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꿈의 기획과 통치 : 미래 생산 장치로서의 '키자니아 서울' 연구 : Planning and Governing of Dreams : A Study on KidZania Seoul as the Future Production Dispositif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심국보

Advisor
김홍중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키자니아 서울’‘꿈-장치’직업체험 테마파크장래희망꿈의 사회학생존주의“Dispositif of Dream”career theme parkfuture hopesociology of dreamsurvivalism“KidZania Seoul”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20. 8. 김홍중.
Abstract
본 논문은 어린이 직업체험 테마파크 키자니아 서울을 분석대상이자 배경으로 설정하여 접근한 연구이다. 1999년 멕시코시티에서 시작된 키자니아는 2020년 현재 22개국 29개 도시에 진출하였으며, 2010년 개장한 키자니아 서울은 현재까지 연평균 7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하는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직업을 놀이로 체험하며 아이에게 꿈을 심어준다는 키자니아의 목표에 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키자니아에 실제로 내재되어 작동하는 담론, 목표, 규칙, 전략, 즉 장치성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은 키자니아 활동의 순간과 그 이후의 삶 가운데서 아이와 엄마가 기획, 생성, 조작, 전수하고자 하는 미래를 향한 마음, 즉 꿈의 전모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주된 이론적 배경은 꿈의 사회학이다. 이 관점에서 꿈은 미래의 이미지이자, 그 표상된 미래를 향한 마음의 동학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꿈의 형성과 통치의 역량인 꿈-자본, 그리고 꿈의 주조, 향유, 전수를 위한 구성체인 꿈-장치의 이론적 탐구 가능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5회의 현장관찰과 26명(성인 17, 아동 9)의 심층면접을 통한 실증적 자료수집과 분석 과정을 거친 질적 사례연구이자 비판적 담론 분석의 성격을 지닌다.
본 논문의 첫 번째 본문인 Ⅱ장에서는 먼저 키자니아 내부 공간에 구현된 여러 요소와 특징을 다각적으로 살펴보며 이 공간을 꿈-장치의 한 특징적 사례로 지목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 우리는 키자니아가 소유한 독특한 세계관과 프로그램, 그리고 각종 행위양식과 도구를 통해 그곳을 찾는 이들에게 꿈을 직업과 동치시키고, 부모와 자녀 사이에 놓인 끊임없는 교섭의 양상을 극적으로 드러내며, 나아가 안전과 위험에 관한 면역학적 감각을 개발하여 꿈-자본의 일면을 이루는 회복탄력성을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키자니아를 비롯해 다양한 경험을 통과한 아이들이 그 경험을 해석하고 전유하며 새로운 꿈을 확보하고 그것을 실현하려는 주체적 연행의 양상을 논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아이들은 그들의 다양한 내적, 관계적, 환경적 요인에서 획득한 꿈의 질료를 선택, 반복, 증표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장래희망의 형태로 물화, 경화한다. 그렇게 주조된 장래희망은 부모와의 교섭의 대상물이 되며, 이 과정에서 공부에 결부된 이중적 의미는 아이를 다시금 꿈의 성취를 위한 노동으로 호출한다.
마지막 Ⅳ장에서는 키자니아를 방문했던 엄마들이 삶 가운데서 내면화한 모성의 유래를 들여다보고, 그들이 교육, 양육의 장에서 드러낸 실천의 양상을 통해 아이에게 전수하고자 했던 마음의 내용을 밝히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키자니아와 결부되어 나타나는 엄마의 모성은 자신의 직업을 포기 혹은 조정했던 과거의 경험, 그리고 아이가 살아갈 미래는 위험으로 점철되어 있다는 파국적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이 모성의 발현 과정에서 전개된 다양한 교육적 실천들은, 한편으로 위험한 미래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생존을 위한 적당한 성취에 안주하는 마음을 아이에게 상속하려는 이해관심의 결과이기도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사회학계 관심의 주변에 위치해 있던 아동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상정함으로서 미래를 논의하는 것의 당위성과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질적 접근을 통해 꿈의 형성과 물화, 상속의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추적하며, 꿈의 통치와 주체화 전략을 수행하는 꿈-장치의 분석 가능성과 그 방법적 사례를 제안하였다. 올해로 한국 진출 10주년을 맞이한 키자니아는 향후 국내외에서 그 미래 생산적 영향력을 유지, 확장해나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키자니아에 대한 구조적, 역사적, 장기적 차원의 후속 연구를 요청하며 그 초석적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는 함의를 가진다.
This study is a study that approached the children's career theme park KidZania Seoul as an analysis target and background. Started in Mexico City in 1999, KidZania has established its branches in 29 cities within 22 countries as of 2020. And KidZania Seoul, opened in 2010, continues to attract 700,000 visitors annually. Starting from a problematic view about the goal of KidZania to experience a job as a role-play and instill dream in a child,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contents of discourse, goals, rules, strategies, or property of dispositif that are embedded and functioning in KidZania. Also,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full extent of the dream, the mind toward the future that child and mother intend to plan, create, manipulate and pass on, among the moments of activities in KidZania and their subsequent lives.
This study employs the sociology of dream as the main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describes dreams as the images of the future, and as the dynamics of the mind toward the imagined futur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proposes the theoretical exploratory possibilities of dream-capital as the capacity of dream formation and governance, and dream-dispositif as a component for the casting, enjoying and passing down of a dream.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at has undergone empiric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through five field observations at first-hand and in-depth interviews of 26 people (17 adults, 9 children).
In Chapter II, I examined various elements and features in the interior space of KidZania to test whether this space can be identified as a peculiar example of dream-dispositif. As a result, it has been identified that a unique worldview, program, and various forms of behavior and tools of KidZania equivalate dreams with occupations. In addition, KidZania dramatically reveals the pattern of constant negoti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improves resilience – a part of dream-capital – by developing an immunologic sense of safety and risk.
Chapter Ⅲ shows that children reify and solidify the matter of dreams – acquired from their various internal, rel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 in the form of occupational future hope through a series of selections, repetitions, and tokening. Such a casted future hope becomes the subject of negotiations with their parents, and the dual meaning associated with study calls the children back to the labor for the achievement of the dream.
In chapter IV, we try to look into the origin of motherhood that mothers who visited Kidzania internalized through their lives, and to reveal the content of their desire through the aspects of practice reveal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parenting. Specifically, the motherhood of KidZanias mother stems from past experiences of giving up or adjusting their job, and the catastrophic perception that the future of their children's life is marked with danger. The various educational practices developed in the process of motherhood are the results of a sense of illusio(interest) in inheriting the child's ability to flexibly cope with a dangerous future and a satisfaction with the right achievement for survival.
This study secures the practical justification of discussing the future by presenting children who have been located in the periphery of sociological interest as the main analysis target. Also, through the qualitative approach, the process of dream formation, materialization, and inheritance are tracked in a time series, and the possibility of analysis and method of dream-dispositif, which implements the rule of rule and subjectivity, is proposed. KidZania, which celebrated its 10th anniversary in Korea this year, is likely to maintain and expand its future-productive influence at home and abroad. In conclusion, this study requests a follow-up study on the structural, historical, and long-term level of research in the futur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13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1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