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오디세이학교 선택 교육과정 운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Elective Curriculum in Odyssey Schoo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수완

Advisor
소경희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2020. 2. 소경희.
Abstract
This case study roots upon the critical awareness that in order to meaningfully implement the purpose of Elective Curriculum in the general high school of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quality of choice reserved for its students.
Elective Curriculum means the type of education system that allows students to choose the subjects upon their choice. In South Korea, Elective Curriculum served as the basic framework for almost two decades, since its adoption that occurr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hich advocated student-centered curriculum as its motto. The purpose of adopting Elective Curriculum was to encourage students to choose subjects accordingly to their desired career and aptitude, thus heightening their motive for learning and enabling advanced learning. Yet, it is widely believed that the effects of Elective Curriculum are not fostered as intended in general high schools. Hereupon, the implementation of Elective Curriculum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has been recently adopted, is being newly explored.
Given the situations, the research related to the implement of Elective Curriculum mainly focused on the method that would allow the expansion of quantity and range of subjects. However, the question over whether the students can actually choose subjects while also taking their aptitude and course path into account received relatively insufficient attention. Some of the studies suggested more detailed measure for career guidance in such context. However, there is definitely a need for examination over what can be done for planning and operating curriculum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choice reserved for students, especially when implementing Elective Curriculum in general high schools in overall manner still remains.
This study selected the school where puts emphasis on career guidance while employing Elective Curriculum as the case and attempted to discover implements that may influence Elective Curriculum in general high schools.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Elective Curriculum in general high schools,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enhance the quality of choice for students, and doing so would require not only diversifying the number of cases but also providing appropriate guidance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heir aptitude and build their desired career expectation.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how Elective Curriculum may be organized and operated when placing emphasis on career guidance in detail. Especially, given that current dynamics of education policies which is forecasting the cataclysm in the area of operating system of general high schools, it is needed to explore what are the new roles may be fulfilled by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teachers in the study case when operating Elective Curriculum.
The case of study selected Odyssey School, a public miscellaneous school located in Seoul. Odyssey School operates accredited course for the 1st year of high school, and sets finding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life as their motto.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known that Elective Curriculum operated by Odyssey School brought meaningful success for cultivating career consciousness. The operation of Odyssey School differs from regular high schools. However, according to precedent research, the potential likelihood and limitation of implementing Elective Curriculum in general high schools can be found from the operation of alternative schools, serving as an example. Especially, it is perceived that considering the necessity for change in the context of the adoption of High School Credit Policy is being revisited, the attribute of Odyssey School, which differs from general high schools may entail the implication of Elective Curriculum within general high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attributes of operation of Elective Curriculum in Odyssey School and utilize it for finding the implication for execution of Elective Curriculum in general high schools. Three questions were set up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research:

First, how does the selective curriculum is organized in Odyssey School?
Second, what is the role reserved for teachers in Odyssey School in rel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ective curriculum?
Third, which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Odyssey School and how they canaffect the fulfillment of selective curriculum in general high schools?

In order to commence the research, the case was narrowed down to H campus of Odyssey School, and four teachers of the campus were cas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mongst four campuses affiliated with Odyssey School, H campus is the only campus where is operated by public teachers, rather than contracting alternative schools. Such measure was employed upon the perception that centralizing teachers of H campus when conducting research would provide greater implication for general high schools, which are also public education components. Data collection were made between September 2018 and October 2019, generally by having a face-to-face interview. Documented data including education planning were also made. The following are the interview records and examination of collected documents in regard of research thesis:
First, Odyssey School maximized the autonomy of school curriculum when organizing Elective Curriculum, while also setting the aim of education activity as their principle. Also Odyssey School formatting the curriculum in a flexible manner, reflecting the needs and demands of students. Odyssey School applied discretion provid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provincial authorities at its maximum, expanding the measure reserved for autonomy for individual schools. The curriculum planning in regard of autonomous organization measure of school was done by each campus in an individual manner. The procedure allowed students to enjoy from practical opportunities of choice, by employing flexible organization of curriculum, including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at term basis and preparing list of opt activities within the subjects. On this occasion, demands of students were reflected while also considering learn, implement, achievement, which is the aim of the schools education activity. Also, variety of subjects were launched, centralizing topic or activity while navigating different areas of subjects. Some of the subjects were newly launched as well, focusing upon the activities that were generally treated as creative activities, rather than a regular subject in general high schools.
Secondly, Odyssey School encouraged students to explore their career and actively engage to their education activity of choice when operating Elective Curriculum. Along the way, teachers continuously engaged to cooperation and outbound exchange with external education agents. Before anything else, the common subject classes were operated in such manner that considers the overall flow of the curriculum set by Odyssey School while also enhancing the quality of learning for students. School-established classes were interconnected with discipline and career guidance in more direct manner, developing the capability of choice for students. Also, teachers regularly attended to inter-campus meeting for teachers, while also interacting with extra-school civic groups and inviting partners who empathize with the schools orientation of education as lecturers.
