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교의 친인권적 교실문화가 집단따돌림 주변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Culture in Elementary Schools on Bystander Behaviors in Bullying Situa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여정

Advisor
이미나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교실문화친인권적 교실문화집단따돌림집단따돌림 주변인행동동조행동사회적 영향 이론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2019. 8. 이미나.
Abstract
Abstract

The Influence of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Culture in Elementary Schools on Bystander Behaviors in Bullying Situations

Lim, Yeo-Jung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Major Advisor: Mina Lee

Every teenager has the right to be educated safely and happily in schools without oppression and exploitation.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respect the rights of others and participate actively in creating a community that learns harmony and order. Schools are the safest places for students and also places to learn to live with others. It is regrettable that such a spaces are transformed into a spaces that infringes human rights. Therefore, bullying within schools is a problem which needs to be solved as soon as possible, and the best way to do this is to prevent it in the first place.
So far, various policies and programs have been introduced in schools to overcome bullying. However, most policies and programs were focused on the bullies and the victims of bullying as a follow-up measures. Since then, there has been a movement to pay attention not only to the bullies or victims but also the bullying bystanders, but it still shows the limitation of focusing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 tried to diagnose bullying bystanders behavior in group context rather than individual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culture on bystanders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decision-making methods in classes are sub-elements of a measurement index of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culture. Bullying bystander behaviors were divided into defending behavior, outsiders behavior, and conformity behavior.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derived.

The level of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culture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defending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defending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defending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Classroom decision-making methods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defending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The level of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culture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outsider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outsider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outsider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Classroom decision-making methods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outsider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The level of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culture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conformity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conformity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conformity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Classroom decision-making methods perceived by students will affect conformity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To verify the hypotheses above, I analyz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of 329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middle of May to the end of May 2019.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culture had an significant effects on bystander behaviors in bullying situation. However, the sub–factors of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culture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ystander behaviors were partially differ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factors should be focused on to promote or inhibit each behavior.
Second, defending behaviors and outsider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decision-making methods in the classroom. In particular, the peer relationship has a great influenc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fending behavior and the outsider behavior.
Third,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conformity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decision-making methods in the cla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s suggests that conformity behavior is greatly affected by relationships with others, such as teachers and friends.
Therefore, hypotheses <1-1>, hypothesis <2-1>, hypothesis <3-3> were rejected and Hypotheses <1-2>, <1-3>, <2-2>, <2-3> <3-1>, <3-2> were adopt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First, in order to prevent bullying, this study has access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ather than the personal approach that has been discussed in many studies. In particular, it was discussed at the class level, which is the minimum unit in which bullying occurs.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have limitations that are difficult to change or take a long period of time. So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culture of the classroom where the bullying occurs can be used as an environment to prevent bullying.
Second, it provides specific guidance on how classroom culture should be formed, in addition to general classroom climate and classroom atmosphere. If we look at ways to create a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culture, teachers should respect and not discriminate students personally. We should also create a culture of mutual respect among students. Finally, the class representatives or decision makers should be democratic. Thus, the everyday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culture that students experience can provide the right guidance to act as bystanders when bullying occurs.
Third, we suggest appropriate approach in the school to overcome bullying. In the meantime, the school has attempted to approach cognitive dimension or personal dimension such as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o prevent bullying.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bystanders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 is not solely dependent on lack of knowledge or personal emotional defici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formation of human-rights-friendly classroom culture as one way to overcome bullying at the school level.
모든 청소년은 억압과 착취가 없는 학교에서 안전하고 행복하게 교육받을 권리가 있다. 그와 동시에 청소년은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며 화합과 질서를 배울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드는 데 주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학교는 학생들이 가장 안전해야할 공간이자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배우는 학습의 장이다. 그러한 공간이 인권을 침해하는 공간으로 변질되어 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따라서 학교에서 발생하는 집단따돌림은 조속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며, 이를 위한 가장 최선의 방법은 집단따돌림을 예방하는 일일 것이다.
지금까지 집단따돌림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이 학교에 도입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책과 프로그램이 사후적 대책으로서, 가해자와 피해자 개인에게 초점이 맞춰져있었다. 이후 점차 가해자ᐧ피해자뿐 아니라 집단따돌림 주변인에 주목하는 움직임이 나타났지만, 여전히 집단따돌림 주변인의 개인적 특성에 초점을 둔 한계를 지닌다. 이에 개인의 특성이 아닌 집단적 맥락에서 집단따돌림 주변인 행동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친인권적 교실문화가 집단따돌림 주변인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친인권적 교실문화의 측정지표로서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 학생과 학생간의 관계, 학급에서의 의사결정을 하위요소로 구성하였다. 집단따돌림 주변인 행동은 방어행동, 방관행동, 동조행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가설을 도출하였다.

