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 한국 민속축제의 전승 주체에 관한 민속지적 연구 :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Transmission Agents of Folk Festival in Modern Korea: on Gangneung Danoje
강릉 단오제 사례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진곤

Advisor
강정원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전승 주체상호작용민속축제지역사회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2019. 8. 강정원.
Abstract
Gangneung Danoje is a typical folk festival in Korea which is usually depicted to have originated one thousand years ago. After being admitted as Koreas important intangible asset in 1967, this festival was designated as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in 2005. These events, especially the recent one, have altered the way local people organize the traditional local rituals and the way they spend the traditional holiday. It is the transmission agents who have been playing a key role in making specific changes.

Many groups, including governments and NGOs, cooperate to host the festival every year. Among them, the Organization Committee (Wiwonhoe) and the Preservation Society (Bojonhoe) are the major agents in charge of the transmission of the folk festival. The former plans and organizes the whole urban festival; while the latter focuses on the passing and preservation of the essential part— the traditional rites. However, only the two groups cannot host such a big urban festival which actually consists of hundreds of programs. Therefore, many local NGOs, some of whom are sponsored by the local government, participate in hosting Gangneung Danoje. In addition to the indirect particip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ome local companies also sponsor the festival. Because after being designated as an intangible heritage, Gangneung Danoje has been received as a symbol of the city. Participating in Danoje not only helps local companies to maintain good relationships with local people, but also serves an opportunity for the local government to build strong emotional ties with local people. In order to maintain its significance, people in the Organization Committee and the Preservation Society have been protecting some essential parts of the festival, including how and when to host the traditional rites. As a result, the Danoje is preserved as a local tradition which is actually difficult to keep itself from changes otherwise.

Although the hosts of Danoje declare the festival is run by the local people, the central government of South Korea and the municipal government of Gangneung are making contributions to preserve the festival. Despite all their efforts to maintain the tradition, modernization of the Danoje has been accomplished through the changes of the transmission agents. Back in early 1990, both the Organization Committee and the Preservation Society were a part of Gangneung Cultural Center, a quasi-NGO who also contributed to the transmission of the Gangneung Danoje. But while the Korean government started to increase its support to Gangneung Danoje, the independence of its real hosts became necessary. In order to obtain independence and become the host of the Danoje, both the Organization Committee and the Preservation Society registered as non-profit corporations in 2007. Meanwhile, many corporations specialized in several areas such as stage performance and stage setting come to cooperate with the hosts, which improves the proficiency of the hosts and industrializes the festival. The industrialization changes the way local people participate in Gangneung Danoje. Because they have to join these corporations who declare to follow the laws and regulations of the nation-state. Being members of these modern corporations makes them modern subjects who are produced by the value systems of modern society. Although the actual operation of these corporations is different from the ideal, some core values such as seeking transparency and fairness constrains the members social interactions. Even the performers of the traditional rites became sensitive to the national laws regulating intangible assets or traditional arts. In order to continue their careers as teachers of traditional arts, some young members of the Preservation Society go to graduate schools to get advanced degrees. This shows the growing role of modern education in transferring folk culture.

The success of Gangneung Danoje exemplifies the importance of the supportive networks made by the local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in preserving folk culture. The major part of the festival, however,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zation. Firstly, the hosts manage to separate stages from markets in order to organize the space of Danoje. Secondly, erotic shows and gambling were eliminated so as to open to more people including children. A demographic change of festival-goers, specifically the deduction of elderly people, accounts for the change. In order to continue the festival, the hosts have been developing new programs for young students and managed to cooperate with a fast food company. The festival organizers use the strategy to attract future consumers. They also promote Danoje by developing various products and education programs, preparing stage performance all through the year.

The contemporary transmission of Gangneung Danoje takes place along with the incorporation of the host organizations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festival. It shows how folk culture re-contextualizes in modern society: it becomes a means of living while the employees of the host organizations work to preserve traditional culture.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the economic feasibility to host the folk festival has been growing. In addition, the local government of Gangneung and other agencies continue to manage the festival in order to construct the regional identity. Ironically, some of their programs turn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to records with tangible forms unintentionally. Meanwhile, the traditional rites and their performers are marginalized. And folk culture is intentionally displayed as an antique.

After being registered as a masterpiece of UNESCO World Intangible Heritage, Gangneung Danoje has become an important symbol of local culture whose value is indisputable. Such a social atmosphere forces some local merchants to hide their negative opinions even when they suffer from a drop in profits during the festival. And the protestants who previously opposed Danoje are criticized by people from other religions or atheists. With this mechanism of participation, Danoje has overcome the crisis of being lost. On one hand, hosting the festival still relies on the local social relations, as various private relationships, including yunjul, are still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organizing social life in Gangneung. On the other hand, many informants participate in or go to the festival to build various social relations, which makes Danoje a field of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the social relations.

