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의 차이와 가시화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Difference and Visiblization of International-Marriage Family Children
중소도시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은희

Advisor
조용환
Major
교육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인간은 누구나 차이의 존재이다. 우리는 누구나 크고 작은 차이를 경험하며 살아가며, 차이는 때로는 축복으로 때로는 갈등으로 체험된다. 최근 한국사회에 등장한 다문화라 불리는 일군의 사람들이 바로 이러한 차이의 존재이거니와 국제결혼가정의 아이들 역시 그 일부이다. 그동안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은 여타의 다른 다문화들과 구분되는 존재로서 지각되지 못했으며 이에 본 연구는 모계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에 한정하여 그들의 차이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계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이 어떠한 가정환경에서 양육되는지 아울러 초등학교에서 이들의 차이가 어떻게 지각되는지 이에 따라 가시화와 비가시화의 양상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또 이에 개입하는 가시화와 비가시화 실천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차이란 언제나 지각된 차이이거니와 특정한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가시화란 어떤 것이 차이로 지각되어 사회적으로 언급되고 환기됨으로써 가시적인 존재가 되는 것을 말하며, 반대로 비가시화란 몰차이의 존재로 지각되어 비가시적인 존재가 되는 것을 말한다. 이에 2008년부터 2009년에 걸쳐 경기도 X시의 두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국제결혼가정 아이들과 그들의 가정에 대한 참여관찰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학교를 어떠한 차이의 논리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지, 이로 인해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에게 학교는 어떠한 의미가 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한국 사회에서 모계 국제결혼가정은 대단히 독특한 지형에 처해 있었다. 이들의 결혼은 처음부터 매매혼과는 양상이 달랐거니와, 세계화적 변화에 기초한 노동 인구의 이동에서 비롯된 다양한 개인적 만남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사례의 다문화 가정들은 주로 서울 근처의 중소 도시에 생태적 기초를 두고 있었으며, 경제적으로는 중하류층으로, 사회적으로는 고립적 가구로 존재하고 있었다. 결혼 이주 여성들의 자의적, 타의적 한국화 속에서 이들 다문화 가정은 상당히는 한국화되어 있었는데, 국제결혼가정 아이들 역시 압도적인 한국화의 압력 속에서 성장하고 있었다.
학교에서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은 차이가 지각되는 방식에 따라 가시화와 비가시화의 긴장 하에 놓여 있었다. 학교는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을 자국민이라는 일반적 존재로서 동시에 다문화라는 특수한 존재로서 다루고 있었다. 이 때문에 학교라는 공간에 들어오면서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은 예기치 않은 가시화와 비가시화의 긴장과 길항 속에 놓이게 되는데, 먼저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이 학교의 일반적 구성원으로서 지각될 때 이들의 차이는 주로 학업과 생활에서의 적응도의 차이로 이해되고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이 다문화라는 특수한 존재로서 지각될 때, 이들의 차이는 주로 외모적 차이와 언어적 차이로 이해되고 있었다. 사례의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은 일반적 차원의 경우, 다른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가시화와 비가시화의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나 가정의 사회경제적 조건과 부모의 학업지원 이 불리한 아이들의 경우 열등적으로 가시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문화적 차원의 경우에도 가시화와 비가시화의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나, 어느 경우이건 다문화로서 지속적으로 가시화되는 경우는 발견하기 어려웠다.