■ 주가설1. 학생이 지각한 친인권적 교실문화 정도는 집단따돌림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하위가설1-1. 학생이 지각한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는 집단따돌림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하위가설1-2. 학생이 지각한 학생과 학생간의 관계는 집단따돌림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하위가설1-3. 학생이 지각한 학급에서의 의사결정 방법은 집단따돌림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주가설2. 학생이 지각한 친인권적 교실문화 정도는 집단따돌림 방관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하위가설2-1. 학생이 지각한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는 집단따돌림 방관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하위가설2-2. 학생이 지각한 학생과 학생간의 관계는 집단따돌림 방관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하위가설2-3. 학생이 지각한 학급에서의 의사결정 방법은 집단따돌림 방관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주가설3. 학생이 지각한 친인권적 교실문화 정도는 집단따돌림 동조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하위가설3-1. 학생이 지각한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는 집단따돌림 동조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하위가설3-2. 학생이 지각한 학생과 학생간의 관계는 집단따돌림 동조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하위가설3-3. 학생이 지각한 학급에서의 의사결정 방법은 집단따돌림 동조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위의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생 329명의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다. 설문을 2019년 5월 중순부터 5월 말까지 진행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설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지각한 친인권적 교실문화는 집단따돌림 주변인 행동에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집단따돌림 주변인 행동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친인권적 교실문화의 하위요인들이 부분적으로 상이했다.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행동을 촉진 혹은 억제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방어행동과 방관행동은 공통적으로 학생과 학생간의 관계와 학급에서의 의사결정 방법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다. 특히 학생과 학생간의 관계의 영향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는 방어행동과 방관행동의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셋째, 동조행동을 줄이는 데는 학생과 학생간의 관계,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반면 다른 주변인 행동과 달리, 학급에서의 의사결정 방법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집단따돌림 동조행동은 교사나 친구와 같은 타인들과의 관계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설<1-1>, 가설<2-1>, 가설<3-3>은 기각되었으며, 가설<1-2>, <1-3>, <2-2>, <2-3>, <3-1>, <3-2>는 채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사회과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을 예방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연구에서 다루어왔던 개인적 차원에서의 접근이 아닌 주변 환경적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특히 집단따돌림이 발생하는 최소 단위인 학급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개인적인 특성은 변화시키기 어렵거나 오랜 기간이 걸린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집단따돌림이 발생하는 교실의 문화를 집단따돌림을 예방하기 위한 환경으로 조성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일반적인 학급풍토나 학급분위기에서 나아가 교실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주고 있다. 친인권적 교실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면, 교사가 학생을 인격적으로 존중하고 차별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학생간에 서로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급의 대표나 의사결정을 민주적으로 해야 한다. 이처럼 학생들이 경험하는 일상적인 친인권적 교실문화는 집단따돌림이 발생했을 때 주변인으로서 행동해야 할 올바른 지침을 줄 수 있다.
셋째, 집단따돌림을 극복하기 위한 학교 차원의 적절한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그동안 학교는 집단따돌림 대책 마련으로 학교폭력 예방 교육과 같은 인지적 차원의 접근이나 개인적 차원의 접근을 시도해왔다. 하지만 집단따돌림 주변인 행동은 지식의 부족 혹은 개인의 정서적 결함으로 인해서만 좌우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학교 차원에서 집단따돌림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하나로서 인권친화적인 교실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328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67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