Local people practice the new Dano custom by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They also develop the social meaning of confirming their memberships of communities by socializing in the festival. In this sense, regularly hosting the festival reflects the periodical changes of social relations. Speaking concretely, many local people need to confirm their social networks by participating in a regularly hosted event. As an annual event consisting of many programs and places that can be used as means to socialize, Gangneung Danoje continues to exist to meet their needs. The hosts who implement Koreas cultural heritage policies have to involve local people in the festival through appropriate means of meeting their needs. Th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agents including the hosts, local government and festival-goers enable the festival to be organized on a yearly basis. Among these agents, the host organizations should be regarded as a key factor that shapes the transmission of the festival.
강릉단오제는 1967년에 한국의 무형문화재로 지정되고 2005년에 유네스코 세계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등록된 과정을 거쳐 한국에서 유명한 지역축제로 인정받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축제의 핵심인 전통의례와 단오풍속의은 현대적으로 변용된다. 변용의 과정을 주도하는 세력은 강릉단오제를 주최하는 집단이다.
강릉단오제의 주재집단은 주최, 주관, 후원과 협찬으로 분류된다. 그 중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는 주최이다. 주최는 강릉단오제보존회와 강릉단오제위원회 두 개의 단체이며 전자는 단오제 전통의례의 전승과 보존을 담당하고 후자는 도시축제 전반을 기획∙운영한다. 주최의 이중적 구조는 지역의 다양한 세력이 축제 개최에 개입되었던 역사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다. 축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주관하는 단체는 대부분 지역의 시민단체들이며 후원은 축제에 행정과 예산 지원을 제공하는 정부기관이고 협찬은 축제에 비용을 기부하는 지역의 업체를 가리킨다. 다양한 주체들의 지속적 참여와 협력은 강릉단오제의 전통을 시간과 내용 구성의 측면에서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축제 주최 단체는 민간주도의 성격을 강조하지만 중앙과 지방정부는 유연한 신공공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축제에 개입하고 있다. 2007년에 단오제 보존회와 위원회가 사단법인으로 등록되면서 축제 운영 주체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게 되고 이와 아물러 축제의 주관단체들도 전문화와 법인화의 추세가 나타난다. 축제의 효율적 운영은 이들 법인의 지속적 관여에 의해 확보되면서 산업화가 진행되고 축제 개최에서 전문 단체가 담당하는 역할은 점점 중요해진다. 법인화된 단체들은 공정과 투명, 미래 지향 등 현대사회에서 유행하는 가치관을 따르고, 무형문화재의 전승자들도 문화재 제도와 교육 제도 등에 의해 현대적 주체로 생산된다. 다른 한편으로 강릉단오제에 대한 시민의 관심은 점점 약해지고 이러한 보편적 무관심은 축제 산업화와 맞물리는 현상이며 전통문화의 변화가 일어나는 맥락이다.
현대사회의 질서에 의해 만들어진 강릉단오제는 문화에 대한 현대 한국인의 인식에 맞추어 변화한다. 축제장이 정비되고 공간이 전시와 소비 등 기능에 따라 구분되며 축제 내용도 청소년을 포함한 모든 사람에게 전시할 수 있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축제 관람객의 인구학적 특징의 변화를 반영한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강릉단오제에 청소년들이 소비할 수 있는 음식과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것은 축제 주최 단체가 미래 관람객을 양성하는 전략이며 같은 목적을 위해 그들은 축제 기간 외도 다양한 상품 개발과 공연, 교육을 통해 시민들에게 단오제를 홍보하고 있다.
단오제의 이러한 현대적 변용은 주최 단체의 법인화에 힘입고 있으며 축제 산업화를 수반한 현상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변화는 단오제의 전통문화가 재맥락화되는 또다른 차원인데 즉 주최측 관계자들은 단오제 관련 업무를 전통문화 보존만 아니라 자신들의 생계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강릉단오제의 경제성은 현대적 전승의 맥락에서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강릉시 등 정부기관은 지역의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 강릉단오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지역문화 만들기 전략의 일부로서 무형문화재를 형체가 있는 기록물로 만드는 사업이 전개되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전통의례와 전승자는 오히려 소외되고 민속문화는 의도적으로 표현된 결과물로 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지역문화를 만든다는 사회적인 분위기 속에서 일부 상인들은 손해를 감수하고 단오제를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한다. 또한 단오제를 반대하던 종교 단체도 기타 종교나 무종교 시민의 비난을 받고 있다. 이러한 공적 담론은 축제 참여의 기제로 작동되고 있으며 강릉단오제의 주최 단체도 시민의 참여도를 높이고 전승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그것을 활용한다.
주최 단체가 시민 참여를 확보하는 방법은 제도 외에도 사회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민의 삶에서 연줄을 포함한 다양한 사적인 관계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단오제의 개최는 여전히 지역의 사회관계에 의지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많은 제보자들은 다양한 사회관계를 실천하는 목적으로 단오제에 간다. 이런 행동은 단오제를 지역 사회관계 생산과 재생산의 장으로 만들고 있다.
지역민들의 축제 참여는 새로운 단오풍속을 실천하는 것이며 단오제에서 사교 행위를 통해 공동체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사회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강릉단오제의 주기적 개최는 지역사회 인간관계의 율동과 맞물려 있다. 주최 단체는 국가의 문화재 정책을 집행하면서 적절한 방법을 통해 시민들의 참여를 확보하는 중개 역할을 하고 있다. 강릉단오제는 이처럼 주최와 지방정부, 축제 관람객 등 다양한 주체 간의 상호작용으로 정기적으로 개최된다. 그 중에서도 전승 주체의 행위는 단오제의 전승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19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89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