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도르노의 반유대주의론 : On Adornos Theory of Antisemitism: Centered on Reception of Psychoanalysis
정신분석학 수용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혜경-
dc.contributor.author이동휘-
dc.date.accessioned2019-10-18T18:02:46Z-
dc.date.available2019-10-18T18:02:46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808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6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085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미학과,2019. 8. 신혜경.-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의 목적은 아도르노 반유대주의론의 구조를 고찰함으로써 그것이 아도르노 사상 내에서 갖는 위상 및 현재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유대주의란 유대인 혐오라는 사회적 현상을 가리키되, 아도르노에게서는 특히 전통적인 반유대교주의와 구분되며 합리적으로 설명될 수 없는 인종적 혐오를 일컫는다. 아도르노의 반유대주의론은 혐오 자체의 이러한 비합리적 성격에 천착하는데, 이 논문은 이러한 그의 반유대주의론이 사회이론으로서 갖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 아도르노가 남긴 일련의 단편적 저술들이 혐오에 대한 설득력 있는 이론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재구성한다.
반유대주의 혹은 유대인 혐오는 사회현상이면서도 개인의 감정이다. 이에 따라 반유대주의에 대한 이론은 반드시 사회와 개인의 관계라는 사회이론의 중심 문제를 마주하게 되는데, 소위 정신분석학적 사회심리학은 이 문제에 대해 아도르노가 제시하는 답변에 해당한다. 그에 따르면, 사회는 복수의 개인들로부터 사회적인 것을 산출하는 사회화의 기능으로써 특징지어진다. 이때 사회화의 계기는 개인을 매개로 해서만 관철된다. 아도르노는 일련의 저작과 강의들을 통해서 이처럼 사회가 개인을 자신 아래 포섭하면서도, 개인을 통해서만 개념화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이처럼 사회는 개인을 지배하면서도 그것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사회와 개인은 변증법적 관계를 맺는다. 더욱 중요한 것은 개인과 사회의 이러한 관계에 따라 사회이론이 그 이론적 프레임으로 정신분석학을 요청한다는 점이다. 아도르노에 따르면 사회이론은 개인이 겪는(leiden) 것 혹은 고통(Leiden)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에 대한 지식을 산출한다. 이러한 관점에 부합하는 사회이론의 방법론이 바로 정신분석학적 사회심리학이다. 그가 반유대주의론에서 정신분석학을 도입하는 것은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 위에 놓여 있다.
한편 연구사적 맥락에서 볼 때, 아도르노가 이처럼 정신분석학과 사회이론 사이의 경계를 재고하는 것은 기존의 반유대주의론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의 결과이기도 하다. 호르크하이머, 노이만 등은 반유대주의에 대한 경제학적, 정치학적 메커니즘을 집중 규명한다. 이러한 이론들에 따르면, 반유대주의는 민족사회주의와 경제위기에서 비롯하는 현상으로 간주되거나(호르크하이머), 국내외 현안에 대한 비유대인 대중의 주의를 분산시키고 그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유대인에게 가해지는 사회경제적 제재들과 동일시된다(노이만). 이러한 합리주의적 분석들의 기저에는, 현대 전체주의적 반유대주의는 주술의 영역이기에 합리적인 논의와 분석이 불가능하다는 전제가 놓여있다. 이 전제에 근거한다면, 반유대주의는 합리성 너머의 현상 혹은 계몽의 한계―아도르노 반유대주의 텍스트에 붙은 부제와 같이―로 이해되며 합리적 사유로써 다루어질 수 없다고 여겨진다.
반면 아도르노 반유대주의론은 인간 의식의 경계 너머를 탐구하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힘을 빌려 이 한계를 넘어간다. 그는 반유대주의를 정신분석학적 의미의 증상으로 규정하며 자신의 논의를 시작한다. 반유대주의를 특징짓는 결정적인 층위는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사회경제적 조건보다도 반유대주의가 개별 혐오자가 겪는 것 혹은 고통이라는 사실이다. 필자가 분석하기에, 여러 주관적 고통 중에서도 반유대주의의 무의식적 구조에서 핵심적인 것은 혐오와 불안이다. 『계몽의 변증법』에서 아도르노는 프로이트의 불안 이론에 근거하여 두 정서의 관계를 압축적으로 제시한다. 아도르노의 단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이 글은 프로이트 불안 개념에 의지한다. 이를 통해 불안의 철학적 함의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반유대주의의 토대 혹은 원역사에 대한 아도르노의 성찰을 재구성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정신분석학적 설명이 비합리적인 혐오가 불안에서 비롯한다는 점은 밝혀주지만, 혐오가 왜 특정 민족 집단에게로 수렴되는지는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혐오에 대한 주관적-심리적 고찰은 혐오의 역사적 혹은 문화적 분석으로써 보완되어야 한다. 싫음의 정서는 개인의 심리적 병력에 의해서 빚어지는 개인적 감정일 뿐만 아니라, 사회정치적 힘의 영향을 반영하는 역사적 산물이기도 하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이 글은 혐오를 배양하는 문화적 분위기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여전히 정신분석학적 고찰을 참조하는―을 고찰한다. 그에 따르면 반유대주의 문화, 특히 소위 문화산업과 프로파간다는 주체가 지닌 불안의 무의식적 메커니즘에 작용하고, 이로써 통일된 혐오 반응을 형성하며 대중의 이데올로기적 통합을 유도한다.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이 글은 반유대주의 문화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이 원역사적-심리학적 및 역사적-문화적 접근을 통해서 비합리적 혐오 현상에 대한 포괄적 설명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아도르노는 반유대주의의 원역사적-역사적 그물망을 제시함으로써 그것의 총체를 해명하고자 한다. 이 글은 그의 반유대주의론이 반유대주의의 비합리성을 분석하지 않는 기존의 이론들의 한계를 정신분석학으로써 극복하면서도, 문화비판을 통해서 심리학주의 혹은 주관주의에 빠지는 것을 피한다는 점을 보인다. 그러므로 아도르노는 사회 내 타자 혐오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이 글은 아도르노의 반유대주의론을 개인의 주관적 고통에 천착함으로써 객관적 진리에 이르고자 하는 사회학적 혹은 미학적 방법론의 범례로 확립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aims first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Adornos theory of antisemitism, and second to evaluate its theoretical implication within Adornos thought and its actuality. Generally speaking, antisemitism refers to the social phenomenon of Jew-hatred(Judenhass). Whereas it is conventionally understood as detestation of Jewish religion or anti-judaism, as Adorno sees it is irrational repulsion towards certain race. Not confining itself to Jews, adornian theory of antisemitism pays keen attention to the irrationality of hatred in general. With focus on this turn of Adornos from traditional understanding, this thesis reconstructs his fragmentary pieces so that they can be understood as legitimate theory on hate which demonstrates his view on the nature of social theory as well.
