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덕교육의 체화적 접근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석자춘

Advisor
정창우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체화된 도덕성심층마음표층의식초월의식도덕교육동양의 사유 전통도덕철학적 접근도덕심리학적 접근진화론Embodied moralityDeep MindSurface ConsciousnessTranscendental Consciousnessmoral educationoriental thought traditionmoral philosophical approachmoral psychological approachevolutionary theory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0. 8. 정창우.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수준의 목적을 설정하고 있다. 수준 1에서, 마음의 층위를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도덕심리학적 접근과 진화론에 기반한 도덕 모델이 공통으로 직면하고 있는 한계를 탐색한다. 수준 2에서, 그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체화된 도덕성 모델을 제안한다. 수준 3에서, 체화된 도덕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도덕교육 방법을 탐색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은 이론적 배경으로부터 도출되었다. 이론적 배경과 관련하여, 도덕심리학적 접근의 통합적 관점에 따르면 도덕인지와 도덕정서는 협응관계를 이뤄 도덕적 기능에 관여된다. 반면, 진화론에 기반한 도덕 모델에 따르면 정서적 직관이 주도적으로 도덕성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관여된다. 그래서 이상의 두 관점은 갈등과 충돌에 직면하여 쟁점으로 부각된다. 그런데 이러한 쟁점은 마음의 층위를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검토되고 있지 않다. 그 결과 이상의 두 관점이 공통으로 직면하고 있는 한계를 포착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먼저, 수준 1의 연구목적과 관련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집약될 수 있다. 동양의 사유 전통과 서양의 도덕철학적 접근의 저변에 자리 잡고 있는 사유 패턴에 기반할 때, 마음의 층위는 심층마음․표층의식․초월의식으로 범주화된다. 심층마음은 언어를 통한 분별작용에 얽매이지 않고 감각과 사고작용을 순간순간 명료하게 알아차리는 마음활동이다. 표층의식은 느낌과 언어에 기반한 의식작용이다. 초월의식은 표층의식 수준에서 이뤄지는 느낌과 분별작용을 넘어 초월적 실체를 지향하는 의식작용이다. 이러한 포괄적인 마음의 층위를 기반으로, 도덕적 심리학적 접근과 진화론에 기반한 도덕 모델이 적극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사유 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도덕심리학적 접근과 진화론에 기반한 도덕 모델의 한계를 도출하였다.
그 한계는 세 측면으로 범주화 될 수 있다. 첫 번째, 심층마음이 간과되고 있다(이하; 한계A). 두 번째, 도덕성이 활성화되는 심리적 과정에 관여되는 변인이 사려에 기반한 숙고의 작용과 정서적 직관의 두 측면 중에서 어느 한 측면으로 편향되는 경향성을 보인다(이하; 한계B). 세 번째, 도덕성에 대한 관점이 생리적 현상의 차원으로 환원되거나 생리적 현상과 유리되는 양상을 보인다(이하; 한계C).
다음, 수준 2의 연구목적과 관련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집약될 수 있다. 체화된 도덕성과 관련한 동서양의 관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체화된 도덕성은 표층의식 뿐만 아니라 심층마음을 포괄하여 도덕성에 접근한다. 다음, 체화된 도덕성에 따르면, 도덕성은 도덕인지와 정서적 직관이 유기적인 앙상블을 이루어 창발한다. 특히, 인지와 관여되는 신경상관물과 정서에 관여되는 신경상관물은 유기적으로 얽혀서 도덕성의 창발에 관여된다. 마지막으로, 체화된 도덕성을 구성하는 심층마음의 한 측면은 마음챙김으로서 마음활동이다. 도덕주체는 마음챙김을 통해 생리적 작용에서 기인하여 왜곡된 방식으로 증폭되는 느낌과 생각을 순간순간 알아차릴 수 있다. 그 결과 도덕주체는 생리적 작용에 휩쓸리지 않을 자유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마음챙김이 마음의 내적 조건이라는 측면을 고려할 때, 도덕성은 초월적 인격신 혹은 초월적 실체에 의존하지 않고 확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준 3의 연구목적과 관련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집약될 수 있다. 체화된 도덕성은 신경상관물․표층의식․심층마음의 세 측면이 상보적인 관계를 이뤄 구성된다. 그래서 도덕교육 방법은 신경상관물의 발달 패턴을 고려하여 표층의식과 심층마음 측면의 체화된 도덕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재구성되었다. 그 도덕교육 방법으로서, 나바에즈(D. Narvaez)의 윤리적 기술은 체화된 도덕성의 표층의식 측면을 함양시키기 위해 활용되었다. 그리고 나바에즈의 마음챙김 도덕은 심층마음 측면을 함양시키기 위해 활용되었다. 아울러, 동양의 수양론은 심층마음 측면을 함양시키기 위한 도덕교육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불교의 수행법을 중점적으로 참조하였다.
