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데이터 활용 모바일 앱의 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On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age of Mobile Applications Developed Using Public Open Data : Centered around the characteristic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중앙행정기관의 특성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수경

Advisor
엄석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2020. 2. 엄석진.
Abstract
2013년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최근까지의 공공데이터 관련 연구는 개방 주체인 정부를 중심으로 개방의 양적 수준 및 공공데이터 관리능력 평가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공공데이터는 개방 그 자체보다 최종이용자의 수요와 접목될 때 실질적 가치를 창출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개방된 공공데이터의 활용과 현실적 수요에 관한 탐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의 현실적 수요에 주목하여, 중앙행정기관 출처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모바일 앱의 사용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관의 특성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2단계의 분석과정으로 구성된다. 첫째, 연구대상에 대한 탐색적 조사로서 공공앱 771개와 활용사례앱 1,694개의 총 2,465개 모바일 앱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현황 분석을 시행한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중앙행정기관의 공공데이터 관련 특성이 공공데이터 활용 모바일 앱의 정보 품질·시스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공공데이터 활용 모바일 앱의 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전수조사 결과, 2019년 9월 현재 제공 중인 모바일 앱은 공공앱 539개, 활용사례앱 1,640개이다. 그 중 활용된 공공데이터의 생성·관리기관이 단일 중앙행정기관인 모바일 앱 200개에 대하여, 기관의 특성이 공공데이터 활용 모바일 앱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Delone과 McLean의 정보시스템 성공모델, 정보시스템 구축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성하였고, 모형을 일부 축소하여 모형의 정합성을 확보한 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데이터 생산·관리 기관의 정보·자료특성과 정보기술특성에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공공데이터의 사용 용이성 및 기술적 복잡성과 관련된 기술적 역량이 높은 중앙행정기관일수록 이러한 기술적 역량을 토대로 형성된 공공데이터의 정보·자료의 수준이 높게 나타나므로 두 요인은 서로 정(+)의 상관관계에 있다.
둘째, 기관의 정보·자료특성과 조직·관리특성에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인력 확보, 교육, 명확한 목표 설정 등 공공데이터 관리자의 범위 및 역량을 명확히 하는 조직적 관리가 이루어진 기관일수록 해당 공공데이터 관리자에 의해 형성되는 공공데이터의 정보·자료 수준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고 해석된다.
셋째, 기관의 정보기술특성과 조직·관리특성은 서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술적 역량을 갖춘 인재의 확보와 해당 인력에 대한 조직적 관리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력에 대한 조직·관리적 투자가 기술적 역량의 확보로 이어지기까지는 해당 공무원이 학습·현장경험 등을 겪을 시간이 어느 정도 소요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넷째, 기관의 정보기술특성은 공공데이터 활용 모바일 앱의 시스템 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공공데이터 활용 모바일 앱에 활용되는 공공데이터의 데이터 등록률, 제공주기 준수율 등 기술적 처리 수준이 높을수록 모바일 앱 개발자가 해당 공공데이터를 즉각적으로 모바일 앱 운영에 활용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다섯째, 기관의 정보·자료특성은 공공데이터 활용 모바일 앱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목록 관리, 목록 공표, 활용도 제고 등 기관 내부적 차원에서의 자료 활용도 개선 노력이 모바일 앱을 제작하는 수준의 기술적 역량을 이미 갖춘 개발자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여섯째, 기관의 조직·관리특성은 공공데이터 활용 모바일 앱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관 내부에서의 공공데이터 생성·관리 개선을 위한 인력 확보, 예산, 교육 등 조직·관리적 노력이 공공데이터를 비롯한 활용 정보 및 해당 모바일 앱의 운영 시스템에 직접 투입된다고 볼 수 없으므로 그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수준까지 확보되지 못했다고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공공데이터 활용 모바일 앱에 활용된 정보 품질과 시스템 품질 모두 모바일 앱의 사용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에 공공앱에 대한 주기적 평가·관리 정책과, 공공데이터 활용의 우수사례로 공공데이터 활용 앱을 제시하는 공공데이터 관련 정책은 공공데이터의 현실적·직접적 수요와 연계되는 타당한 정책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일반 국민의 접근이 용이하고 정부 역시 주목 중인 모바일 앱을 연구대상으로 함으로써, 현실적 수요의 시각에서 공공데이터 활용 성과를 측정 시도한 탐색적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둘째, 연구대상으로 정부 주도의 공공 앱뿐 아니라 민간에서 제작한 공공데이터 활용사례 앱을 포함했고, 공공데이터 파급 주체로 민간부문을 포섭하여 행정 주체의 범위를 민간 영역에까지 확장했다. 셋째, 단순히 제공되는 대상으로서 모바일 앱을 분석한 것이 아니라, 연구대상 이면 행위자들의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시사점을 제시한다. 넷째, 하드 데이터에 기반한 수요자의 사용 수준을 최종 종속변수로 설정함으로써 공공데이터의 활용 중심적 시각에 이바지하고, 장기적으로는 공공데이터의 순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 기여하는 의의가 있다.