According to Adorno, antisemitism or Jew-hatred is not only social phenomenon but also personal feeling. Correspondingly, theory of antisemitism necessarily involves the essential question of social theory, that is, the relation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 The methodology that Adorno suggest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is called psychoanalytic social psychology. According to him, society is characterized by socializing function that generates the social from a multitude of individuals. The moment of socializ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mediation of individuality. Throughout series of essays and lectures, Adorno argues that society subsumes individuals in a coercive manner only through which it can be defined. In this repect, the relation that a society holds to an individual is dialectical, in a sense that the former depends upon the latter which it dominates. Moreover, such dialectical relation calls for the incorporation of psychoanalysis as theoretical frame of social theory. Adorno says that social theory yields knowledge of society through analysis of suffering[Leiden], that is to say something that every person goes through[leiden] individually. He calls the sociological methodology for such analysis psychoanalytic social psychology. Adornos reception of psychoanalysis regarding antisemitism lies on such discursive background.
Adornos interest on psychoanalysis also derives from critical evaluation of pre-existing theories on antisemitism. Adornos precedents as Horkheimer and Neumann focus on the economic, political aspect of antisemitism. They regard Jew-hatred to base itself mainly on the ground of National Socialism and economic slump(Horkheimer) or to be identical with socioeconomic sanctions, such as confiscation of jewish assets, which seeks to divert the interest of non-Jewish public from domestic or international issues and acquire political support from them. At the bottom of these rationalistic analyses is the premise that it is impossible to discuss modern totalitarian antisemitism with rational thought. From such premise, one might regard antisemitism as a phenomenon beyond rationality, or Limit of Enlightenment as the subtitle of Adornos central essay on antisemitism goes, and therefore as not deserving further analysis of its own.
In contrast, Adorno attempts to pass the Limit with the help of Freuds psychoanalysis, which comprehensively explores human mind beyond human consciousness. Adorno begins by determining antisemitism as a symptom in the psychoanalytic sense. The decisive element that characterizes antisemitism is the fact that individual antisemite suffers it, rather than political or economic condition, which simply befall from without. Among various kinds of subjective sufferings, hatred and anxiety(Angst) are at the very heart of unconscious structure of antisemitism. In Dialectic of Enlightenment, Adorno thematizes the relation of hatred and anxiety only in a brief manner.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Adornos fragmentary comments, this thesis will resort to Freuds theory of anxiety. In doing so, we will be able to explore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freudian anxiety and ultimately reconfigure Adornos reflection on the foundation or prehistory[Urgeschichte] of antisemitism, which underlies the traditional politico-economic approaches.
However, while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antisemitism maintains that irrational hatred originates from anxiety, it does not explain why such hatred should have been canalized to a particular racial group. Thus, subjective, psychological approach on antisemitism should necessarily be supplemented by historical or cultural analysis of hatred. The affect of hate not only belongs to individual sentiment based on ones mental history. It is also a historical product, which reflects dynamic influence from social or political power. In this regard, this thesis reexamines Adornos criticism on cultural atmosphere in which hatred breeds, which still resorts to psychoanalytic investigation on antisemitic affect. Here, it is noteworthy that according to Adorno, antisemitic culture, expecially propaganda and what he calls culture industry, act on unconscious mechanism of subjects anxiety and as a consequence instigate unified hate response and the ideological standardization of the mass. On the basis of this examination, this thesis maintains that Adornos criticism on hatred-breeding culture provides comprehensive explanation for the phenomenon of irrational hatred with both prehistorico-psychological and historico-cultural approaches.
As such, this thesis takes a detailed analysis on prehistorical-historical entanglement, with which Adornos theory tries to elucidate antisemitism as a whole. I hereby demonstrate that Adorno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precedent theories, which did not inquire into the irrationality of antisemitism and succeeds in not falling for subjectivism or psychologism by means of cultural criticism. Adornian theory of antisemitism thus suggests a model for better understanding social hatred towards others in society. Moreover, it invites us to think of it as an exemplar, which justifies Adornos sociological and aesthetic methodology, which, no less than the theory of antisemitism, scrutinizes individuals subjective sufferings, with the aim of reaching an objective truth.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론 1


