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 척도 개발 및 활용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선양

Advisor
이유리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의류제품지속가능소비척도 개발측정도구 개발소비자 인식소비자 행동clothing productssustainable consumptionscale developmentmeasure developmentconsumer awarenessconsumer behavior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0. 8. 이유리.
Abstract
의류제품의 생산과 소비에서 비지속가능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의류제품에 대한 지속가능개발 및 소비가 요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의류 지속가능성 관련 문제는 소비 규모 증대로 인한 의류폐기물 증가, 제조 과정에서 생태환경 오염, 봉제노동자의 노동권 문제, 동물권 침해 문제 등이 있다.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의류산업은 제품 개발과 디자인, 대체소재 적용, 공급망 관리, 정보 공시 전략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의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의류산업 내부적으로 힉 지수와 같은 측정도구를 널리 사용하면서 의류 제조 및 생산에 대한 체계적인 지속가능성 평가가 가능해졌다.
반면, 의류제품의 소비 측면에서 지속가능성 논의는 다소 제한적이며 파편적으로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연구가 지속가능 의류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의류 지속가능성 관련 서비스 이용의도에 집중하면서 소비 과정 중 일부분에 해당하는 구매 단계만으로 논의가 치중되었다.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 개념 자체에 대한 고찰이나 측정의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측정의 문제에서 어떠한 범주로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를 정의하고, 측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에 대한 개념적 접근의 논의와 함께 척도 개발 및 활용을 통해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척도 개발의 과정에는 문헌 고찰, 질적 연구, 전문가 면담, 양적 조사를 통한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이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 개념을 밝히고, 구성요인을 확인하였다. 크게 인식과 행동의 구분으로 차원을 나누고, 각 차원에서 세부 구분에 따라 하위요인을 제시하였다. 인식은 알고 있는 상태와 마음 가짐, 즉, 지식과 태도로 구성되므로 의류제품 소비에 관한 문제와 대안 지식,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에 대한 편익 태도로 구성하였다. 행동은 개인적 행동에서 비용 감수 정도에 따라 저부담, 고부담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소비행동 측면의 집합적 행동을 함께 구성하였다. 저부담 행동은 구매 시 신중한 구매나 지속가능 의류제품의 선택 구매, 사용과 폐기 행동과 같은 비용 감수가 적은 행동으로 구성되었고, 고부담 행동은 생산량 자체를 줄이도록 하는 구매 대체나 구매 자제에 관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집합적 행동은 개별 구성되었으며,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에 관한 보다 적극적인 행동을 포함하였다.
이후 23명의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수행하여 실제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가 어떻게 인식되고 행동으로 나타나는지를 문항으로 구체화하였다. 질적 내용을 토대로 측정문항을 구성하여 예비 문항을 완성하고 이를 5인의 전문가 면담을 통해 문항을 정제 및 추가 보완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문장마다 연구참여자 입장에서 보다 알기 쉬운 표현으로 수정하였다. 예비 문항 구성에는 총 62문항이 마련되었다. 이후 양적 조사로 통계적인 검증을 통해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두 번의 양적 조사에는 각각 320명, 352명이 연구 표본이 되었으며 조사 형태는 온라인 설문조사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으로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사용하였고, 구성타당도 검증, 준거타당도(상관분석) 검증이 이루어졌다. 검증을 통해 확정된 척도는 최종 52문항으로 인식과 행동에서 각각 22문항, 3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삭제된 10문항은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적재량이 .20 이하이거나 교차부하된 경우가 대상이 되었다. 단일차원성을 해치지 않도록 전체 개념 모형을 고려하여 척도가 확정되었으며, 최종 요인 수는 인식에서 5개, 행동에서 6개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다른 표본에서도 동일한 결과로 도출되는지 이차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제 지속가능의류브랜드 지식 수준, 지속가능 의류제품 보유 수준과 유의한 상관을 확인하여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추가로 이타주의, 탈물질주의와 같은 가치성향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가치가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 인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척도를 활용하여 의류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의류소비 특성에 따른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 차이를 분석하였다. 성별, 학력, 소득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소비규모나 지속가능 의류제품 경험과 같은 의류소비 양상에 따라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 인식, 행동에서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뒤이어 수행된 군집분석은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를 중심으로 소비자 유형이 다섯 가지로 구분됨을 밝혔는데, 인식과 행동은 대체로 비례하게 나타나며 전반 관여에 따라 비관여, 저관여, 제한적 관여, 고관여, 적극관여의 다섯 유형이 존재한다. 적극관여나 비관여는 전체 구성의 약 12%로 소수에 해당한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저관여나 고관여에 해당하였다. 한편, 전체의 20%에 해당하는 제한적 관여 집단은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에서 인식, 행동이 상이하게 나타나는데 긍정적인 편익 태도는 있으나 관련 지식이 부족하고 의류제품 구매 대체 행동, 선도행동은 나타나지 않으나 의류제품 구매 자제 행동에는 깊게 관여한다. 이러한 집단 유형이 시사하는 바는 인식과 행동에서 상황적 조건의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문에서는 군집별 인구통계학적 특성, 의류소비 특성을 제시하여 각 집단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
지속가능성 이슈가 산업군을 막론하고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는 시점에서 종합적인 의류제품의 지속가능소비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측정도구를 마련하였다는 데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양한 인식과 행동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 구조의 규명, 과학적이며 객관적인 방법을 통한 측정도구의 개발, 신뢰성과 타당성의 확보를 통해 척도를 확정하였다. 추후 정보 차원, 연구 차원, 의류기업의 전략 수립, 정책 제언 등의 실무 차원에서 본 측정도구가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issue of unsustainability problems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has gained huge attenti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are required. Some of the major problems related to the sustainability issue in clothing include increased volume of clothing waste, pollu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during clothing manufacturing process, labor rights issues with sewing workers, and animal rights violation. Lately, it seems that clothing industry is making efforts for sustainable clothing development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produc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duct design, application of alternative materials, sustainable supply chain management and info-disclosure strategies. In particular, the widespread use of measurement tools such as the Higg Index has enabled systematic assessment of sustainable clothing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discussions about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have been either partly dealt or limited to narrow scope. Since a significant part of that research body has particularly focused on purchase-intention of sustainable clothing products or use-intention of services related to clothing sustainability, discussions were limited solely on the purchasing stage, which is a mere part of the consumption process. There is this research gap regarding conceptualization of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itself.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what categories and ranges should define and measure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Then, in this study, the research aim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scale of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through the in-depth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and quantitative validation.
