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보상인식이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Public Officials' Recognition of compensation on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준환

Advisor
전영한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2020. 2. 전영한.
Abstract
The current government is increasing the hiring of public officials, and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of civil servants is growing accordingly. In this situation, the importance of proper personnel administration is emphasized even more. It is extremely important not only to select excellent public officials but also to manage those currently employed. Based on the degree of turnover, which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indicator of personnel administra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turnover of public officials and make suggestions for personnel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 of public officials.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recognition of compensation by public official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to see if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has a regulating effect on their impact. Compensation is a basic factor that causes members to continue working based on expectancy theor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ory can have the effect of adjusting the degree of turnover intention of public officials because it explain the inherent internal motive of public officials.
To that end, the study utilized the 2016 Public Employee Perception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monetary compensation and non-monetary compensation as a sub-factor of compensation recognition, subordinate variables were set as turnover intention and adjustment variables as public service motivation. To check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set up earlier on turnover inten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djustment effect of the adjustment variable,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mpensation recogni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egree of turnover, and both the monetary and non-monetary compensation, which are the sub-factor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egree of turnover.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adjustment of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he effect of the recognition of compensation on turnover has been verified in part, with significant adjustment effect on non-monetary compens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milar to the results of many preceding studies on compensation and turnover, it is confirmed that compensation recognitio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greatly affects turnover intention in the case of ordinary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s.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 in Korea has been on compensa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private organizations or certain public officials, which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shows that compensation is important for the management of turnover for ordinary public officials.
Secon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been mainly stud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number of studies that have looked at its adjustment effects is small, especially in the relation between compensation and turnover intention degree is not found.
Third, with respect to non-monetary compensation, it is important to prove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public official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recruit people with high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order to manage human resources smoothly.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ompensation and turnover intention has shown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does not have significant adjustment effect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difficult to reduce the organization's negative factors, such as turnover intention, if sufficient financial compensation is not supported, however high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may be. In the end, it suggests that the importance of monetary compensation should not be overlooked.
현 정부는 공무원의 채용을 증가시키고 있고, 이에 따라 공무원 조직의 규모는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올바른 인사행정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어진다. 우수한 공무원을 선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재 채용된 공무원들을 관리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인사행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사행정의 중요 지표라고 할 수 있는 이직의도를 토대로,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공무원 조직의 인사관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요인 중 공무원의 보상 인식이 그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영향에 있어 공공봉사동기(PSM)가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보상은 기대이론을 바탕으로 구성원이 계속 일을 하도록 만드는 기본적인 요인이며, 공공봉사동기이론은 공무원 고유의 내적동기를 설명하기에 공무원의 이직의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6년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한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는 보상인식과 그 하위요인으로 금전적 보상 · 비금전적 보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이직의도, 조절변수는 공공봉사동기로 설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앞서 설정한 독립변수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변수인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보상인식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하위요인인 금전적 보상과 비금전적 보상 둘 모두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상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는데, 비금전적 보상에 대해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상과 이직의도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결과와 유사하게, 일반 공무원조직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도 보상인식은 이직의도에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한 것이다. 그동안 국내 연구의 대부분은 민간조직이나 특정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보상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였는데, 본 연구를 통해 일반 공무원의 이직관리에도 보상이 중요함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공공봉사동기는 주로 독립변수로 많이 연구되었으며 그 조절효과를 살펴본 연구의 수는 적으며, 특히 보상과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를 연구한 논문을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내용을 부분적으로나마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비금전적 보상과 관련하여 공공봉사동기가 높을수록 공무원의 이직의도가 큰 폭으로 낮아진다는 결과를 입증한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이는 공공기관의 원활한 인적 자원관리를 위해서 공공봉사동기가 높은 사람을 뽑아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금전적보상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는 공공봉사동기가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아무리 공공봉사동기가 높다 하더라도 충분한 수준의 금전적 보상이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이직의도와 같은 조직의 부정적 요소를 줄이는 역할을 하기 어렵다고 해석 할 수 있다. 결국 금전적 보상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62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