Ever since public information transparency policies including the took effect in 2013, research on public open data has been focused on the side of the provider: the government. Therefore, the quantity of data as well as the governments ability to manage the data received much attention. Public data, however, possesses practical value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end users demand rather than at the moment of release. Exploration of the data usage and realistic demand for public open data is essential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d the usage of mobile applications created using open data as a means to estimate realistic demand for public open data.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also aims to find out what characteristics of central administration agencies that serve as data provider or mobile application developer positively influence the usage of these mobile apps which represents the realistic demand of public open data.
This paper incorporated two levels of analysis. First, a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this paper surveyed a total of 2,465 mobile apps that includes 771 public apps and 1,694 use-case apps(apps listed on the Open Data Portal as apps developed using public open data). Second, this paper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observe the influences the characteristics of central administration agencies as providers and managers of public open data have on 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system of mobile apps developed using open data. In turn, this paper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the realistic demand of public open data.
According to the survey, the number of mobile apps being offered as of September 2019 is 539 public apps and 1,640 use-case apps. Among them, 200 mobile apps, a singl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by the creation and management agency of the utilized public data, were analyzed for the impact of the agency's characteristics on the use of mobile apps using public data. For this process, structural equations were created based on Delone & McLeans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 and Gil-Garcia & Pardos research on E-government success factors. The model was partly reduced to ensure consistency before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 data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characteristics of public data producing and managing organizations. The analysis results are interpreted as follows. For the quality of information & data will be higher if the providing government organization possesses better technology in data availability and technological complexity, these two factors show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 data characteristics and the organizational &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public data producing and managing organizations. The analysis results are interpreted that the quality of information & data will also be higher if the providing organization structurally manages the capacity and range of open data managers by securing human resources, providing proper education and setting clear goals. Therefore, these two factors a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as well.
Third, the information technology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data producing and managing organization have shown no meaningful relationship. The analysis results are interpreted that securing human resources with technological competence and their structural management can take place independently and that a certain amount of time for education and training is required for organizational & structural investment to manifest as technological competence.
Fourth, the information technology characteristics of the data producing and managing organiz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ystem quality of mobile apps utilizing public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interpreted that the higher the technological level of open data used for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including data release rate and release cycle compliance rate, the easier it is for developers to apply the data directly to their applications.
Fifth, Information & data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 &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data producing and managing organiz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interpreted as follows. In terms of information & data characteristics, any internal effort to improve the usage of data through the management of data listings, publication of the list and improved availability does not have any meaningful benefit to developers who already possess the technological capacity to develop an application.
Sixth, the organization &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data producing and managing organization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mobile apps utilizing public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interpreted as follows. As for organization & management characteristics, the correlation may not reach a significant level, for internal efforts for securing human resources, budget and training for open data creation and management are not directly applied to the mobile apps.
Finally, both 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system quality used in mobile apps using public data show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the use of mobile apps. This indicates that open data related policies that involve routin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public applications, and recommendation of applications developed using open data as model examples of open data usage are reasonable policies that directly affect the realistic demand of open data.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is paper has relevance in that it studied mobile applications which are readily accessible to the public and are receiving great attention from the government in order to assess the usage of public open data with the reflection of realistic demand. Second, by including privately developed mobile apps that used open data as well as government developed public apps, this paper includes the private sector as an active agent in the spread of public open data, thereby expanding the range of administrative body to the private sector. Third, this study does not simply analyze mobile apps as the target provided itself, moves furth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government bodies as well as their future role. Fourth,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trend of focusing on the usage of open data and to the theoretical conversation on open datas cycle in the long term, by setting the hard data on the end users level of usage as the final dependent variable.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3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