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스마트그리드 기술 수용 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민상

Advisor
김동욱
Major
행정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2012. 2. 김동욱.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전기에너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에너지 소비의 40%에 도달하고 있다. 급격한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첫째는 온실화로 인한 환경 문제와 둘째는 전력망으로 부르는 전력 인프라 설비 문제로 인하여 전기 에너지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이 주목을 받는 해결책인 스마트그리드(Smart Grid)는 전력망(Grid)에 통신·ICT 기술을 결합해 안정적이고 고효율의 지능화된 전력망이다. 이미 미국과 EU, 일본 등에서는 스마트그리드의 전력 효율 증진과 온실 가스 저감 효과에 주목하고 기술 개발 및 보급을 서두르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에 발맞추어 스마트그리드 기술 개발과 보급을 서두르고 있다. 정부는 2009년 6월 5일 스마트그리드 구성요소 간의 연계성, 시범 도시로의 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해 실증단지 용지로 제주를 선정하여 제주도 구좌읍 6,000호를 대상으로 실증산업을 진행 중이다. 제주도의 스마트그리드 실증 사업은 현재 개발 중인 기술들의 실현 가능성을 점쳐보는 의미와 함께 스마트그리드 기술에 대해서 소비자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점검해 보는 기회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증 대상 주민의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검토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본격적으로 보급하기 전에 소비자가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수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제주도 구좌읍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에서 실시된 설문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스마트그리드의 유용성, 편의성, 위험, 보급정책, 보상, 비용 등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 중 스마트그리드 기술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형을 사용하였다. 소비자의 기술 수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모형으로서 주로 ICT 관련 제품과 기술에 대한 수용 의도를 분석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우선 기술수용모형은 사용하여 스마트그리드 기술 수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탐색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대규모 ICT 인프라 기술로서 스마트그리드 기술에 관해서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할 때의 한계점을 지적해 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고려 요소들을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서 스마트그리드 기술 수용 의도에 대한 더 풍부한 설명을 제시하고 스마트그리드 기술 개발과 보급 정책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형, 스마트그리드 관련 선행연구 검토하여 스마트그리드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7가지 변수를 고려하고 있다. 이 요인들은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사용 편리성, 위험에 대한 우려, 정책에 대한 이해, 보상에 대한 기대, 비용에 대한 우려, 친환경적 가치관이다. 이 중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사용 편리성은 기술에 대한 인식으로 분류하였고 위험에 대한 우려, 정책에 대한 이해, 보상에 대한 기대, 비용에 대한 우려는 정책에 대한 인식으로 분류하였으며 친환경적 가치관은 환경에 대한 인식으로 분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7가지 독립변수가 스마트그리드 기술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 째, 기술에 대한 인식에 관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H 1. 인지된 유용성은 스마트그리드 수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2. 인지된 편의성은 스마트그리드 수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 째, 정책에 대한 인식에 관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H 3. 정책 이해도는 스마트그리드 기술 수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4. 위험에 대한 우려는 스마트그리드 기술 수용 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5. 보상에 대한 기대는 스마트그리드 기술 수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 6. 비용에 대한 우려는 스마트그리드 기술 수용 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다.
마지막으로 환경에 대한 인식에 관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H 7. 친환경적인 가치관은 스마트그리드 기술 수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는데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술에 대한 인식에 대한 가설 중 H 1과 H 2는 채택되었다. 정책에 대한 인식에 대한 가설 중 H 3, H 5, H 6는 채택되었으나 H 3는 기각되었다. 환경에 대한 인식인 친환경적 가치관에 대한 가설 H 7은 채택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기술수용모형에서 고려하지 않은 변수들을 스마트그리드 기술 수용의도를 관한 연구에서는 고려해야함을 보여 주는 것이다.
정책적으로는 스마트그리드 기술 수용의도를 높여 기술 보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한다. 우선, 스마트그리드 기술에 대한 유용성과 사용 편리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스마트그리드 도입 시 각 개인이 지불해야하는 비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스마트그리드의 기술의 친환경적 측면에 대한 강조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sumers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Smart grid technology is widely conceived as a suitable technology to meet the ever-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demand and to help reduce greenhouse gas. In Korea, a smart grid test bed has been established in Jeju Islan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f the technology. In this study, data gathered from a survey on residents of the test bed was used to analyze what factors the residents prioritize when they are to accept and use the technology.
In this study,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as adopte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process of consumers acceptance of ICT technologies. The model is suitable as smart grid technology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embedding ICT technologies in the existing electrical grid system. However, unlike typical objects of study (namely smartphones, e-mail system, and e-commercial system) where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as applied for analysis, smart grid is an infra-structure and thus it is profoundly related to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is study, policy factors and ecological factor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grid technology.
In this study, a dependent variable is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Independent variables ar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understanding of smart grid policies, technology risk awareness, expectation of government subsidies, cost awareness, and ecological view of the environment. Control variables are age, income, gender, profession, and smart grid user experience.
There are 7 hypotheses in this study: H1: Perceived usefulness will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H2: Perceived ease of use will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H3: Understanding of smart grid policies will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H4: Technology risk awareness will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H5: Expectation of government subsidies will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H6: Cost awareness will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H7: Ecological view of the environment will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The analytical technique chosen to test the hypotheses was multiple regression mode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Understanding of smart grid policies and expectation of government subsid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Cost aware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risk awareness and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Ecological view of the environ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technology awareness to examine the consumers intention to use technology. Howe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ot only technology awareness but also policy awareness and environment awareness are cruci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intention to use smart grid technology, as cost awareness and ecological view of the environment have bigger impacts when the standardized coefficients are compared.
Quality of technology is an important factor for dissemination of technology, bu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a policy that would enhance process of technology distribution should not be overlooked and hence a sound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797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10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