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보육료지원 정책 확대의 여성 고용효과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지완

Advisor
구인회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보육료지원보육정책이중차이분석여성 노동공급여성고용정책효과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2019. 8. 구인회.
Abstract
본 연구는 2012-2013년 전계층으로 확대된 정부의 보육료 지원이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정책의 효과가 여성의 사회경제적 특성, 즉 가구의 소득과 여성의 학력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보육료 지원 확대가 영유아 가구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정책의 인과적 효과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이중차이 분석법 (Difference in Difference)을 활용하였다. 정책 확대 이전 시기는 2010-2011년, 이후 시기는 2013-2015년으로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모형은 총 네 가지로 기본모형, 영·유아 모형, 소득모형, 학력모형으로 나뉘며 분석 대상은 분석 모형에 따라 상이하다. 연구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13, 14, 16, 17, 18차 자료를 사용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모형의 분석 결과, 2012-2013년에 이루어진 보육료 지원의 확대는 영유아 모의 노동시장 참여 확률과 노동시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에서 보육료 지원의 전계층 확대가 여성 노동공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밝힌 선행연구들과 일치한다(이승재, 2016; 윤미례·김태일, 2017; 김현숙 2018).
둘째, 영·유아 모형 분석 결과, 영아 모의 노동시장 참여 확률이 유아 모의 노동시장 참여 확률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보육료 지원으로 인한 보육비용 부담 감소 효과가 영아 모 집단에서 더 컸다는 결과(이영욱, 2015) 및 영아 집단에서 보육시설 이용율 변화가 더 컸다는 결과(김현숙, 2018)를 반영한다.
셋째, 소득모형 분석 결과, 보육료 지원 확대로 인한 정책 효과가 고소득 집단보다 중·저소득 집단에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계층은 보육비용에 대한 여성의 노동공급 탄력성이 높은데(Anderson & Levine, 1999; Kimmel, 1995), 보육료 지원 정책은 이러한 보육비용 부담을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시켜 이들의 노동시장 참여를 증가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학력모형 분석 결과, 보육료 지원 확대로 인한 정책효과가 저학력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보육시설의 질에 대한 관심과 기대치가 크기 때문에 여성 자신의 시간의 기회비용이 높아 노동공급이 감소하게 되며(윤자영, 2010), 직접 돌봄이 보육시설 이용으로 대체되기 어렵다(이영욱, 2015)는 선행연구 결과를 반영한다. 이는 고학력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정책의 효과를 보였다고 밝힌 해외의 연구(Lefebvre & Merrigan, 2008)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우선 본 연구는 보육료 지원 정책이 양육부담으로 인해 노동시장에 참여하기 어려운 모의 노동공급을 증가시키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편적 보육의 확대가 2차 소득자, 즉 여성의 노동공급을 증가시키며(Baker et al, 2008), 영유아 돌봄의 부담을 점차 탈가족화(de-familization)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보육료 지원 정책의 모의 노동공급 효과가 모의 특성별로 상이함을 밝혔다. 분석결과 정책 효과는 여성이 저학력, 저소득일수록 더욱 크게 나타났다. 즉 보육료 지원은 양육에 대한 시간적·금전적 부담을 크게 느끼는 저소득 및 저학력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보육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보육료 지원은 고학력·고소득 집단의 노동공급을 유의미하게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childcare subsidy which expanded to all classes on the labor supply of mothers in 2012-2013. Furthermore, it intends to examine if the policy affects differently according to women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al level.
Considering that the expansion of childcare subsidy only affects the household with a child under 5 years old, the analysis employs the methodology of Difference in Difference that identifies the causal effect of policies. It compares the before and after the policy change, 2010-2011 and 2013-2015 respectively. The analysis model includes basic model, young and younger child model, income level model and educational level model. For analysis, the 13-18 waves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excluding the wave of 15 were utilize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basic model, the childcare subsidy expansion in 2012-2013 significantly increased both the propensity of wome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their working hours. It is in line with previous research which confirms that the childcare subsidy universaliz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others labor supply (Lee, 2016; Yoon & Kim, 2017; Kim, 2018).
Second, as a result of a young and younger child model, mothers of a younger child under 2 years-old has a higher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than a young child aged 3-5. It reflects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that the childcare subsidy alleviates the childcare cost more considerably for a younger child (Lee, 2015) and increases the enrollment of childcare institutes on a larger scale for a younger child (Kim, 2018).
Third, as a result of the income level model, the greater policy effect has been found among mid and low-income level mothers than among the high-income level group. As the elasticity of childcare cost is higher for mothers with lower income (Anderson & Levine, 1999; Kimmel, 1995), the childcare subsidy decreases the burden of childcare costs more greatly than for mothers with high income and leads them to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Fourth, as a result of educational level model, the size of the labor supply effect is larger for mothers with low educational level. Highly educated women are more likely to have elevated expectations for the quality of childcare institution and thus they bear increased opportunity cost for paid work (Yoon, 2010). And their child-rearing is more difficult to be replaced by a childcare institution (Lee, 2015).
The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childcare subsidy has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the labor supply of mothers with a young child. It implies that the expansion of universal childcare contributes to the de-familiarization of childcare in Korea by enabling women to reconcile the paid work and childminding.
Besides, this study identifies that the effect of childcare subsidy expansion differs depending on mothers socio-economic features. The labor supply effect was higher among women in low socio-economic status. The childcare subsidy lowers the childcare burden of low income and educational level mothers. By contrast, it has a limited impact of increasing the labor supply of mothers in high socio-economic statu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42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14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