가시화와 비가시화의 이면에는 한편으로 이를 추동하는 인간적, 제도적 실천이 개입하고 있었다. 먼저 인간적 실천의 경우,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은 침묵과 순응, 관망 등을 통해 스스로를 비가시화하고자 했으며 반대로 다른 아이들은 무시와 괴롭힘, 따돌림 등을 통해 이들을 가시화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다문화적 배경의 은폐와 다문화적 사실의 부정 등을 통해 다문화적으로 가시화되지 않도록 하고 있었으며 반대로 다른 아이들은 차이의 확인, 놀림과 모욕 등을 통해 이들을 다문화적으로 가시화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제도적 차원의 실천을 보면, 학교는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을 주되게는 일반적 존재로서만 다룸으로써 비가시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일부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을 부진과 부적응으로 가시화되고 있었는데, 이와 관련한 보완적 교육활동에서도 이들의 다문화적 차이는 간과되고 있었다. 또 학교는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을 다문화라는 범주로 호명함으로써 이들의 실존적 차이를 비가시화하는 동시에 이들을 예외와 소수자로서 가시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체로 학교교육 전반에서 압도적인 한국적 지향이 노정되고 있었거니와, 이처럼 한국적인 것이 강조되고 권유되는 가운데 국제결혼가정 아이들 대다수는 비가시화되고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학교내 가시화와 비가시화 양상, 가시화와 비가시화 실천의 이면에서 학교를 지배하는 차이의 논리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현재의 학교교육은 크게 차이를 세 가지 방식으로 이해하고 있었는데, 우열적 차이와 동일자적 차이, 그리고 범주적 차이이다. 먼저 학교는 우열적 차이에 기초하여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에게 적응을 요구하고 있었다. 학교는 평등이라는 명분 하에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에게 학업과 생활에서 일방적 적응을 요구했으며, 그 적응 정도에 따라 우열적 차이로 구분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의 다문화적 차이와 실존적 차이는 적절히 고려되고 있지 못했으며 바로 이 점에서 학교교육은 이들에게 하나의 차별이 되고 있었다. 차이가 차이로서 존중되지 못한다는 것은 오히려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이 국민으로서 누려야 할 평등을 누리지 못한다는 방증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학교는 동일자적 차이에 기초하여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에게 한국화를 강요하고 있었다. 현재의 학교는 주되게는 동화주의에 기초하여 형식적으로만 다문화주의를 표방하고 있었거니와 학교에서 용인되고 인정되는 것은 오로지 한국적인 것 뿐이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의 차이는 외모적 차이와 언어적 차이로 축소되고 있었으며 동시에 한국적인 것이 결핍된 예외와 소수자로서 가시화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이들의 다문화적 차이는 오해되거나 부정되고 있었거니와, 한국적인 것을 강조하는 보상교육의 대상으로 포섭되고 있었다. 이러한 동화적 압력은 이미 상당히 한국화된 이 아이들에게 불필요하고도 소모적이었으며, 이 점에서 학교교육은 이들에게 하나의 시혜적 억압이 되고 있었다.
더해서 학교는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을 다문화라는 범주적 차이로 구분하고 있었다. 다문화라는 범주적 호명 속에서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은 각자의 실존적 차이와 상관없이 예외와 소수자로서 지각되고 있었다. 다문화라는 사실이 사회적 금기로 다루어지는 상황 하에서,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에게 강요되는 이러한 다문화적 가시화는 그 자체로 하나의 소외적 체험이 된다. 즉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은 관습적으로 다문화적 비가시화를 권고하는 일상적 현실과 다문화적 가시화를 강요하는 학교적 현실 사이에서 자기 부정을 경험하게 된다.
요컨대 학교는 이상과 같은 차이의 가정에 기초하여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을 보이지 않는 존재로 비가시화하고자 하였으나,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비가시화의 시도 속에서 국제결혼 가정 아이들은 또 다른 보이는 존재가 되어 가시화되고 있었다. 즉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은 보통의 한국인으로서 비가시화 되기 위해 자신들의 다문화적 차이와 실존적 차이를 댓가로 치르고 있었거니와, 이로 인해 그들 중 일부는 열등과 예외로서 가시화되는 것을 피하기 어려웠다. 이처럼 학교는 국제결혼가정 아이들의 차이를 거세하려는 지점에서 매번 또 다른 차이를 직면하고 있었다.
We all are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We live through with our own differences and meet those of another's, which sometimes may be a bless or other times a misfortune. Recently, there have come to appear the people whom called 'Damunhwa' that means 'multicultural' in Korea. In Korea, usually, many kinds of people such as guest-workers, North Korean refugees,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siblings are all included into the category of 'Damunhwa'. One of this many Damunhwa is the children of 'Damunhwa-Family' based of international marriage. However, while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marriage family have not yet recognized as a differential group which have their own differences, so that they were dealt with as the same people called 'Damunhwa' and researched altogether by means of the category of 'Damunhwa'. For this backgrounds, I made a participant-observation in two elementary schools of X-city around Seoul, met 13 children and interviewed some of their parents and teachers for 10 months. The cases of international-marriage included this study were all maternal international-marriage, only except one case.
In the study, first, I aimed to reveal in what situations and by what way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marriage were raised in their family, and what attitude their parents had on their multicultural backgrounds. Also, I tried to show how the difference of the children were perceived and recognized in school, how the 'visiblization' and 'invisiblization' were varied by the change of recognization on difference, and what individual, institutional practices were found through those processs. In my opinion, difference is not a something fixed, but a flexible one which is varied depending on the context which the difference is located or the subject who perceive the difference. In other words, difference perceived as a difference may be changed by whom or under what situations it is perceived. Based on this fact, I suggest a new concept 'visiblization' and invisibilization. Visibilization means a phenomenon something was considered as a difference, which invoked and mentioned continuously among the people. On the contrary, 'invisiblization' means a phenomenon something was not regarded as a difference, which ignored and unnoticed among the people. From this point of view, I tried to expose the logic of schooling especially on difference,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schooling to the children.

