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고향의 기억 : Memory of Hometown in Park Wan-Suhs Novels Focus on Who ate Up All the Shinga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Gulova Maysagozel

Advisor
방민호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2020. 2. 방민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hometown Kaesong for Park Wan-Suh in comparison to Seoul, where she later grew up in. First, I explore how she was aware of her lost identity and how she portrayed this theme gracefully through her novels. In the authors memory, the term hometown Kaesong can be classified into detailed themes such as atmosphere, tradition, customs, and the authors memory, in comparison to Seoul. Park Wan-Suh made a move from her hometown towards a better environment, for the sake of education and later evacuation due to war. The war brings her to a special community called North Korean Refugee, and therefore gave her a new identity as well. Further,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process of a change in perception of hometown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f the author based on her growth, adjustment and the blurring of times.
Who Ate Up All The Shinga could be understood as the work of a writer who can be classified as one of the North Korean writers. I try to analyze her background on this basis. The heroine who spent her childhood in Pakchok near Songdo, went to Seoul and entered College of Liberal Art and Sciences University, which is known today a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hapter 2, focuses on Park's autobiographical novels, how the main character of the book Who Ate Up All the Shinga refers to her childhood and compares it to her understanding of Seoul, her birthplace, her identity and the environment she grew up in. I later shed light on the narrator of Park Wan-Suhs novel as it describes in detail the difficulty of a young heroine learning how to live and adapt in the city of Seoul.
Chapter 3 analyzes Park Wan-Suh North Korean Refugee as a movement and its meaning. Kaesong, nearby to Park's hometown, was later called Gaegyeong in A.D. 918 when Wang Geon founded Goryeo and ascended the capital to Songak. Kaesong is dispatched by the Chosun dynasty, during Japanese occupation Kaeseong called Kaeseong country, when the 38th parallel line was drawn right after liberation, it belonged to the South, but later was incorporated in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While the South and the North confronted each other during the Korean War, the enemy was just an ideology, which boiled down to the deep confrontation between liberalism and communism. The country was soon anti-Communist, hence if anyone fell into leftist ideology in the Southern part, they were called red and therefore were not accepted. Consequently, if Park Wan-Suh is one of the writers who came from North Korea, it is not based on the will of the writer, but rather on the changes of circumstances due to the war. The loss of her hometown was the result of the political situation, not the result of her choice of her own, whether right after liberation or in the course of her later years. Nevertheless, her hometown Kaesong which she had to leave, is another important historical space such a transition from Kaesong to Seoul in terms of historical space is another mechanism which makes the meaning of Park Wan-Suh literature very heavy.
본 논문은 박완서에게 있어 고향 개성이 갖는 의미를 그가 이후에 성장한 서울과 대비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가 잃어버린 자신의 고향 개성을 어떻게 의식하고 있었는지, 또 소설을 통해 이를 어떻게 그려냈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작가의 기억 속에서 고향인 개성이 다른 장소 서울과 비교 대상에 따라 분위기, 전통, 풍습, 작가의 기억 등을 세부 주제로 분류할 수 있다. 박완서는 학업이나 피난과 같이 더 나은 환경을 위한 이동을 하고 있으며, 전쟁으로 인해 월남 피난민이라는 특수한 공동체에 속하게 된다.
이 논문은 박완서의 생애 중 바탕이 되는 개성인 고향을 주제로 삼으며 작가의 생애 성장 고정과 시대적 흐림에 따라 경험에 따른 고향에 대한 인식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는 월남작가의 한 사람으로 분류될 수 있는 작가의 작품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작품 속에 나온 역사적 배경이 실제로 작가와 주변 인물들에게 영향을 준 역사적 사건에 대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그 배경을 분석하고자 했다. 송도 부근 박적골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주인공이 서울로 상경하여 문리대(서울대)에 입학할 무렵까지의 이야기들을 세세하게 담은 소설이며 해방을 거쳐 6.25 전쟁을 이르는 현대사의 굴곡들을 담고 있다.
2장에서는 우선 박완서의 자전적인 소설을 중심으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의 주인공이 자신의 유년시절을 어떻게 회상하며 자신의 태어난 고향인 개성과 성장 공간인 서울을 어떻게 대비적으로 이해하는지에 주목했다. 박완서의 소설의 화자는 어린 주인공이 서울 산동네에서 서울살이의 법도를 익혀가는 고단함을 상세하게 묘사해 보인다.
3장에서는 이동으로서의 박완서의 월남과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박완서의 고향에서 인접한 개성은 서기 918년에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고 수도를 송악으로 천도하면서 이후 개경이라고 불러왔다. 이후 개성은 구한말, 일제 강점기 동안에는 개성부, 개성군이라고 불리고 해방 직후 38선이 그어진 때에는 남한에 속했으나 6·25 전쟁 과정에서 북한으로 편입이 되었다. 6·25 전쟁으로 남과 북이 대치하는 시절, 자유주의와 공산주의 대립이 심해 적은 그냥 공산당이었고 애국은 곧 반공이었기에 좌익 사상에 빠졌다 싶으면 빨갱이라는 말로 사람 목숨도 빼앗을 수 있는 시절이었다. 따라서 박완서 작가가 월남작가의 한 사람이라 한다면 이것은 작가의 의지에 따른 것이라기보다 순전히 전쟁으로 인해 정세 변화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고향 상실은 해방 직후든 그 이후의 과정에서든 스스로 선택하여 결과된 월남이 아니라 정세가 부과한 결과물이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그녀가 떠나와야 했던 개성은 또 하나의 중요한 역사적 공간이라는 점에서 그러한 개성으로부터 서울로의 이행은 박완서 문학의 의미를 매우 무겁게 만들어 주는 또 하나의 기제라 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30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