The procedure of scale development includes a review of literature, qualitative study, expert interview, and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Following the procedure, this study started with uncovering the concept of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dentifying the composing factors. The dimensions were largely divided by the distinction between awareness and behavior, and sub-factor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detailed classification at each level. Awareness consists of information and mindset, in turn,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n more specific terms, abstract knowledge(relavant problems) and specific knowledge(solutions or alternatives) about clothing product consumption, and an attitude toward benefit to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were consisted. Behavior dimension were viewed under individual-collective behavior, then individual behaviors were presented with the distinction of low cost behavior and high cost behavior(the level of bearing time cost, money, or inconvenience). Low cost behavior meant careful purchase at the time of purchasing or selective purchase of sustainable clothing products, use and disposal behavior. High cost behavior included concerning purchase substitution(rental, vintage or used clothing purchase) or non-purchasing behavior, ultimately leading to reduce the amount of clothing production. Collective behavior meant more active consumer actions regarding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After revealing the structure of each awareness and behavior concept,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with 23 domestic consumers to clarify how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is actually perceived and happened in real lives. Based on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scale items were acquired. And then, five researchers in the field of clothing study were assigned to refine and supplement the items, and the final scale items were gained. The expressions were modified to make easily understandable.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item list, a total of 62 questions were prepared. Two times of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In the two quantitative surveys, 320 and 352 people were gained as sample, respectively. Analysis methods includ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urther,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were confirmed. The final scale items were 52 statements in total, 22 in awareness and 30 in behavior. The 10 refined questions were disposed since the factor loading was less than .20 or there existed cross loading i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prevent single-dimensionality, the scale wa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model fit. In sum, five in awareness, six in behavior, sub-dimensions were appear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nsure that if the same results can be obtained in other samples. Then, in order to validate criterion validity, the actual level of knowledge of sustainable clothing brands and the actual use of sustainable clothing were used to test, and thos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 awareness and behavior.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personal value such as altruism and de-materialism was further reviewed verifying that value affects the awareness and behavior of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While the application of scale, differences in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clothing consumers.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awareness and behavior of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and clothing consumption patterns such as consumption size and experience in sustainable clothing products purchase. The followed cluster analysis suggested that there are five types of clothing consumers: namely non-involvement, low involvement, limited involvement, high involvement, and active involvement depending on the overall level of involvement. Active involvement or non-involvement are minority groups, accounting for about 12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respectively. The majority of people were in low or high involvement groups. Approximately 20% of people were in limited involvement group, presenting positive attitude toward perceived benefit of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while lacking relevant knowledge, rental or used clothing purchase behavior, and active consumer actions. This implies that further discussion about the effects of situational conditions is needed to deeply understand the awareness and behavior in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This research provided a scientifically and statistically validated scale that enables to measure comprehensive assessment of sustainable consumption of clothing products. The measures were consisted of various awareness and behavior sub-dimensions which make multifaceted analysis possible.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cale is useful for future academic use, and for informational and practical use while providing insights for industry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247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8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