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정책효과 평가
이용자 및 부양가족의 삶의 질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고길곤-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date.accessioned2019-10-18T19:04:56Z-
dc.date.available2019-10-18T19:04:56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833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7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33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대학원 정책학과,2019. 8. 고길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정책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해당 제도의 최종 목표인 이용자 노인과 부양가족의 삶의 질 향상 여부를 연구 가설로 설정하 였다 . 가설 검정을 위해 한국복지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2017 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이용한 가구원이 있는 가구의 구성원들을 실험집단으로 , 비수급가구의 가구원들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이들의 삶에 대 한 전반적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균차이분석 (t test) 으로 확인하였다 . 이때 선택편의(selection 를 줄이기 위해 성향점수매칭 (Propensity score matching) 및 역확률 가중치분석법을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성향점수매칭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한 경우 전반적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 역확률 가중치 분석을 실시한 경우 실험집 단의 전반적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게 된 원인을 찾고 아울러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평가를 진행하고자 프로그램 논리모형을 분석틀로 하여 노인장기 요양보험제도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보고 투입과 산출 , 활동과 결과로 나누어 각각의 단계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7 년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 가구의 가구원들의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가 비수급 가구의 만족도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해석을 제시하였다 . 첫 번째는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되었듯 노인장기요양 보험 이용자 노인의 입장에서는 돌봄 체계가 사회화되기 이전 , 가족 수발자에 의해 보호를 받았을 때가 더 삶의 만족도나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았을 수 있다는 해석이다 . 두 번째 해석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자체가 갖는 여러 문제점들로 인해 기대했던 제도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다 . 즉 이용자 노인 및 부양가족이 기대하는 수준의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1. 연구의 대상과 범위 3
2. 연구의 방법 3

제 2 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5
제 1 절 이론적 논의 5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5
2. 정책 평가 16
3. 삶의 질(만족도) 17
4. 프로그램 논리모형 17
제 2 절 선행연구 검토 21

제 3 장 연구 설계 26
제 1 절 연구 방법 26
1.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26
2. 가설 검정 방법 28
3. 프로그램 논리모형 35

제 4 장 분석 결과 46
제 1 절 성향점수매칭(PSM) 분석 결과 46
제 2 절 역확률가중치 분석법 분석 결과 48

제 5 장 프로그램 논리모형 평가 결과 52
제 1 절 사회적 니즈와 프로그램의 관계 평가 52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당시의 사회적 니즈 52
2. 사회적 니즈와 정책목표와의 관계 54
제 2 절 투입 단계 54
1. 인적 자원 54
2. 물적 자원 64
3. 재정 자원 71
제 3 절 활동 및 산출 단계 72
1. 지역별(시도별) 장기요양등급 인정자 수 및 인정률 72
2. 소득별 장기요양등급 인정자 수 및 인정률 73
3. 지역별(시도별) 등급외 비율 75
제 4 절 결과 단계 76
1. 단기적 결과 77
2. 중기적 결과 81

제 6 장 논의 및 결론 83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83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88

참고문헌 91

부록: 다중회귀분석 결과표 99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노인장기요양보험-
dc.subject삶의 질-
dc.subject전반적 만족도-
dc.subject가족관계 만족도-
dc.subject프로그램논리모형-
dc.subject.ddc350.0001-
dc.title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정책효과 평가-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정책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9-08-
dc.title.subtitle이용자 및 부양가족의 삶의 질을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833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833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