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계층화 연구 : Educational Gap in Parents' Time Investment in Preschool Children : Longitudinal Analysis of South Korea
한국사회의 종단적 변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차은호

Advisor
Joan Paek Yoo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2020. 2. Joan Paek Yoo.
Abstract
There is a growing concern that children's life opportunities are increasingly bounded by parents backgrounds in Korean society.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atification of the daily amount of parent-child interaction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parents' time investment in preschool children is gradually becoming unequal and to explore the background of inequality in childcare time.

For this aim, the childcare time of parents who are raising preschool children was analyzed. Firstly, this study verified whether the gap in childcare time between educational groups became larger in 2014 than in 2004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relevant societal change behind the widened educational gap in childcare time through hierarchical multivariate regression and Oaxaca-Blinder decomposition analysi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as the 2nd(2004) and 4th(2014) wave of the Korean Time Use Survey, colle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ap in childcare time according to the parents education level expanded in 2014 compared to 2004. In other words, the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educational inequality in childcare time has become more serious between 2004 and 2014.

Second, the educational disparity in 2014 increased when considering the explanatory variables on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while the opposite effect was observed in 2004. Namely, the influence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the educational gap in childcare time has converted between 2004-2014. This means that as the contextual surrounding the family and labor market changed, the households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subjective gender role characteristics in 2014 increased the educational inequality in childcare time unlike 2004.

Third, in 2004 and 2014,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that had a consistent influence on the child care time were the parents' education level, the average age of the parents, and the type of bread-winning, while the effect of the average working hours and the maternal income ratio differed depending on the time of analysis. In particular, in 2004, the maternal income rati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childcare time at the household level, but in 2014, the relationship reversed in a positive direction. This suggests that the norms and environment of parenting changed during 2004-2014.

Fourth, among the total gap in childcare time between highly educated and low-educated parents, the coefficient effect increased and the composition effect shifted from negative to positive in 2014, compared to 2004. The increased coefficient effect implies that behavioral or unobserved characteristics between two educational groups have become more different. At the same time, the shift in the sign of the composition effect indicates that the differences in observed household characteristics alleviated the gap in childcare time in 2004, but its effect changed to aggravate the gap in 2014. In sum, the educational gap in childcare time widened between 2004 and 2014 not only due to the increasing difference in behavioral patterns for parenting but also to the change in the influence of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the inequality in childcare time.

The implications of the abov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critically applied the foreign discussions that the educational gap in childcare time is widening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This enabled empirical confirmation whether the Korean childrens time with their parents is diverging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 level. Moreover,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is phenomenon more deeply by decomposing the complex dynamics that induce the stratification of childcare time into related explanatory variables. This helped us to discern the causal factors which account for the widening gap in childcare time in Korean society. Despite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not considering the quality of interaction during childcare time and not including the demographic information about children due to the limitation of data. It is hoped that these limitations can be complemented through follow-up studies using extensive data which includes quality of time-use and information of children.
한국 사회에서 부모의 배경에 의해 자녀의 생애 기회가 점차 경계 지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본 연구는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자녀와의 일상적 상호작용량이 계층화되는 양상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미취학 아동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시간적 투자가 점점 더 불평등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자녀돌봄시간의 불평등이 심화된 배경을 탐색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미취학 자녀를 양육하는 양부모 가정의 자녀돌봄시간을 분석하였다. 먼저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학력집단 간 자녀돌봄시간의 격차가 2004년에 비해 2014년에 더 커졌는지를 확인하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Oaxaca-Blinder 분해분석을 통해 자녀돌봄시간의 격차가 커진 배경을 살펴보았다.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의 2차자료(2004년)와 4차자료(2014년)를 활용하였으며, 2004년 1,286가구의 시간일지 2,572부, 2014년 973가구의 시간일지 1,946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력에 따른 자녀돌봄시간의 격차가 2004년에 비해 2014년에 확대되었다. 즉,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돌봄시간의 계층화가 과거에 비해 심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2004년에는 가구특성에 대한 설명변수의 투입으로 학력집단 간 자녀돌봄시간의 격차가 줄어들었지만 2014년에는 반대로 격차가 확대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자녀돌봄시간의 교육적 격차에 대한 가구특성요인들의 영향이 시대별로 다르게 나타난 것이다. 이는 가족 및 노동시장을 둘러싼 거시적 맥락이 변화함에 따라 2014년 가구의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성 역할 관념적 특성 요인이 자녀돌봄시간의 교육적 격차를 늘리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2004년과 2014년 공통으로 자녀돌봄시간에 일관된 영향을 미치는 가구특성은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평균 연령, 맞벌이 형태였으며, 분석 시점에 따라 자녀돌봄시간에 대한 영향력이 달라진 가구특성요인은 부모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과 모 소득 비중이었다. 특히, 2004년에는 2004년에는 모 소득 비중이 가구 단위의 자녀돌봄시간과 음의 방향으로 상관되었으나, 2014년에는 그 관계가 양의 방향으로 역전되었다. 이는 2004년-2014년 동안 부모의 양육 태도 및 환경이 변화하였음을 시사한다.
넷째, 고학력 부모와 저학력 부모의 자녀돌봄시간 격차 중, 2004년에 비해 2014년에 계수효과는 커지고 구성효과는 음에서 양으로 전환되었다. 계수효과가 커졌다는 것은 고학력 부모와 저학력 부모 사이에 가구특성에 관한 설명요인 이외에 미관측 특성 및 행동체계의 차이가 늘어났음을 함축하며, 구성효과의 부호가 전환되었다는 것은 가구특성의 차이로 인한 자녀돌봄시간의 격차분이 과거에는 음(-)이었지만 양(+)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2004년-2014년 동안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돌봄시간의 격차가 커진 것은 학력집단 간 양육에 대한 행동패턴의 차이가 커졌을 뿐만 아니라 가구특성 분포가 자녀돌봄시간의 계층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녀돌봄시간의 교육적 격차가 벌어지고있다는 외국의 논의를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비판적으로 적용하고, 한국 사회에서도 자녀돌봄시간의 계층화가 심화되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자녀돌봄시간의 계층화를 유인하는 복잡한 역동을 관련 설명변수들로 분해하여 이 현상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자녀돌봄시간의 격차가 종단적으로 커지는 원인에 대하여 해외의 학자들이 제기한 해석이 한국 사회의 현실을 얼마나 적합하게 설명하는지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자녀돌봄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질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 자료의 한계로 자녀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 등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는 시간의 양과 질, 자녀의 인구사회학적 정보를 폭넓게 측정한 자료의 구축과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1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