The families of maternal international-marriage of this study was under the very unique circumstances. Compared to so called 'purchasing marriage' by the commercial broker found in the countryside of Korea, their marriages were originated from the casual encounter and romantic love accompanied by the global social, economic change and population mobility. Furthermore, they had their residence on the X-city as an isolated household, holding economically middle or lower class. The women of these family were assimilated with the Korean culture, so did their children either.
In school, the children of marternal international-marriage were under the tension between 'visivlization' and 'invisiblization', depending on the perception of diversity on the difference. They were treated with as 'common students' in a way, meanwhile as 'special stuudents', that is 'damunhwa' in other way. When they were perceived as a common one, their 'visiblization' were decided by the degree of adaptability in 'school achievements' and 'life-adjustments'. On the other hand, when they were perceived as a 'damunhwa', their visibilization were decided by the similarity in 'appearance' and 'Korean'. As a common students, the 'visiblization' of children in this study were varied depending on the social, economic conditions of the family, academic help of their parents. In comparison, as a 'damunhwa', they were invisiblized generally without receiving any attention on their multicultural aspect from others. However, though under some conditions, their multicultural background attracted attention of people, not successively but only temporally.
I also have found that there are human, institutional practices which promotes 'visibilization' and 'invisiblization' of the children. Above all, for human practices, meanwhile the children tried to invisiblize themselves by 'silence' and 'conformity' etc, the other children intended to visiblize them by 'ignoring', 'teasing' and 'bullying'. At the same time, the children aimed to be invisibilized by denying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facts and identity, while, contrastively the other children made them visible by 'dredging up', 'ridiculing', 'insulting' some facts of them related with their multicultural background. Next, for institutional practices, they were forced to be invisiblized by the school's general tendency to deal with them as a 'common students'. Despite of the orientation of school's, some of them were visibilized as 'underachievement' or 'maladaptation' without any proper support for their 'multicultural difference' and 'existential difference'. Furthermore, they were distinguished and called as 'damunhwa' for grouping category in the activity provided for them, so that they were seemed to be difficult to avoid visiblized as an 'exception' and 'minority'. While, however, the visibilizing practices of them as 'damunhwa' was somewhat rare phenomena to be found in school, on the contrary to this, the invisiblizing practices of them as common students were more dominant tendency to be seen. In short, they were supposed, recommended to be invisiblized under the overwhelming assimilatory pressure and atmosphere of the school.
Finally, on the basis of discussion above, I interpreted the meaning and logic of difference assumed in activities and practices of the school. I would like to suggest three kinds of perspectives on differences which may be the prerequisite for the schooling. Most of all, it is 'difference of superiority'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schooling. As referred to earlier, in school,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marriage family were demanded for adaptation in 'school achievements' and 'life-adjustments', and recognized as only the difference of degree in their adjustment, though the multicultural difference and 'existential difference' of them were not considered at all in the process. In other words, the any difference of 'damunhwa' were not regarded as difference itself, therefore, which means schooling may be a 'discrimination' to them.
Also, it is 'difference of oneness' that dominate the atmosphere of the school.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marriage family were enforced to assimilate 'the Korean', and understood as objects for 'multicultural-program' which its aim is at compensation for deficiency of 'the Korean'. Not only this, of course, made them more or less visible as 'exception' and 'minority', but also, at the same time, ignored any 'multiculcultural difference' of them. In sum, under excessive assimilatory pressure, they could not help but being the beneficiaries of 'oppressive dispensations', which is sometimes needless and other times inappropriate as well.
In addition, it is 'difference of category' that conditions activities of the multicultural program of the school. The categorical interpellation of 'damunhwa' made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marriage family somewhat visible, so that they were identified with various social prejudices which has hardly any relation with their individual, existential situations in some cases. The children had no choice but to experience a kind of split between 'visiblization' compelled in public and 'invisiblization' recommended in private, which would have meant an experience of 'alienation' to them.
To conclude, under these three assumptions on difference of the school,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marriage family were successfully invisiblized, which, however, always lead to another kind of 'visiblization'. They should lose or give up their existential, multicultural differences to be a 'common Korean', by which inevitably made some of them visible as an 'inferior' or an 'excep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219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2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