other values in the rest of the measuring point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743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9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