Thirdly,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drawn from the attributes of organization of Elective Curriculum shown from the case of Odyssey School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Elective Curriculum in general high schools. Foremost, teachers of Odyssey School retains the viewpoint that the real comes after choice, encouraging the students to actively engage to the education activity of choice. From this finding, it could be learn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academic integrity, the effort for altering the overall culture of school is critical, not only the individual effort of teachers done in classroom level. Next, considering the recent adoption of High School Curriculum System, management of Elective Curriculum should put emphasis on the comprehensiveness. Teachers of Odyssey School cooperated with alternative education professionals while implementing Elective Curriculum.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extended in the consequence. Lastly, the implication could be drawn as that career guidance in the context of Elective Curriculum should be treated a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relation to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verall management.
This study is relevant on the point that it researched the case of operation Elective Curriculum in an alternative manner, while retaining the context of education system and policies of South Korea. Especially, given that High School Credit Policy has been adopted recently, the importance of role shift of teachers and career guidance is being spotlighted in relation to Elective Curriculum, this study set its focus on what roles are being served by teachers, who are the main agents responsible for practically organizing and operating Elective Curriculum of Odyssey School, where puts emphasis on career guidance. Moreover, building on the result of study, concrete implication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implication of Elective Curriculum in general high schools. This allowed to expand the argument that is more adherent to the actual field.
While it is widely believed that Elective Curriculum operated by general high schools should reflect more diversified career path for students, the situation remains unchanged as the elective subjects reserved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re yet to be changed, still placing its focal point over university entrance. In this respect, it could be predicted that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eaching in an academic context but also serving the role of the homeroom teacher, are going to engage with new roles while facing difficulties. The potential for role shift of teachers could be suggested, thanks to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case of Odyssey School.
However, this study also carries its limitationsderived from the limited research range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research case.First, this study researched school curriculum documents and experience of teachers as its priority in order to reveal the feature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shown from the case of Odyssey School. Thu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mainly done in relation to school and teachers. Therefore, the role and potential of change of the state and provincial education authorities could not be examined in a comprehensive manner. Also, the study focused on how Elective Curriculum is organized and operated in H campus of Odyssey School, where is operated by public education teachers, the overall operation of curriculum employed by Odyssey School, which involves cooperation of alternative education professionals and public education teachers. This implies that attributes of the curriculum conjugatedby Odyssey School may be examined with more comprehensiveness.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 고등학교에서 선택 교육과정의 취지가 실현될 수 있으려면 학생들의 선택의 질을 높여 주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선택 교육과정은 학생이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는 교육과정 체제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 선택 교육과정은 학생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한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입된 이후, 20여 년 동안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본 틀이었다. 선택 교육과정의 도입 취지는 학생들이 진로와 적성에 맞게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동기를 높이고 심층학습을 가능케 하는 것이었으나, 여전히 일반 고등학교에서 선택 교육과정 도입 당시 의도한 변화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에 최근 도입된 고교학점제 맥락에서 선택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이 새롭게 탐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택 교육과정의 실행과 관련한 연구들에서는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의 양과 폭을 넓히기 위한 방안이 주로 탐색되어 왔다. 반면 학생들이 정말로 자신의 적성과 진로에 맞게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물론 학생들의 과목 선택의 질과 관련하여, 진로 탐색을 지원하고 선택 과목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으며, 일부 연구에서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일반 고등학교에서 선택 교육과정을 실행할 때 학생들의 선택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어떻게 편성하고 운영할 수 있을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 연구는 진로교육에 방점을 두고 선택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학교를 사례로 삼고, 진로교육을 강조할 때 학교에서 선택 교육과정을 어떻게 편성하고 운영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로부터 일반 고등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실행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일반 고등학교에서 선택 교육과정의 취지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학생의 선택의 질을 높여 주는 것이 중요하며, 선택의 질을 높일 수 있으려면 선택지를 다양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을 이해하고 진로를 구성해갈 수 있도록 적절한 지도와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고등학교 운영 체제 전반의 변화가 예고되어 있는 오늘날의 교육 정책 흐름 속에서 교사들이 어떠한 새로운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지를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이 연구에서는 사례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일차적인 주체인 교사들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사례 학교로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공립 각종학교인 오디세이학교를 선정하였다. 오디세이학교는 고등학교 1학년 학력인정 과정을 운영하며, 삶의 의미와 방향 찾기를 학교의 교육 비전으로 삼는다. 오디세이학교는 전형적인 일반 고등학교의 운영 맥락과는 차이가 있으나, 오디세이학교 교육과정 운영 결과 학생들이 진로의식을 함양하고 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갖게 되는 등 유의미한 성과가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대안적인 교육과정 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에서의 선택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고교학점제의 도입 맥락에서 최근에는 학교의 구조와 문화 등 고등학교 교육을 둘러싼 전반적인 환경의 변화가 함께 논의되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전형적인 학교와는 다른 사례 학교의 특징으로부터 일반 고등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실행에 함의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디세이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운영 사례로부터 그 특징을 드러내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 고등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실행에 줄 수 있는 함의를 발견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오디세이학교에서 선택 교육과정은 어떻게 편성되는가?