나아가서, 이상의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본 연구가 지니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함의는 체화된 도덕성이 도덕심리학적 접근과 진화론에 기반한 도덕 모델이 지니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먼저, 체화된 도덕성은 한계 A를 보완할 수 있다. 왜냐하면 체화된 도덕성은 심층마음을 고려하여 도덕성에 접근하기 때문이다. 다음, 체화된 도덕성은 한계 B를 보완할 수 있다. 왜냐하면 체화된 도덕성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통해서 도덕인지와 정서적 직관이 유기적인 앙상블을 구성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체화된 도덕성은 한계 C를 보완할 수 있다. 체화된 도덕성은 초월적 인격신 혹은 초월적 실체에 의존하지 않는다. 체화된 도덕성은 마음의 내적 조건으로서 심층마음의 활동성에 의존한다. 따라서 체화된 도덕성은 한계 C를 보완할 수 있다.
In this study, three levels of research objectives are set as follows. In Level 1, this study explores the limitations common to Moral Psychological Approaches and Moral Model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taking into account the Layers of the Mind. In Level 2, this study proposes an Embodied Morality Model as an alternative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In Level 3, this study explores the moral education method to cultivate Embodied Mor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relation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according to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Moral Psychological Approaches, moral cognition and moral emotion are engaged in moral function by forming a cooperativ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Moral Model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emotional intuition is mainly involved i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morality. Thus, the above two perspectives emerge as issues in the face of conflict and collision. However, each of these perspectives does not approach morality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Layers of Mind. As a resul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suggest alternatives by capturing the limitations that these two viewpoints face in common.
First,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research purpose of Level 1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thought pattern that lies at the base of the Orient thought tradition and the Western Moral Philosophy Approach, the Layers of Mind are categorized as Deep Mind·Surface Consciousness·Transcendental Consciousness. Deep Mind a mind activity that is not bound by the discernment through language and clearly recognizes the senses and thoughts moment by moment. Surface Consciousness is a conscious action based on feeling and language.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is a conscious action that aims at transcendental reality beyond feeling and discernment at the level of Surface Consciousness. Based on the comprehensive the Layers of Mind, the thinking patterns, which Moral Psychological Approaches and Moral Model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are actively dependent 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limits of Moral Psychological Approaches and Moral Model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were derived.
The limit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First, the Deep Mind is overlooked(Hereinafter; limit A). Second, the variables involved in the psychological process in which morality is activated tend to be biased to one of two aspects of thought-based deliberation and emotional intuition(Hereinafter; limit B). Third, the view of morality is reduced to the level of physiological phenomena or shows a pattern that is estranged from physiological phenomena(Hereinafter; limit C).
Next,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research purpose of Level 2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erspectives of the Orient and the Occident in relation to Embodied Morality were analyzed comprehensivel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bodied Morality approaches morality, encompassing Deep Mind as well as Surface Consciousness. Next, according to Embodied Morality, morality is emerged as an organic ensemble of moral deliberation and emotional intuition. In particular, the neural correlates involved in cognition and the neural correlates involved in emotion are intertwined organically and are involved in the emergence of morality. Finally, one aspect of Deep Mind that constitutes Embodied Morality is mind activity as Mindfulness. Through the Mindfulness, the moral subject can instantly recognize the feelings and thoughts that are amplified in a distorted manner due to physiological activation. As a result, the moral subject can secure the freedom not to be swept away by the physiological activation.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aspect that Mindfulness is the inner condition of the mind, morality can be secured without relying on a personal God or transcendental substance.
Lastly,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research purpose of Level 3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mbodied Morality is composed of three aspects of neural correlates․Surface Consciousness․Deep Mind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refore, the moral education method was restructured in a way to cultivate the Embodied Morality of Surface Consciousness․Deep Min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neural correlates. As a method of moral education, Darcia Narvaez's Ethical Skills were utilized to cultivate the Surface Consciousness aspects of Embodied Morality. And Navaez's Mindfulness Morality was utilized to cultivate the Deep Mind. In addition, the theory of cultivation in the Orient was used as a moral education method to cultivate Deep Mind.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the practice of Buddhism.
Furtherm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e above results.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Embodied Morality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Moral Psychological Approaches and Moral Model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First, Embodied Morality can complement the limit A. Because Embodied Morality approaches morality taking account of Deep Mind. Next, Embodied Morality can complement the limit B. Because this study can explain the mechanism by which moral cognition and emotional intuition constitute organic ensembles through scientific approach to Embodied Morality. Finally, Embodied Morality can complement the limit C. The Embodied Morality does not depend on transcendental personality or transcendental substance. Embodied Morality depends on the activity of Deep Mind as an inner condition of the mind. Thus Embodied Morality can complement the fundamental limit C.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96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5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