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의 제1,2차 미술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듀이의 교육철학적 요소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중우

Advisor
김형숙
Major
협동과정(미술교육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미술교육전공), 2012. 2. 김형숙.
Abstract
1945년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새로운 국가 비전에 부합하는 현대적 교육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전통적인 교육과는 다른 새로운 교육 체제가 필요하였다. 미군정에 의해 임시 통치되던 상황 하에서, 미군정과 미국 유학 출신의 한국 교육계 인사들은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의 교육이론에서 한국 교육의 사상적 배경을 찾고자 하였다. 이들에 의해 고안된 한국 교육과정의 기본 틀은 듀이의 교육이론을 그 이념적 기초로 하여 성립되었고, 이러한 사실은 교과과정 중 하나인 미술과(科) 교육과정에 듀이의 교육철학적 요소가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근거가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 최초의 현대적 교육과정인 제1차 및 제2차 미술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듀이의 교육철학적 요소가 어떠한지를 파악하고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대적 배경으로서 해방 후 한국 교육계의 상황을 알아보고, 이론적 배경으로서 한국 교육에 도입된 듀이 교육이론의 핵심 개념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듀이 교육이론의 검토를 바탕으로 초기 미술과 교육과정의 분석을 위한 준거를 생활과의 관련, 학생 중심의 교육, 교사 역할의 변화라는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제1․2차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기에 앞서, 이전 미술교육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은 초기 미술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현대적 미술과 교육과정이 만들어지기 전인 개화기와 일제 식민지 시기, 교수요목기의 미술교육은 기능 습득이 교육의 목표였고, 성인의 그림을 따라 그리는 것이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이었다. 그러나 제1․2차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이전의 미술교육과는 다른 교육적 관점이 드러나는데, 목표에 있어서는 학생의 삶을 위한 미술교육, 내용 및 방법에 있어서는 일상생활과 연계되고 학생의 현재 조건에 부합하는 방식의 미술교육이라는 새로운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이 도입되게 된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점들이 제1․2차 미술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듀이의 교육철학적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제1차 미술과 교육과정의 경우, 한국전쟁 직후라는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아직 교육과정으로서의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았지만, 부분적이나마 듀이의 교육철학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미술교육의 목표에서 생활에 적용되는 미술교육을 강조하였고 학생의 심신 발달 단계를 고려한 교육내용 및 방법을 제시한 것이 제1차 미술과 교육과정에 드러난 대표적인 듀이 철학의 영향이다. 제2차 미술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으로서의 체계를 갖추기 시작하여 듀이의 교육철학을 더욱 종합적으로 반영하기 시작하였다. 생활에 적용되는 미술교육과 더불어 학생 중심의 미술교육을 그 목표로 제시하였고, 학생으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교육 내용 및 방법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 최초의 현대적 미술과 교육과정인 제1차 교육과정은 그 불완전한 체계를 논외로 한다면, 새로운 교육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전통적인 교육으로부터의 탈피와 듀이의 교육철학적 요소 도입 시도라는 측면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제2차 미술과 교육과정은 제1차 교육과정을 수정․보완하여 듀이의 교육철학이 체계적으로 반영되도록 하였고, 다소 생활과의 관련에 치중했던 제1차 교육과정을 보완하여 학생 중심의 미술교육을 더욱 분명하게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현대적인 미술교육의 토대가 되었던 초기 미술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듀이의 교육철학적 요소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기능 숙련자 양성의 측면이 강했던 전통적 미술교육을 학생의 현재 경험과 조건을 존중하고 학생의 생활과 미술이 연계되는 새로운 미술교육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교육철학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당시 구상했던 현대적 미술교육이 궁극적으로는 학생의 삶에서 항상 이루어지는 미술교육이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듀이의 교육철학적 요소들이 오늘날 교육과정인 제7차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고찰의 근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본 연구가 한국 미술과 교육과정 연구의 기초 토대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In South Korea, after the 1945 liberation, a new educational system that differed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was need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modern education according with the new nations vision.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he US military government officials and Korean educational experts who had studied in the US during the colonial period looked to John Dewey(1859~1952)'s educational theory for a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e new education system. Thus, the framework of the Korean curriculum was established on the ideological basis of Dewey's theory. And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weys educational-philosophical principles specifically regarding the Art Curriculum in South Korea.
I attempted to analyze Deweys educational-philosophical principles that are reflected in the 1st & 2nd Art Curricula. To achieve this, I researched the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following liberation and studied the key principles of Deweys theory that had been introduced to Korean education in the formation of its theoretical foundation. Then, based on my study of Dewey's theory, I selected the criteria of the relation of lif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change of teachers role for the analysis of the Art Curriculum in its early stages.
Before analyzing the 1st & 2nd Art Curricula, it is helpful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to more clearly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1st & 2nd Art Curricula. The aim of art education was technical acquisition in the Enlightenment era,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Syllabus period - all of which occurred before the formation of the modern Art Curriculum. The contents of art education during those early periods were artworks made by adults and the method used was the imitation of original works of art. However, in the 1st & 2nd Art Curricula, other educational perspectives emerged. That is, a new paradigm of art education was instituted in Korean education. In this new model, art education was considered the learners lifelong aim, and the contents were taken from daily life while the method accorded with the learner's present condition. Such changes in the 1st & 2nd Art Curricula reflected Deweys educational-philosophical principles.
The 1st Art Curriculum was not yet systematized because it was formed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 however, it was influenced by Dewey's philosophy to some degree. The typical impact on the 1st Art Curriculum is the emphasis of art education that is applied to real life and the sugges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at consider student's mental and physical stages of development. The 2nd Art Curriculum formulated a system in which Dewey's philosophical principles were reflected more synthetically. It suggested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along with 'art education affiliated with life' as an aim and emphasized the use of contents and methods that prompted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ntaneous educational activities.
The 1st Art Curriculum, if we choose not to focus on its imperfect system,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 departure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and laid the groundwork of the new education system and attempted to reflect Deweys educational-philosophical principles. The 2nd Art Curriculum, which included supplements and modifications to the 1st Art Curriculum, reflected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more systematically. Also, it focused on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more clearly by supplementing the 1st Curriculum, which had only focused on 'relation with life'.
Through this study, I could examine Deweys theoretical principles reflected in South Korea's Art Curriculum in its early stages. In brief, these were educational perspectives that intended to transform traditional art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learners present experience and condition and making art education relevant to their life. And these facts imply that art education planned in the early stages was art education that is always achieved in the learners life. Also,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draw up grounds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Deweys philosophy on the 7th Revised Art Curriculum, which is the current curriculum. I expect that henceforth this study can make valuable contribution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the Korean Art Curriculum.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902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8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