둘째, 오디세이학교에서 선택 교육과정은 어떻게 운영되는가?
셋째, 오디세이학교 선택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특징은 일반 고등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실행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오디세이학교 H 캠퍼스를 중심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오디세이학교의 네 곳의 캠퍼스 중에서 H 캠퍼스는 유일하게 대안학교에 위탁하지 않고 공교육 교사들이 직접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한다.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중등 교사들이 운영한다는 점에서 H 캠퍼스의 교사들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면 일반 고등학교에 보다 밀접한 함의를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연구 참여자로는 H 캠퍼스에 근무하는 교사 네 명을 섭외하였다. 자료 수집은 본 조사 기간인 2018년 9월부터 2019년 10월에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면담을 중심으로 학교교육계획서 등의 문서 자료도 수집이 함께 이루어졌다.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면담 기록지와 문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오디세이학교에서는 선택 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자율성을 최대화했으며, 학교의 교육 활동 목표를 원칙으로 삼고 그 안에서 학생들의 필요와 요구를 반영해 학교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오디세이학교는 국가 및 시‧도교육청의 지침에 제시되어 있는 이수 단위 조정 범위를 최대한으로 적용하여 학교 자율 편성 단위를 확대하였다. 학교 자율 편성 단위에 대한 교육과정 계획은 캠퍼스별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졌는데, 학기별로 교육과정을 새롭게 편성하고 과목 내에 선택 활동의 목록을 마련하는 등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편성하였다. 이때 학교의 교육 활동 목표인 배움, 실천, 성취가 실현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였다. 또한, 교과의 범위를 넘나들며 주제 중심 또는 활동 중심으로 다양한 과목들이 개설되었고, 일반 고등학교에서 대체로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활동들을 교과화하여 새로운 과목이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한편, 오디세이학교에서는 여러 유형의 수업에서 공통적으로 학생들이 자신이 선택한 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강조하였고, 다양한 교육 주체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교류하면서 선택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공통 과목 수업은 전체 학교교육과정의 흐름을 고려하면서 학생의 학습의 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어 운영되었고, 학교 개설 과목 수업은 생활지도 및 진로지도와 보다 직접적으로 관련하여 학생들의 선택 역량을 길러 줄 수 있도록 운영되었다. 또한, 교사들은 캠퍼스 간 교사 회의에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하여 성찰하였고, 학교 밖의 다양한 시민단체와 적극적으로 교류하는 과정을 통해 학교 교육의 방향성에 공감하는 파트너를 찾아 강사로 초빙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오디세이학교 선택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특징으로부터 일반 고등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실행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먼저, 선택 교육과정의 취지를 실현하기 위하여 선택 이후에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학습의 질 향상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책임감을 가지고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학교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할 때 교사들이 지속적으로 다양한 교육 주체들과 소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협의를 위한 시간 여유를 교사들에게 보장해줄 수 있도록 학교의 구조와 체제가 갖추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모든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을 반영하여 선택 교육과정이 실행될 수 있으려면 대학 진학을 포함하되 보다 유연하고 넓은 진로 개념을 바탕으로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 제도와 정책의 맥락 안에서 대안적인 방법으로 선택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특히 최근 고교학점제의 도입 맥락에서 선택 교육과정의 실행과 관련하여 교사의 역할 변화의 필요성과 더불어 진로지도 확대의 필요성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 연구는 진로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사례 학교에서 선택 교육과정을 실질적으로 편성하고 운영하는 주체인 교사들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고등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실행과 관련하여 고려해봄직한 구체적인 시사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연구 범위의 제한성과 연구 사례의 특수성으로 인한 한계가 있다. 먼저, 이 연구는 사례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특징을 드러내기 위해 학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사의 경험에 주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따라서 분석과 해석 역시 학교와 교사에 대한 것 위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국가 및 시‧도 교육청의 역할과 그 변화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다루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공교육 교사들이 운영하는 오디세이학교 H 캠퍼스에서 선택 교육과정이 어떻게 편성‧운영되는지에 집중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므로, 대안교육 전문가와 공교육 교사가 협력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꾸려 가는 오디세이학교 전체 교육과정 운영의 특징을 보다 종합적으로 드러낼 여지가 남아 있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34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