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중국어 동사후치 도구 논항의 어법제약 연구 : 现代汉语动词后工具宾语的语法制约研究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洪菲

Advisor
박정구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2020. 2. 박정구.
Abstract
宾语一直是语法研究领域的关注点, 通常认为动词后的宾语多为动作所支配的对象, 但现代汉语中存在大量诸如 绑绳子, 吃大碗, 听耳机, 写毛笔, 打板子……这样的表达形式, 高度一致的动词+宾语结构下呈现出的却是多样化的语义关系。以往学者对这类工具宾语的研究, 在基础分类、观察视角以及分析方法上各有差异, 且极少对工具宾语句呈现全貌性的语料分析。本文尽量全面甄选语料、归纳同质类别, 并从认知语言学的理论视角出发, 厘清各类工具宾语所受到的不同制约, 力图阐明其内在统一的认知原理。
本文以孟琮(1999)≪汉语动词用法词典≫中出现的285个工具宾语句为考察对象, 通过用+NP+V结构对语料中宾语的工具特性一一进行验证, 进一步筛选出255个用例;之后再通过把+NP+V+了以及V了+一个/这个+NP结构甄别宾语是否具有受事性和指示性。考察中我们发现,相似结构下的工具宾语句内部实质受到种种相异因素的制约, 据此我们分出四大类别进行分析说明:
第一, 受影响性制约: 通过道蒂(Dowty)的原型施事(proto-agent role)及原型受事(proto-patient role)理论进行分析, 我们发现部分工具宾语的受事性明显高于其他工具宾语类, 可以充当受事。如: 绑绳子等。
第二, 转喻性制约: 通过部分代替整体的认知转喻机制, 动词后成分从容器工具转喻为容器里的东西。如吃大碗和听耳机, 大碗就是以大碗转喻碗中的食物, 而耳机就是以耳机这个工具转喻通过工具所传达的内容。
第三, 前景⋅背景制约: 人类视觉上对图像背景和前景的认知, 可转化为语言表达层面的前景和背景表达, 与此同时使用语用原理和语言的经济性原则, 据此可以阐明画4B等工具宾语句的制约原理。
第四, 熟语性制约: 熟语的特征是形式结构较为固定且不能随意扩展, 因此像打板子这类的工具宾语从形式上看其粘合性较强, 中间一般不能插入其他修饰性成分, 且多作为整体使用。
综上所述, 本文通过句型变换等方法, 对大量工具宾语句语料进行了全面整理, 旨在对其中蕴含的不同语法制约进行清晰阐释。尽管语料无法穷举, 但我们旨在诸多同形中辨别不同质, 在各种不同质中找出认知的统一之处。
본고는 현대중국어 도구 목적어에 대해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동사의 논항(argument)으로 쓰이는 목적어는 주로 동작의 지배를 받는 대상이다. 그런데 현대 중국어에는 绑绳子, 吃大碗, 听耳机, 写毛笔, 打板子 등과 같이 도구 논항이 동사 뒤 목적어 위치에 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도구 목적어는 일반적인 동목구조와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일반목적어와는 그 성격이 달라서 대부분 동작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 그런데도 도구 성분이 목적어 위치에 사용되는 언어 현상에 대해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그 분류와 분석방법에는 학자마다 차이를 보여 일관성을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고는 기존 연구의 논의를 바탕으로 도구 목적어를 동사와의 관계에 근거하여 네 가지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도구 목적어에 어떠한 인지적 기제가 작용하는지 살펴봄으로써 동작의 지배를 받지 않는 도구 성분이 목적어 위치에 오는 언어 현상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진행한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孟琮(1999)의 ≪汉语动词用法词典≫에서 나오는 285개의 도구 목적어 용례를 중심으로 중국어의 동사 후치 도구 논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구 대상을 확정하였다. 먼저 285개의 용례를 用+NP+V 형식으로 변환하여 NP가 도구 성분인지 검토하고 다시 把+NP+V+了, 把+NP+V+在+처소, V了+一个/这个+NP 등 형식에 적용하여 NP가 동작 대상의 성질을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형식에 사용할 수 있는 성분만 도구 성분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부합하는 총 255개의 구문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둘째, 도구 목적어를 동사와의 통사 의미적 관계에 근거하여 피영향성 도구 목적어, 환유성 도구 목적어, 전경으로서 도구 목적어와 숙어화된 도구 목적어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환유성 도구 목적어는 다시 용기류 도구 목적어와 경유류 도구 목적어로 세분하였다.
셋째, Fillmore의 격 문법, Saeed(1977)의 의미론, Huang, Yan(1995)의 담화 배경 이론, Langacker(1990)의 행동 연쇄 모형, 그리고 Dowty(1991)의 원형─행위자와 원형─피행위자 이론을 이용하여 도구 논항이 동작의 지배를 받지 않으면서 목적어의 위치에 출현하는 현상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绑绳子와 같은 피영향성 도구 목적어는 도구이면서 동작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도구인 동시에 일반목적어와 마찬가지로 피행위자의 성질을 가진다. 吃大碗, 听耳机와 같은 환유성 도구 목적어는 환유를 통해 동작의 대상을 지시할 수 있는데 이 대상은 동작의 지배를 받으므로 역시 일반목적어와 마찬가지로 피행위자의 위치에 올 수 있다. 이러한 인지적 제약은 Dowty의 원형─행위자와 원형─피행위자 이론에 근거하여 도구 성분이 도구인 동시에 원형─피행위자성 성질을 지니기 때문에 피행위자의 위치에 출현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画4B와 같은 전경으로서의 도구 목적어는 어떠한 방법으로도 피행위자를 지시할 수 없다. 그러나 특정 환경에서 피행위자가 화자와 청자가 모두 아는 구정보인 경우 배경으로 전락하면서 도구가 전경이 되어 목적어의 위치에 올 수 있다. 이는 Yan(1995)의 담화 배경 이론에서 전경과 배경의 현저성으로 설명된다. 打板子와 같은 숙어화된 도구 목적어는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하나의 표현으로 굳어져 관용어의 성질을 지닌다. 따라서 다른 유형에 비해 더 많은 제약을 가지며 형식적으로는 통사적 구를 이루고 있지만 각각의 단어들의 의미에서 전체 의미를 예측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본고는 인지적 기제에 주목하여 현대 중국어 동사 후치 도구 논항의 어법제약을 제시하였다. 이는 의미적 측면에서 분류작업을 시도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분류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하나의 부류로 묶어왔던 도구 목적어를 좀 더 자세하게 구분하고 이들이 목적어 위치에 올 수 있는 인지적 기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분석 연구가 중국어 학습자들이 현대 중국어의 도구 목적어 구문을 학습하고 정확하게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43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