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omparative study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 efficiency of Poland in economic growth beyond the Middle-income trap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상현

Advisor
이근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Middle Income TrapData Development AnalysisCluster AnalysisNational Innovation SystemPatentCatching-up군집화 분석자료포락분석법중진국 함정국가혁신체계특 허 분석경제 성장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2020. 8. 이근.
Abstract
Poland is one of the few countries that has escaped from the middle-income trap (MIT: 20% to 40% of US GDP per capita, PPP) since 2008. This paper uses the USPTO granted patent data of 33 countries to analyze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NIS). Five NIS variables, namely the knowledge localization, the cycle time of technologies, the originality, the decentralization and the diversification are used in cluster analysis to identify what type of the catching up NIS Poland belongs to. Since Polands economic growth beyond the MIT was not explained in much part by the accumulation of capital and labor, this paper measures the efficiency of NIS variables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the unexplained part of the growth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중진국 함정(Middle-income trap)은 국가의 1인당 GDP가 미국 1인당 GDP의 20%~40%수준인 것을 의미한다. 폴란드는 2008년에 IMF 구매력평가지수(PPP)를 기준으로 1인당 GDP가 미국 1인당 GDP의 40%를 넘어서면서 1960년 이후 중진국 함정을 극복한 몇 안되는 국가들 중에 하나가 됐다.
이 논문은 33개국의 미국 특허청 등록 특허 (Granted Patent)를 분석하여, 이들 국가별 국가혁신체계 (National Innovation System)를 비교한다. 먼저, 국가혁신체계를 나타내는 다섯 개 변수, 즉, 지식의 현지화 (the Knowledge Localization), 기술의 생명 주기 (the Cycle Time of Technologies), 지식의 독창성 (the Originality), 지식의 다각화 (the Diversification), 그리고 지식의 분권화 (the Decentralization)를 이용해 폴란드가 어떤 성장 경로와 유사한 지 군집화 분석을 진행한 결과, 기존
알려진 성장 경로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1996년부터 2008년까지 이뤄진 폴란드의 급속한 경제성장은 자본과 노동의 축적보다는 총요소생산성의 두드러진 성장에서 기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자료포락분석법을 사용해 국가혁신체계가 총요소생산성 성장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작용하였는지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1999년부터 2008년까지의 평균치를 분석한 결과, 비교대상국들 중 폴란드가 가장 효율적으로 국가혁신체계를 활용해 총요소생산성의 성장을 이끌어 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067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2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