Ⅰ. 아도르노 반유대주의론의 배경 12
1.
아도르노의 정신분석학 수용의 배경 12
1) 내적 자연의 지배와 문명공동체의 병리학 12
2)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수용: 정신분석학적 사회심리학 21
2. 반유대주의의 비(非)심리학적 설명과 한계 30
1) 반유대주의에 대한 비심리학적 설명들 31
2) 비심리학적 설명의 한계와 정신분석학의 도입 35


Ⅱ. 혐오의 심리 구조: 반유대주의의 증상과 불안 40
1. 불안의 개념과 구조 41
1) 키르케고르와 하이데거의 불안 개념 41
2) 프로이트의 불안 개념과 구조 46
2. 반유대주의 증상과 거세불안 54
1) 반유대주의라는 증상의 내용 및 불안과의 관계 55
2) 불안에 대한 사회이론적 이해 63
3) 미메시스 충동 및 그에 대한 금기 66

Ⅲ. 불안과 증상의 문화적 동인으로서 반유대주의 74
1. 대중의 정신적 통합과 반유대주의 문화 74
1) 개인의 정신적 통합과 대중의 탄생 74
2) 정신적 통합의 촉매로서 반유대주의 문화 77
2. 아도르노의 반유대주의 문화 비판 83
1) 문화산업: 욕동 충족의 끝없는 지연 84
2) 반유대주의 프로파간다: 공포와 증상의 촉발 94


결론 102


참고문헌 112

Abstract 118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도르노-
dc.subject프로이트-
dc.subject반유대주의-
dc.subject정신분석학-
dc.subject혐오-
dc.subject불안-
dc.subject문화-
dc.subject.ddc111.85-
dc.title아도르노의 반유대주의론-
dc.title.alternativeOn Adornos Theory of Antisemitism: Centered on Reception of Psychoanalysi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Donghwi-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9-08-
dc.title.subtitle정신분석학 수용을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현대독일미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808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808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